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89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685453 | |
005 | 20120103110504 | |
007 | ta | |
008 | 111129s2011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63307824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2613367 | |
040 | ▼a 222001 ▼c 222001 ▼d 244002 | |
082 | 0 4 | ▼a 150.195 ▼a 155.2 ▼2 22 |
085 | ▼a 150.195 ▼2 DDCK | |
090 | ▼a 150.195 ▼b 2011z6 | |
100 | 1 | ▼a 최영민 |
245 | 2 0 | ▼a (쉽게 쓴) 자기심리학 / ▼d 최영민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1 | |
300 | ▼a 302 p.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p. 293-295)과 색인(p. 296-302)수록 | |
600 | 1 4 | ▼a Kohut, Heinz, ▼d 1913-1981 |
653 | ▼a 심리학 ▼a 자기심리학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150.195 2011z6 | 등록번호 1513049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 | 청구기호 150.195 2011z6 | 등록번호 15130505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Freud에 의해 창시된 정신분석은 이드심리학(id psychology), 자아심리학(ego psychology),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s theory), 자기심리학(self psychology) 등으로 꾸준히 그 이론이 확대되거나 수정·발전되어 왔다. 그 결과, 현대 정신분석학은 일치된 하나의 사상이라기보다 많은 이론과 지식들이 정교하고 복잡한 관계 속에 공존하면서 진화해 온 집합체의 모습을 갖게 되었다. 이 책은 현대 정신분석학 중에서 Heinz Kohut의 자기심리학에 관한 내용을 소개한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최영민(지은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며 의학박사이다. 설리반의 이론과 현대 인간관계 정신분석을 지향하는 인간관계 분석치료회에서 수련을 받았으나(1992~1995), 특정학파에 소속하지 않고 정신분석 각 학파의 개념들을 비교분석하는 작업을 계속해 오고 있다. 궁극적으로 기독교 신앙 안에서 정신분석 개념들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하고 있다. 「정신분석의 역사-분석이론의 진화를 중심으로」 「정신병리적 종교성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상호주관성-정신분석 패러다임의 변화」 「자아심리학과 대상관계이론의 비교」 「기독교 신앙이 외래 정신분열병 환자에 미치는 영향」 등 55편의 논문이 있으며, 『영성지향심리치료』 『새로운 나를 여는 열쇠』 등 10권의 저서 및 역서가 있다. 2010년에 출판된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쉽게 쓴 정신분석이론』은 대한민국학술원 기초학문육성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현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주임교수이며,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과장이다.

목차
목차 머리말 = 3 1 Heinz Kohut의 생애 = 13 2 자기애에 대한 새로운 이해 = 29 Freud의 자기애 개념 = 31 Kohut의 새로운 자기애 이해 = 39 3 자기의 발달과정 = 49 자기의 기원 = 51 자기대상 = 58 최적의 좌절 = 64 변형 내재화 = 69 4 양극성 자기 = 77 이상화 부모 이마고 = 82 과대 자기 = 88 중간영역 : 쌍둥이 자기대상 욕구 = 91 5 자기의 장애 = 109 자기의 일치장애와 이차장애 = 112 자기-병리의 원인 = 117 정신 병리와 증상론 = 120 손상된 자기와 행동 양상 = 133 6 자기애적 인격장애의 치료 = 137 고전적 정신분석과 자기심리학 정신분석에서 치유의 차이 = 139 자기애적 인격장애의 정신분석과 공감 = 144 자기대상 전이 = 155 쌍둥이(분신) 자기대상 전이 = 215 7 자기심리학 정신분석의 고유한 개념들 = 223 자기 해체의 불안과 자기-상태 꿈 = 225 자기애적 분노 = 229 자기심리학 정신분석에서의 저항 = 231 자기심리학 정신분석에서의 해석 = 233 8 자기심리학 분석 사례 = 241 X씨에 대한 자기심리학 분석 = 243 Z씨에 대한 두 가지 분석 = 258 참고문헌 = 293 찾아보기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