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937namcc2200277 c 4500 | |
001 | 000045686211 | |
005 | 20120113200109 | |
007 | ta | |
008 | 120112s2011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63501871 ▼g 92320 | |
040 | ▼a 243009 ▼c 243009 ▼d 211009 | |
082 | 0 4 | ▼a 659.14 ▼2 22 |
085 | ▼a 659.14 ▼2 DDCK | |
090 | ▼a 659.14 ▼b 2011 ▼c 2011.16 | |
245 | 0 0 | ▼a 웰빙시대 소비자, 마케팅, 광고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d 진창현 책임연구; ▼e 임성철 공동연구 ; ▼e 손보람, ▼e 신유진 연구보조 |
260 | ▼a 서울 : ▼b 한국방송광고공사, ▼c 2011 | |
300 | ▼a xi, 126 p. : ▼b 삽화 ; ▼c 24 cm | |
440 | 0 0 | ▼a 광고진흥자금 지원사업 연구보고서 ; ▼v 2011 [제16권] |
504 | ▼a 참고문헌: p. 111-117 | |
536 | ▼a 본 보고서는 2011년 한국방송광고공사의 광고진흥자금 지원으로 발간하였음 | |
700 | 1 | ▼a 진창현, ▼e 책임연구 ▼0 AUTH(211009)131596 |
700 | 1 | ▼a 임성철, ▼e 연구 ▼0 AUTH(211009)23263 |
700 | 1 | ▼a 손보람, ▼e 연구 ▼0 AUTH(211009)65550 |
700 | 1 | ▼a 신유진, ▼e 연구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59.14 2011 2011.16 | 등록번호 1116536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Ⅰ. 서론 = 3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3 2. 연구의 내용 = 4 3. 연구의 방법 = 5 4. 연구의 문제 및 가설 도출 = 9 Ⅱ. 이론적 배경 = 13 제1절 웰빙(Well-Being)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5 1. 웰빙의 등장 배경 = 15 2. 웰빙의 메커니즘 = 16 3. 웰빙 소비자 트렌드 = 18 4. 웰빙 소비자 특성 및 성향 = 20 5. 로하스(LOHAS)의 정의 및 소비자 트렌드 = 21 6. 웰빙 소비자 유형별 분류 및 특성 = 23 7. 소비자 유형별 분류에 따른 문헌 고찰 = 25 제2절 웰빙 광고에 나타난 메커니즘 이론적 고찰 = 29 1. 광고의 담론에 대한 정의 및 특성 = 29 2. 웰빙 광고의 특성, 소구 방법 및 크리에이티브 전략 유형 = 35 Ⅲ. 연구 결과 분석 = 37 제1절 웰빙 소비자 분석 = 39 1. 웰빙 소비자 분석 방법 = 39 2. 수집된 표본의 특성 = 39 제2절 웰빙 소비자 유형별 분류 측정 지수 개발 분석 = 43 1. 문헌연구를 통한 예비 항목 추출 = 43 2. 탐색적 요인분석 = 44 3. 확인적 요인분석 = 50 4. 신뢰성 분석 = 51 5. 타당성 분석 = 53 제3절 연구 가설 검정 = 59 1. 연구 모형 분석 = 59 2. 웰빙 소비자 유형별 분류에 대한 소결론 = 63 제4절 웰빙 소비자군의 군집분석 = 64 1. 웰빙 지수에 따른 소비자 집단별 분석 = 64 2. 웰빙 소비자군 차이 검증 = 67 3. 웰빙 소비자군 분류에 대한 소결론 = 74 제5절 로하스 소비자군의 군집분석 = 75 1. 로하스 지수에 따른 소비자 집단별 분석 = 75 2. 로하스 소비자군 차이 검증 = 76 3. 로하스 소비자군 분류에 대한 소결론 = 82 제6절 담론 소구 방법 크리에이티브 전략 유형 분석 결과 = 83 1. 자료수집 = 83 2. 제품군 분류 = 83 3. 웰빙 광고물에 나타난 담론 유형별 분류 = 84 4. 광고 소구 기법별 분류 = 85 5. 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 유형별 분석 = 87 6. 코더 선정 및 훈련 = 87 7. 신뢰도 측정 = 88 8. 담론 분석 결과 = 89 9. 담론 및 전략 분석에 대한 소결론 = 97 Ⅵ. 결론 = 104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 104 제2절 연구 결과의 마케팅 시사점 및 활용방안 = 106 1. 연구결과의 시사점 = 106 2. 정책 활용 가능성 = 108 3. 경제 및 사회적 기여도 = 108 4.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 109 5. 관련분야 예상 파급효과 = 109 참고 문헌 = 111 설문지 = 118 광고물 담론 분석 코딩 매뉴얼 =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