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편 한국 행정: 어떻게 볼 것인가?
제1장 한국 행정의 자화상 = 17
제1절 한국 사회의 자화상 = 17
1. 인구학적 변화 = 18
2. 경제적 변화 = 19
제2절 한국 행정의 자화상 = 22
1. 양적 자화상 = 22
2. 질적 자화상 = 29
제2장 행정을 어떻게 볼 것인가? = 32
제1절 행정을 보는 시각 = 32
1. 행정관리설의 시각 = 33
2. 통치기능설의 시각 = 34
3. 행정행태설의 시각 = 34
4. 발전기능설의 시각 = 34
5. 거버넌스적 시각 = 34
6. 신공공서비스적 시각 = 35
제2절 행정의 구성 요소와 개념 = 36
1. 행정의 구성 요소 = 36
2. 행정의 개념 = 37
제3장 한국 행정을 보는 시각 = 40
제1절 한국 행정을 보는 다원적 시각 = 40
1. 다원적 시각의 출발과 동인 = 40
2. 한국 행정을 보는 다원적 시각들 = 42
제2절 한국 행정에 대한 분석 시각 = 50
1. 한국 행정을 보는 시각 = 50
2. 한국 행정의 논의를 위한 틀 = 52
제2편 한국 행정과 환경: 소용돌이의 장
제1장 한국 행정과 국내 환경 = 57
제1절 한국 행정과 정치환경 = 57
1. 행정과 정치: 관계를 보는 틀 = 57
2. 한국 행정과 정치 = 61
제2절 한국 행정과 경제환경 = 65
1. 행정과 경제: 관계를 보는 틀 = 65
2. 한국 행정과 경제 = 68
제3절 한국 행정과 사회환경 = 74
1. 행정과 사회: 관계를 보는 틀 = 74
2. 한국 행정과 사회 = 76
제4절 한국 행정과 시민환경 = 79
1. 행정과 시민 = 79
2. 한국 행정과 시민 = 81
제5절 한국 행정과 법적 환경 = 85
1. 행정과 법 = 85
2. 한국의 행정과 법 = 87
제2장 한국 행정과 국제/과학 환경 = 91
제1절 한국 행정과 국제 환경 = 92
1. 행정과 국제 환경 = 92
2. 한국 행정과 국제 환경 = 99
제2절 한국 행정과 생태/과학환경 = 102
1. 행정과 상태/과학환경 = 102
2. 한국 행정과 생태/과학환경 = 107
제3편 한국 행정과 존재 이유: 추구 가치
제1장 한국 행정과 목적 가치 = 113
제1절 행정과 목적 가치 = 114
1. 공공성 = 114
2. 공공성의 하위 가치 = 122
제2절 한국 행정과 목적 가치 = 135
1. 한국 행정과 공공성 = 135
2. 한국 행정과 공공성의 하위 가치 = 141
3. 한국 행정과 목적 가치의 특성 = 144
제2장 한국 행정과 수단 가치 = 149
제1절 행정과 수단 가치 = 149
1. 합리성 = 150
2. 민주성 = 151
3. 합법성 = 152
4. 효율성과 효과성 = 153
제2절 한국 행정과 수단 가치 = 154
1. 한국 행정과 수단 가치 = 155
2. 한국 행정과 수단 가치의 특성 = 158
제4편 한국 행정과 관리
제1장 한국 행정과 조직 = 167
제1절 한국 행정과 조직구조 = 167
1. 행정과 조직구조 = 167
2. 한국 행정과 조직구조 = 174
제2절 한국 행정과 조직 형태 = 184
1. 행정과 조직 형태 = 184
2. 한국 행정과 조직 형태 = 190
제3절 한국 행정과 조직 규모 = 199
1. 행정과 조직 규모 = 199
2. 한국 행정과 조직 규모 = 211
제4절 한국 행정과 준정부조직 = 220
1. 행정과 준정부조직 = 221
2. 한국 행정과 준정부조직 = 226
제5절 한국 행정과 조직문화 = 233
1. 행정과 조직문화 = 233
2. 한국 행정과 조직문화 = 242
제2장 한국 행정과 인사 = 250
제1절 한국 행정과 인사제도 = 250
1. 행정과 인사제도 = 250
2. 한국 행정과 인사제도 = 256
제2절 한국 행정과 공직분류제도 = 267
1. 행정과 공직분류제도 = 267
2. 한국 행정과 공직분류제도 = 271
제3절 한국 행정과 인적자원관리 = 288
1. 행정과 인적자원관리 = 288
2. 한국 행정과 인적자원관리 = 303
제4절 한국 행정과 공무원의 규범 = 319
1. 행정과 공무원의 규범 = 319
2. 한국 행정과 공무원의 규범 = 232
제3장 한국 행정과 예산 = 340
제1절 한국 행정과 예산의 종류/분류 = 340
1. 행정과 예산의 종류/분류 = 341
2. 한국 행정과 예산의 종류/분류 = 345
제2절 한국 행정과 예산 과정 = 360
1. 행정과 예산 과정 = 361
2. 한국 행정과 예산 과정 = 369
제3절 한국 행정과 예산제도 = 376
1. 행정과 예산제도 = 376
2. 한국 행정과 예산제도 = 386
제5편 한국 행정과 정책
제1장 한국 행정과 정책형성 = 393
제1절 행정과 정책 = 394
1. 정책 목표 = 394
2. 정책 유형 = 396
제2절 한국 행정과 정책형성 = 399
1. 행정과 정책형성 = 400
2. 한국 행정과 정책형성 = 412
제2장 한국 행정과 정책집행 = 442
제1절 행정과 정책집행 = 442
1. 정책집행의 의미 = 442
2. 정책집행의 접근 방법 = 442
3. 정책집행의 유형 = 444
4. 정책집행의 성공 요인 = 445
제2절 한국 행정과 정책집행 = 447
1. 정책집행의 공동 참여 = 447
2. 정책집행의 불응성의 증가 = 449
제3장 한국 행정과 정책평가 = 452
제1절 행정과 정책평가 = 452
1. 정책평가의 의미 = 452
2. 정책평가의 유형 = 452
3. 정책평가의 절차와 설계 = 455
4. 정책평가의 논리와 방법 = 456
5. 정책평가의 한계 = 461
제2절 한국 행정과 정책평가 = 464
1. 한국의 정책평가제도의 변천 = 465
2. 한국의 정책평가와 제도 = 469
제6편 한국 행정과 미래
제1장 한국 행정과 통제 = 477
제1절 행정과 책임 = 477
1. 행정책임의 의미 = 477
2. 행정책임의 유형 = 479
제2절 한국 행정과 통제 = 481
1. 행정과 통제 = 482
2. 한국 행정과 통제 = 488
제2장 한국 행정과 개혁 = 506
제1절 행정과 개혁 = 506
1. 행정개혁의 의미 = 506
2. 행정개혁의 접근 방법 = 507
3. 행정개혁의 모형 = 509
4. 행정개혁의 과정 = 513
5. 행정개혁과 저항 = 515
제2절 한국 행정과 개혁 = 517
1. 한국 행정개혁의 변천과 내용 = 517
2. 한국 행정개혁의 특징과 방향 = 530
제3장 한국 행정과 미래 = 535
제1절 한국 행정과 현재 모습 = 535
1. 경제환경과 한국 행정 = 536
2. 정치환경과 한국 행정 = 536
3. 사회ㆍ자연적 환경과 한국 행정 = 537
4. 국제화ㆍ정보화와 한국 행정 = 538
5. 가치 정향과 한국 행정 = 539
제2절 한국 행정과 미래 = 540
1. 행정에 가해지고 있는 세계적 조류 = 540
2. 한국 행정의 미래 모습 = 542
참고 문헌 = 546
찾아보기 = 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