
000 | 00922c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686993 | |
005 | 20120118170613 | |
007 | ta | |
008 | 120117m20062007ulka 001c kor | |
020 | ▼a 8957991697 (上) ▼g 93230 | |
020 | ▼a 9788957991695 (上) ▼g 93230 | |
020 | ▼a 9788957991824 (下) ▼g 93230 | |
035 | ▼a (KERIS)BIB000010899367 | |
040 | ▼a 011001 ▼c 011001 ▼d 244002 ▼d 211009 | |
082 | 0 0 | ▼a 270 ▼2 22 |
085 | ▼a 270 ▼2 DDCK | |
090 | ▼a 270 ▼b 2006c | |
100 | 1 | ▼a 라은성 ▼0 AUTH(211009)3875 |
245 | 1 0 | ▼a 정통과 이단 = ▼x Orthodoxy and heresies / ▼d 라은성 지음 |
260 | ▼a 서울 : ▼b Grisim Publishing Co., ▼c 2006-2007 ▼g (2008-2010) | |
300 | ▼a 2책(210 ; 379 p.) : ▼b 삽화 ; ▼c 23 cm + ▼e 전자 광디스크 (CD-ROM) 2매 | |
440 | 0 0 | ▼a 라은성 교수의 교회사 맥(脈)잡기 ; ▼v 1 |
500 | ▼a 색인수록 | |
900 | 1 0 | ▼a Ra, Eun S., ▼e 저 |
945 | ▼a KLPA | |
949 | ▼a 라은성 교수의 교회사 맥잡기 ; ▼v 1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270 2006c 1 | 등록번호 1116542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270 2006c 2 | 등록번호 11165420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라은성(지은이)
고신대학교(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Covenant Theological Seminary(Th.M.),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Th.M.) 그리고 University of Pretoria(Ph.D.)를 졸업했다. 총신대학교 교회사 교수로 재직했다. 2006년부터 일반 신자들에게 교회 역사를 알리기 위한 여러 강좌를 개최하다가 ‘교회사 아카데미’를 설립하여 교회 역사와 『기독교강요』를 일반인들에게 유료강좌를 실행하고 있다. 또 새롬교회(Seoul Reformed Church)를 서울시 노원구 섬밭로 152에 있는 상가에 개척하여 진정한 개혁교회와 개혁신앙을 실천하는 중이다. 지금까지 CBS 라디오의 ‘맛있는 교회사 이야기’와 ‘교회 가는 길’에서 교리문답 강해를, CTS-TV의 ‘4인 4색’에서 ‘생생 교회 역사’를, 극동방송에서 ‘오늘의 교회사’를 방송했다. 현재는 ‘교회 역사’를 북방선교 방송(TWRK)에서 방송하고 있다. 그동안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을 번역하여 한국기독교 출판문화상에서 주는 신학 해외번역 부문 최우수상(2002), 『여인들의 발자취』를 써서 일반신앙 저작부분 최우수상(2005), 『이것이 개혁신앙이다』를 써서 신학 부문에서 우수상(2018)을, 『이것이 교회사다: 가공된 진리』를 써서 신학 부문에서 최우수상(2019)을 각각 받았으며, 『다빈치 코드의 족보』를 써서 ‘다빈치 코드의 저격수’라는 별명을 받게 되었다. 이 외에도 『연구주제부터 포맷까지』와 『정통과 이단』을 썼고, 『이단과 정통』, 『로마 카톨릭주의와 복음주의』, 『역사신학』(상), 『기독교 역사가들』을 신학생들을 위해 또 기독교인의 기도 생활의 안내서인 『이것이 기독교인의 묵상이다』를 번역했다. 일반 신자를 위한 『이것이 복음이다』, 『이것이 교회사다』 시리즈(진리의 보고, 묻어둔 진리, 진리의 재발견과 가공된 진리), 『이것이 기독교강요다』 시리즈(일반인용, 지도자용, 해설자용과 연구자용)와 『이것이 개혁신앙이다』 시리즈(공부자용)을 썼고, 『이것이 신앙고백이다』 시리즈(벨지카, 돌드레히트, 하이델베르크,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대교리문답서, 소교리문답서와 한영대조 종합편)를 썼다.

목차
[volume. vol.상]---------- 목차 서문 = 6 1장 정통과 이단 = 15 1. 이단의 정의 = 16 (1) 이단성 = 17 (2) 이단과 이단자 = 17 (3) 이단 정죄 = 18 2. 정통 = 19 (1) 신ㆍ인이신 예수 그리스도 = 19 (2) 구원관 = 23 2장 영지주의 = 30 1. 교부들의 교훈 = 31 2. 영지주의 = 37 (1) 특징들 = 37 (2) 영지주의 사상 = 38 (3) 신영지주의 = 44 3장 사도적 교부들 = 46 1. 로마의 클레멘트 = 47 2. 디다케 = 48 3. 이그나티우스 = 48 4. 폴리캅 = 51 5. 허마의 목자 = 52 4장 변증가들 = 54 1. 저스틴 마터 = 55 2. 이레니우스 = 57 3. 클레멘트 = 59 4. 오리겐 = 60 5. 터툴리안 = 62 6. 키프리안 = 63 5장 삼위일체 = 66 1. 양태론 = 67 (1) 세대주의 = 69 (2) 신비주의 = 71 2. 양자론 = 72 (1) 아리우스 = 72 (2) 아타나시우스 = 77 6장 삼위일체 = 80 1. 위격 = 81 2. 일체 = 83 3. 적용 = 85 7장 기독론 = 90 1. 단성론 = 90 2. 아폴리나리스 = 94 3. 네스토리우스 = 97 4. 유티케스 = 100 5. 평가 = 101 8장 어거스틴 = 105 1. 교회론 = 105 2. 은혜론 = 109 (1) 펠라기우스 = 109 (2) 어거스틴 = 113 (3) 오직 은혜로 = 116 9장 성상파괴 논쟁 = 120 1. 역사적 배경 = 121 2. 성상무용론 = 124 10장 성찬론 = 132 1. 라드베르투스 = 134 2. 라트람누스 = 136 3. 왜 화체설을 = 137 (1) 가시적 은혜 = 137 (2) 교권주의 = 138 4. 베렝가 = 139 5. 평가 = 141 11장 스콜라주의 = 143 1. 안셀름 = 147 2. 아벨라르 = 152 3. 빅토르 학파 = 153 4. 피터 롬바르드 = 154 5. 대학교 = 155 6. 아베로에스 = 156 7. 알렉산더 = 157 8. 보나벤투라 = 158 9. 토마스 아퀴나스 = 159 10. 던스 스코터스 = 161 11. 옥캄의 윌리엄 = 162 12장 중세이단 = 164 1. 보고밀 = 167 2. 카타르 = 169 3. 기타 이단들 = 173 4. 종교재판 = 175 13장 중세 개혁운동 = 178 1. 왈도파 = 179 2. 탁발 수도회 = 183 (1) 도미니크 수도회 = 184 (2) 프란체스코 수도회 = 185 (3) 요아킴 = 186 3. 베긴파 = 189 4. 신비주의 = 191 5. 템플 기사단 = 194 6. 디보치오 모데르나 = 196 7. 전 종교개혁자들 = 200 (1) 위클리프 = 201 (2) 후스 = 203 (3) 사보나롤라 = 207 8. 평가 = 208 [volume. vol.하]---------- 목차 서문 = 6 14장 종교개혁시대 = 15 1. 교권주의 = 19 2. 공포 조장 = 20 3. 르네상스 = 23 4. 세 가지 주제 = 24 (1) 이신칭의 = 25 (2) 만인제사장 = 29 (3) 오직 성경으로 = 33 5. 평가 = 35 15장 종교개혁자들 = 37 1. 루터 = 38 (1) 진리의 발견 = 38 (2) 개인적 체험 = 41 (3) 칭의 = 46 2. 츠빙글리 = 55 (1) 생애 = 55 (2) 신학사상 = 58 3. 칼빈 = 59 (1) 생애 = 59 (2) 신학사상 = 65 4. 이단사상 = 71 (1) 급진파 = 72 (2) 정ㆍ교 유착 = 74 (3) 성찬론 = 78 5. 평가 = 81 16장 후기 종교개혁 시대 = 84 1. 루터란주의 = 85 (1) 멜랑흐톤 = 85 (2) 원죄논쟁 = 89 (3) 칭의논쟁 = 91 (4) 도덕폐기론 논쟁 = 92 2. 칼빈주의 = 95 (1) 베자 = 95 (2) 칼빈주의 용어들 = 97 (3) 예정론 논쟁 = 101 ① 아르미니우스 = 101 ② 아르미니안주의 = 109 ③ 5대 교리 = 112 (4) 소시니안주의 = 120 3. 칼빈주의 신학 = 123 (1) 언약신학 = 123 (2) 삼위일체론 = 128 (3) 예정론 = 130 4. 평가 = 133 17장 경건주의 = 137 1. 들어가면서 = 137 2. 시작 = 144 (1) 선구자들 = 144 ① 뵈메 = 144 ② 아른트 = 147 3. 발전 = 150 (1) 슈페너 = 150 (2) 프랑케 = 156 (3) 진젠도르프 = 159 4. 평가 = 162 18장 계몽주의 = 165 1. 영국 = 166 (1) 처버리의 허버트 경 = 168 (2) 토머스 홉스 = 171 (3) 존 로크 = 174 (4) 존 톨런드 = 179 (5) 매튜 틴달 = 181 (6) 데이비드 흄 = 182 2. 프랑스 = 186 (1) 데카르트 = 186 (2) 볼테르 = 187 (3) 백과사전 편집자들 = 189 (4) 루소 = 191 (5) 평가 = 194 3. 독일 = 196 (1) 라이브니츠 = 196 (2) 볼프 = 198 (3) 젬러 = 200 (4) 레싱 = 202 (5) 칸트 = 204 (6) 쉴라이어마허 = 209 4. 평가 = 213 19장 현대신학 흐름 = 217 1. 헤겔 = 218 2. 중재신학 = 222 3. 키르케고르 = 227 4. 리츨 = 237 5. 옥스퍼드 운동 = 239 6. 평가 = 245 20장 청교도주의 = 247 1. 역사 = 251 (1) 형태 = 253 (2) 엘리자베스 = 255 (3) 제임스 1세 = 258 (4) 찰스 1세 = 260 (5) 미국 청교도 = 263 (6) 호민관 정치 = 265 (7) 찰스 2세 = 265 (8) 명예혁명 = 267 2. 청교도들 = 268 (1) 윌리엄 퍼킨스 = 268 (2) 윌리엄 에임스 = 270 (3) 리처드 십스 = 274 (4) 토머스 굿윈 = 280 (5) 리처드 백스터 = 286 (6) 존 오웬 = 291 (7) 존 번연 = 296 3. 그 특징 = 304 21장 부흥주의 = 309 1. 존 웨슬리 = 310 2. 길버트 테넌트 = 319 3. 조나단 에드워즈 = 323 4. 조지 윗필드 = 334 5. 찰스 피니 = 341 6. 평가 = 349 22장 정통신앙 = 357 색인 =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