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새 한국행정론

새 한국행정론 (Loan 1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태룡 金太龍
Title Statement
새 한국행정론 / 김태룡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대영문화사,   2012  
Physical Medium
585 p. : 삽화 ; 26 cm
ISBN
9788976443762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46-568)과 색인수록
000 00759camcc2200265 c 4500
001 000045685942
005 20120111183503
007 ta
008 120110s2012 ulka b 001c kor
020 ▼a 9788976443762 ▼g 93350
035 ▼a (KERIS)REQ000021868877
040 ▼a 211029 ▼c 211029 ▼d 211029 ▼d 211009
082 0 4 ▼a 351.519 ▼2 22
085 ▼a 351.53 ▼2 DDCK
090 ▼a 351.53 ▼b 2012
100 1 ▼a 김태룡 ▼g 金太龍 ▼0 AUTH(211009)53120
245 1 0 ▼a 새 한국행정론 / ▼d 김태룡
246 1 1 ▼a New Korea public administration
246 3 0 ▼a 한국행정론
246 3 1 ▼a Korea public administration
260 ▼a 서울 : ▼b 대영문화사, ▼c 2012
300 ▼a 585 p. : ▼b 삽화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546-568)과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53 2012 Accession No. 11165339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태룡(지은이)

상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전) 한국행정학회 회장 (전) 서울행정학회 회장 (전)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편집위원장 서울대학교 행정학 박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편 한국 행정: 어떻게 볼 것인가?
 제1장 한국 행정의 자화상 = 17
  제1절 한국 사회의 자화상 = 17
   1. 인구학적 변화 = 18
   2. 경제적 변화 = 19
  제2절 한국 행정의 자화상 = 22
   1. 양적 자화상 = 22
   2. 질적 자화상 = 29
 제2장 행정을 어떻게 볼 것인가? = 32
  제1절 행정을 보는 시각 = 32
   1. 행정관리설의 시각 = 33
   2. 통치기능설의 시각 = 34
   3. 행정행태설의 시각 = 34
   4. 발전기능설의 시각 = 34
   5. 거버넌스적 시각 = 34
   6. 신공공서비스적 시각 = 35
  제2절 행정의 구성 요소와 개념 = 36
   1. 행정의 구성 요소 = 36
   2. 행정의 개념 = 37
 제3장 한국 행정을 보는 시각 = 40
  제1절 한국 행정을 보는 다원적 시각 = 40
   1. 다원적 시각의 출발과 동인 = 40
   2. 한국 행정을 보는 다원적 시각들 = 42
  제2절 한국 행정에 대한 분석 시각 = 50
   1. 한국 행정을 보는 시각 = 50
   2. 한국 행정의 논의를 위한 틀 = 52
제2편 한국 행정과 환경: 소용돌이의 장
 제1장 한국 행정과 국내 환경 = 57
  제1절 한국 행정과 정치환경 = 57
   1. 행정과 정치: 관계를 보는 틀 = 57
   2. 한국 행정과 정치 = 61
  제2절 한국 행정과 경제환경 = 65
   1. 행정과 경제: 관계를 보는 틀 = 65
   2. 한국 행정과 경제 = 68
  제3절 한국 행정과 사회환경 = 74
   1. 행정과 사회: 관계를 보는 틀 = 74
   2. 한국 행정과 사회 = 76
  제4절 한국 행정과 시민환경 = 79
   1. 행정과 시민 = 79
   2. 한국 행정과 시민 = 81
  제5절 한국 행정과 법적 환경 = 85
   1. 행정과 법 = 85
   2. 한국의 행정과 법 = 87
 제2장 한국 행정과 국제/과학 환경 = 91
  제1절 한국 행정과 국제 환경 = 92
   1. 행정과 국제 환경 = 92
   2. 한국 행정과 국제 환경 = 99
  제2절 한국 행정과 생태/과학환경 = 102
   1. 행정과 상태/과학환경 = 102
   2. 한국 행정과 생태/과학환경 = 107
제3편 한국 행정과 존재 이유: 추구 가치
 제1장 한국 행정과 목적 가치 = 113
  제1절 행정과 목적 가치 = 114
   1. 공공성 = 114
   2. 공공성의 하위 가치 = 122
  제2절 한국 행정과 목적 가치 = 135
   1. 한국 행정과 공공성 = 135
   2. 한국 행정과 공공성의 하위 가치 = 141
   3. 한국 행정과 목적 가치의 특성 = 144
 제2장 한국 행정과 수단 가치 = 149
  제1절 행정과 수단 가치 = 149
   1. 합리성 = 150
   2. 민주성 = 151
   3. 합법성 = 152
   4. 효율성과 효과성 = 153
  제2절 한국 행정과 수단 가치 = 154
   1. 한국 행정과 수단 가치 = 155
   2. 한국 행정과 수단 가치의 특성 = 158
제4편 한국 행정과 관리
 제1장 한국 행정과 조직 = 167
  제1절 한국 행정과 조직구조 = 167
   1. 행정과 조직구조 = 167
   2. 한국 행정과 조직구조 = 174
  제2절 한국 행정과 조직 형태 = 184
   1. 행정과 조직 형태 = 184
   2. 한국 행정과 조직 형태 = 190
  제3절 한국 행정과 조직 규모 = 199
   1. 행정과 조직 규모 = 199
   2. 한국 행정과 조직 규모 = 211
  제4절 한국 행정과 준정부조직 = 220
   1. 행정과 준정부조직 = 221
   2. 한국 행정과 준정부조직 = 226
  제5절 한국 행정과 조직문화 = 233
   1. 행정과 조직문화 = 233
   2. 한국 행정과 조직문화 = 242
 제2장 한국 행정과 인사 = 250
  제1절 한국 행정과 인사제도 = 250
   1. 행정과 인사제도 = 250
   2. 한국 행정과 인사제도 = 256
  제2절 한국 행정과 공직분류제도 = 267
   1. 행정과 공직분류제도 = 267
   2. 한국 행정과 공직분류제도 = 271
  제3절 한국 행정과 인적자원관리 = 288
   1. 행정과 인적자원관리 = 288
   2. 한국 행정과 인적자원관리 = 303
  제4절 한국 행정과 공무원의 규범 = 319
   1. 행정과 공무원의 규범 = 319
   2. 한국 행정과 공무원의 규범 = 232
 제3장 한국 행정과 예산 = 340
  제1절 한국 행정과 예산의 종류/분류 = 340
   1. 행정과 예산의 종류/분류 = 341
   2. 한국 행정과 예산의 종류/분류 = 345
  제2절 한국 행정과 예산 과정 = 360
   1. 행정과 예산 과정 = 361
   2. 한국 행정과 예산 과정 = 369
  제3절 한국 행정과 예산제도 = 376
   1. 행정과 예산제도 = 376
   2. 한국 행정과 예산제도 = 386
제5편 한국 행정과 정책
 제1장 한국 행정과 정책형성 = 393
  제1절 행정과 정책 = 394
   1. 정책 목표 = 394
   2. 정책 유형 = 396
  제2절 한국 행정과 정책형성 = 399
   1. 행정과 정책형성 = 400
   2. 한국 행정과 정책형성 = 412
 제2장 한국 행정과 정책집행 = 442
  제1절 행정과 정책집행 = 442
   1. 정책집행의 의미 = 442
   2. 정책집행의 접근 방법 = 442
   3. 정책집행의 유형 = 444
   4. 정책집행의 성공 요인 = 445
  제2절 한국 행정과 정책집행 = 447
   1. 정책집행의 공동 참여 = 447
   2. 정책집행의 불응성의 증가 = 449
 제3장 한국 행정과 정책평가 = 452
  제1절 행정과 정책평가 = 452
   1. 정책평가의 의미 = 452
   2. 정책평가의 유형 = 452
   3. 정책평가의 절차와 설계 = 455
   4. 정책평가의 논리와 방법 = 456
   5. 정책평가의 한계 = 461
  제2절 한국 행정과 정책평가 = 464
   1. 한국의 정책평가제도의 변천 = 465
   2. 한국의 정책평가와 제도 = 469
제6편 한국 행정과 미래
 제1장 한국 행정과 통제 = 477
  제1절 행정과 책임 = 477
   1. 행정책임의 의미 = 477
   2. 행정책임의 유형 = 479
  제2절 한국 행정과 통제 = 481
   1. 행정과 통제 = 482
   2. 한국 행정과 통제 = 488
 제2장 한국 행정과 개혁 = 506
  제1절 행정과 개혁 = 506
   1. 행정개혁의 의미 = 506
   2. 행정개혁의 접근 방법 = 507
   3. 행정개혁의 모형 = 509
   4. 행정개혁의 과정 = 513
   5. 행정개혁과 저항 = 515
  제2절 한국 행정과 개혁 = 517
   1. 한국 행정개혁의 변천과 내용 = 517
   2. 한국 행정개혁의 특징과 방향 = 530
 제3장 한국 행정과 미래 = 535
  제1절 한국 행정과 현재 모습 = 535
   1. 경제환경과 한국 행정 = 536
   2. 정치환경과 한국 행정 = 536
   3. 사회ㆍ자연적 환경과 한국 행정 = 537
   4. 국제화ㆍ정보화와 한국 행정 = 538
   5. 가치 정향과 한국 행정 = 539
  제2절 한국 행정과 미래 = 540
   1. 행정에 가해지고 있는 세계적 조류 = 540
   2. 한국 행정의 미래 모습 = 542
참고 문헌 = 546
찾아보기 = 56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