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KEAD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연구

KEAD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연구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영준, 책임연구 강혜승, 연구 김경애, 연구 김세현, 연구 권재숙, 연구 이효성, 연구 이병우, 연구 황수정, 연구 황주리, 연구
서명 / 저자사항
KEAD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연구 / 김영준 [책임연구] ; 강혜승 [외 연구]
발행사항
성남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1  
형태사항
v, 69 p. : 삽화, 도표 ; 24 cm
총서사항
현장연구 ;2011-02
ISBN
9788958138525
일반주기
KEAD =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연구: 김경애, 김세현, 권재숙, 이효성, 이병우, 황수정, 황주리  
서지주기
참고문헌(p. 59-62)과 부록수록
000 01260namcc2200373 c 4500
001 000045686842
005 20120118094438
007 ta
008 120117s2011 ggkad b 000c kor
020 ▼a 9788958138525 ▼g 93330
040 ▼a 211009 ▼c 211009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31.59 ▼2 22
085 ▼a 331.59 ▼2 DDCK
090 ▼a 331.59 ▼b 2011 ▼c 2011.2
245 0 0 ▼a KEAD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연구 / ▼d 김영준 [책임연구] ; ▼e 강혜승 [외 연구]
246 3 ▼a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연구
260 ▼a 성남 : ▼b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c 2011
300 ▼a v, 69 p. : ▼b 삽화, 도표 ; ▼c 24 cm
490 1 0 ▼a 현장연구 ; ▼v 2011-02
500 ▼a KEAD =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한국장애인고용공단)
500 ▼a 연구: 김경애, 김세현, 권재숙, 이효성, 이병우, 황수정, 황주리
504 ▼a 참고문헌(p. 59-62)과 부록수록
700 1 ▼a 김영준, ▼e 책임연구 ▼0 AUTH(211009)29753
700 1 ▼a 강혜승, ▼e 연구 ▼0 AUTH(211009)95540
700 1 ▼a 김경애, ▼e 연구 ▼0 AUTH(211009)1943
700 1 ▼a 김세현, ▼e 연구 ▼0 AUTH(211009)2839
700 1 ▼a 권재숙, ▼e 연구
700 1 ▼a 이효성, ▼e 연구
700 1 ▼a 이병우, ▼e 연구
700 1 ▼a 황수정, ▼e 연구 ▼0 AUTH(211009)57872
700 1 ▼a 황주리, ▼e 연구 ▼0 AUTH(211009)82282
830 0 ▼a 현장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v 2011-02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59 2011 2011.2 등록번호 1116542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연구요약 = 1
제1장 서론 = 3
 제1절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 = 3
 제2절 프로그램 개발 배경 = 6
 제3절 프로그램 개발 과정 = 8
제2장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 11
 제1절 기존 구직역량 관련 프로그램 및 선행연구 분석 = 11
  1. 역량강화의 정의 = 11
  2. 장애인 구직자의 구직역량 관련 프로그램 분석 = 12
  3. 구직역량관련 선행연구 분석 = 14
 제2절 KEAD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 18
  1. 직업생활교육 프로그램 내용분석 = 18
  2.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내용 = 21
  3. 프로그램 시청각자료 및 진행자용 매뉴얼 개발 = 25
  4. 전문가 자문회의 = 25
제3장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내용 = 27
 제1절 구직역량강화프로그램개발 실시 = 27
  1.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대상자 = 27
  2.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과정 = 27
 제2절 구직역량강화프로그램 도구 및 자료 = 32
  1.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효과측정 도구 = 32
  2. 프로그램 시청각 자료 및 매뉴얼 = 34 
제4장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결과 = 37
 제1절 구직역량강화프로그램 효과검증 = 37
  1. 참여자 특성 = 37
  2. 구직기술 향상 효과 = 38
  3. 자아 존중감 향상 효과 = 40
  4. 프로그램 만족도 = 41
  5.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의견 = 42
  6. 구직역량강화프로그램 진행자 설문조사 결과 = 43
 제2절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보완 = 45
  1. 모듈 구성 변경 = 45
  2. 모듈 추가 = 47
제5장 결론 및 제언 = 49
 제1절 결론 및 평가 = 49
  1. 결과요약 및 고찰 = 49
  2. 프로그램 평가 및 제언 = 51
 제2절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방안 = 53
  1. 프로그램 지원 대상 = 53
  2. 프로그램 참여자 구성 = 54
  3. 프로그램 진행자 = 54
  4. 프로그램 운영 = 56
  5. 프로그램 효과 측정 = 57
  6. 프로그램 내용구성의 다양화 = 58
참고문헌 = 59
부록 = 63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영중 (2023)
한국. 국회. 예산정책처 (2023)
한윤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