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21세기 전자정부와 전자투표제도

21세기 전자정부와 전자투표제도 (Loan 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재선 金在仙
Title Statement
21세기 전자정부와 전자투표제도 / 김재선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오름,   2011  
Physical Medium
295 p. : 삽화 ; 23 cm
ISBN
9788977783652
General Note
부록: 현행 전자투표기기의 투표 3단계, 현행 투표 및 개표절차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79-287)과 색인수록
000 00826camcc2200277 c 4500
001 000045685963
005 20120112135157
007 ta
008 120110s2011 ulka b 001c kor
020 ▼a 9788977783652 ▼g 93340
035 ▼a (KERIS)REW000000137232
040 ▼d 244002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24.65 ▼2 22
085 ▼a 324.65 ▼2 DDCK
090 ▼a 324.65 ▼b 2011
100 1 ▼a 김재선 ▼g 金在仙 ▼0 AUTH(211009)10154
245 1 0 ▼a 21세기 전자정부와 전자투표제도 / ▼d 김재선 지음
246 1 1 ▼a 21st century e-government and e-voting
260 ▼a 서울 : ▼b 오름, ▼c 2011
300 ▼a 295 p. : ▼b 삽화 ; ▼c 23 cm
500 ▼a 부록: 현행 전자투표기기의 투표 3단계, 현행 투표 및 개표절차
504 ▼a 참고문헌(p. 279-287)과 색인수록
900 1 0 ▼a Kim, Jae-Sun,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24.65 2011 Accession No. 11165337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전자 민주주의(Electronic Democracy)란 넓은 의미에서 민주주의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변화시키는 정보통신기술에 의하여 개발된 모든 전자매체를 정치과정에서 활용하는 형태의 민주주의를 의미한다. 이를 구체화하면, 쌍방향적이며 동시적인 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국민의 정치참여를 높이고 정치참여에 따른 비용을 줄여 직접 민주주의를 실현할 수 있는 정치체제로 정의된다.

우리나라에서 전자투표제도를 안정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의미나 기술적 연구와 함께 각 유형에 따른 투표방식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제도적으로 보완하여 공정성과 법적 타당성이 확보되는 전자투표제도의 도입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_본문 중에서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재선(지은이)

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법제과 연구관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연구원 역임 고려대학교, 한경대학교, 명지전문대학 강사 역임 <학력사항> 고려대학교 법학박사(행정법 전공) <연구논문> 전자투표제도에 관한 공법적 고찰(박사학위논문, 2010) 공직선거에서의 여성후보추천할당제의 타당성 검토(세계헌법연구, 2010) 공직선거에서의 전자투표제도 도입을 위한 단계적 접근(중앙법학, 2011) 트위터(Twitter)를 이용한 선거운동의 공직선거법 적용방안에 관한 공법적 연구(고려법학, 2011) 외 다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전자투표란 무엇인가 
제1절 전자투표시대가 도래할 것인가 
제2절 전자투표란 무엇인가 
제3절 전자투표제도의 유형 
제4절 전자 민주주의의 수단으로서 전자투표제도 

제2장 전자투표제도 관련 법률 
제1절 헌법 
제2절 국회법 
제3절 지방자치법 
제4절 국민투표법과 주민투표법 
제5절 공직선거법 
제6절 공직선거관리규칙 
제7절 전산조직에 의한 투표 및 개표에 관한 규칙 
제8절 전자선거추진협의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 
제9절 정당의 예비경선 관련법제 
제10절 위탁선거관리규칙 

제3장 우리나라의 전자투표제도 추진현황 
제1절 국회 
제2절 국민투표와 주민투표 
제3절 정당경선 
제4절 공직선거 
제5절 검토 

제4장 외국의 전자투표제도 
제1절 도입개요 
제2절 미국 
제3절 독일 
제4절 일본 
제5절 브라질 
제6절 시사점 

제5장 투표영역별 전자투표제도 검토 
제1절 국회와 지방의회의 전자투표 
제2절 국민투표와 주민투표의 전자투표 
제3절 정당경선 등 위탁선거의 전자투표 

제6장 공직선거와 전자투표제도 
제1절 단계별 법적 쟁점 
제2절 공직선거법과 전자투표 
제3절 권리구제제도에 관한 법적 쟁점 
제4절 검토 

제7장 바람직한 전자투표제도 도입방안 
제1절 구체적 고려사항 
제2절 전자투표제도의 단계별 도입방안 
제3절 검토 

부록 1 현행 전자투표기기 투표3단계 
부록 2 현행 투표 및 개표절차 
부록 3 ABSTRACT 

참고문헌 
색인 
지은이 소개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연수원 (2022)
이재명 후보비서실. 메시지팀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2)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