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 이민 초기 교육의 발자취 : 미국, 일본, 중국, 카자흐스탄의 초기 한국어 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 이민 초기 교육의 발자취 : 미국, 일본, 중국, 카자흐스탄의 초기 한국어 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강양원, 편 You, Clare, 편 김동훈, 저 박태수, 저 허청선, 저 김덕룡, 저 Kim, German Nikolaevich, 저 김상철, 저
서명 / 저자사항
한국 이민 초기 교육의 발자취 : 미국, 일본, 중국, 카자흐스탄의 초기 한국어 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 강양원, 클레어 유 편저
발행사항
서울 :   선인,   2011  
형태사항
307 p. : 삽화 ; 24 cm
총서사항
선인한국학 연구총서 ;052
ISBN
9788959334940
일반주기
집필자: 김동훈, 박태수, 허청선, 김덕룡, 게르만 김(German Nikolaevich Kim), 김상철  
부록: 미국 초기 이민사회의 교육 자료 채집 과정 보고, 미국초기 이민 교육 관련 자료(1906-1970s) 외  
'클레어 유'의 한국명은 '임정빈'임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1437camcc2200421 c 4500
001 000045684953
005 20111230170755
007 ta
008 111229s2011 ulka b 000c kor
020 ▼a 9788959334940 ▼g 93900
035 ▼a (KERIS)BIB000012609045
040 ▼a 211032 ▼d 244002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495.7/80071 ▼2 22
085 ▼a 497.80071 ▼2 DDCK
090 ▼a 497.80071 ▼b 2011z3
245 0 0 ▼a 한국 이민 초기 교육의 발자취 : ▼b 미국, 일본, 중국, 카자흐스탄의 초기 한국어 교육 자료를 중심으로 / ▼d 강양원, ▼e 클레어 유 편저
260 ▼a 서울 : ▼b 선인, ▼c 2011
300 ▼a 307 p. : ▼b 삽화 ; ▼c 24 cm
440 0 0 ▼a 선인한국학 연구총서 ; ▼v 052
500 ▼a 집필자: 김동훈, 박태수, 허청선, 김덕룡, 게르만 김(German Nikolaevich Kim), 김상철
500 ▼a 부록: 미국 초기 이민사회의 교육 자료 채집 과정 보고, 미국초기 이민 교육 관련 자료(1906-1970s) 외
500 ▼a '클레어 유'의 한국명은 '임정빈'임
504 ▼a 참고문헌 수록
536 ▼a 이 연구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지원을 받았음
546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700 1 ▼a 강양원, ▼e
700 1 ▼a You, Clare, ▼e▼0 AUTH(211009)127991
700 1 ▼a 김동훈, ▼e
700 1 ▼a 박태수, ▼e
700 1 ▼a 허청선, ▼e
700 1 ▼a 김덕룡, ▼e
700 1 ▼a Kim, German Nikolaevich, ▼e
700 1 ▼a 김상철, ▼e
900 1 0 ▼a 임정빈, ▼e
900 1 0 ▼a 김, 게르만,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80071 2011z3 등록번호 1116521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선인한국학 연구총서 52번째 책. 1세기 반여 년을 동북아시아지역과 미주 등 몇몇 나라에 자리 잡아온 한인사회들의 오래된 창문을 열어보기로 한 것이다. 이들의 역사적 흐름을 배경으로 하고 이주한인들의 옛 서적, 그중에서도 이민들이 제작한 한국어출판물들 중 교육적 자료들만을 찾아서 당시 이민사회의 정신적 구상과 교육이념을 살피고 분석해보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이민 초기 당시 나라를 잃은 역사적 위기 상황에서도 타국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유지하고자 했던 한국이민사회

1세기 반여 년을 동북아시아지역과 미주 등 몇몇 나라에 자리 잡아온 한인사회들의 오래된 창문을 열어보기로 한 것이다. 이들의 역사적 흐름을 배경으로 하고 이주한인들의 옛 서적, 그중에서도 이민들이 제작한 한국어출판물들 중 교육적 자료들만을 찾아서 당시 이민사회의 정신적 구상과 교육이념을 살피고 분석해보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중국: 중국은 한국과 가장 장기간 교류했던 이웃 나라이며 일본이 관여하기 전까지는 한국의 문화, 풍습, 언어, 정치면에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나라이다. 근대 이주 역사에 있어서 한국인의 이주생활이 시작된 1800년대 후반 명나라 후기부터 1940년 사이에 가장 많은 한국 이주민을 받아들인 나라이기도 하다. 또한 중국 북방 지역은 지리적으로 한국과 가까웠던 관계로 조선인들이 지금과 같이 복잡한 이민 수속을 거치지 않고도 자유롭게 오갈 수 있었고, 조선의 언어나 풍습을 유지하기가 가능했던 곳이다. 특히 국경에 접해있던 지역 주민들은 일찍이 깊지 않은 두만강을 건너 중국의 밭에다 농사를 짓고 다시 강을 건너 집으로 돌아오기도 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게다가 조선이주민들은 한국어나 한국 풍습을 유지해 나가는 것에 대해 중국 정부로부터 비교적 큰 제재를 받지 않은 까닭에 중국의 조선족들은 다른 나라에 정착한 이주민보다도 현재까지 모국어를 활용해오고 있는 편이다.…

■카자흐스탄/소련: 전 제정러시아 또는 USSR의 연방이었던 카자흐스탄은 1991년까지 소련에 속했다. 모든 공무와 출판도 소련에 속했고 그 내에서 움직였다. 이 책은 19세기 초 제정러시아의 연해주 지역에 살던 한인 이민사회에서 시작된다. 국경을 접하고 있는 소련으로의 이민이 시작된 시기는 1860년 후반기부터이다. 1920년 중반기까지 기근, 자연 재난, 서민 착취, 농지 소유 금지와 일본의 탄압 등으로 인해 한인들은 자발적으로 또는 강제적으로 여러 차례에 걸쳐 소련 연해주지역으로 이주했다.…

■일본: 1910년 일본의 강제 한국 합병 후 농토를 잃고 궁핍해진 한국인들이 1920년대부터 오사카 지여으로 모이게 된 근원, 그로부터 10여 년 후인 1932년도에는 서울에 버금가는 22만 명의 인구가 오사카 한인사회를 형성한 역사적 배경 요소, 이민들의 반영구 정착에 따른 사회의식의 변화와 당면한 자녀교육 문제 등을 단계적으로 소개하였다.…
■미국: 미국의 이민 역사는 앞에서 열거한 세 가지 나라와는 또 다르다. 첫째, 미국은 지리적으로 바다 건너 4,500마일 이상 떨어져 있고, 둘째, 역사적 배경과 문화, 인종이 전혀 다른 나라이다. 일본, 중국은 오랜 역사 속에서 사상, 문물 등이 오가며 상호 다양한 형태의 교류가 있었지만 미국은 그렇지 않았다. 경제적 기회를 찾아 몇 달씩 배를 타고 생소하기만 한 미국으로 가야 했던 이민들은 일본이나 중국으로 가던 이민들과는 또 다른 심정과 자세를 가졌을 것이다. 당시 한국인들로서는 도착하여 처음 마주치는 다른 인종의 사람들, 노동, 언어, 음식, 풍습과 예의, 가치관, 자연환경 등은 상상조차 못했을 것이다. 따라서 모국의 존재마저 위태로웠던 당시 그들의 장래에 대한 희망과 목적들도 병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저자소개
[미국] 강(하)양원: U.C Berkeley 한국한 연구소 프로그램디렉터 역임. 현 워싱턴대학 Jackson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ffiliated Research Fellow
Clare You(한국명: 임정빈): U.C Berkeley 동양어문학과 한국어 프로그램 주임 및 한국학 연구소 소장 역임. 현재 동 연구소 Senior Research Fellow
[중국] 김동훈: 연변대학 문학교수, 연변대학 조선언어문학연구소 소장. 상해공상외국어대학 한국어학부 학부장 등 역임
박태수: 연변대학 사범학원 부원장. 연변심리학회 회장. 길림성 민족교육교수연구회 부회장 등 역임. 현재 연변대학 교육학 교수. 동 대학 조선족교육연구소 소장
허청선: 연변대학 교육학 교수 및 교육학심리학교연부 주임 등 역임. 전국조선문교재 심사위원, 연변교육학회 부회장. 전 민족교육연구회 이사
[일본] 김덕룡: 재일조선대학교 교원 등 역임. 현재 회사원이자 오사카 경제 법과대학. 아세아 태평양 연구센터(도쿄) 객원연구원
[러시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게르만 김: 카자흐스탄 한국학회 부회장. 고려인협회 부회장을 역임. 현 카자흐스탄 알-파라비 국립대학교 교수
김상철: 카자흐스탄 알-파라비 카작국립대학교. 동양학대학 한국학과(2001~2007)에서 연구 활동.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앙아시아 연구소 연구교수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강양원(지은이)

U.C. Berkeley 한국학 연구소 프로그램디렉터 역임 현 워싱턴대학 Jackson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ffiliated Research Fellow

클레어 유(지은이)

U.C. Berkeley 동양어문학과 한국어 프로그램 주임 및 한국학 연구소 소장 역임 현재 동 연구소 Senior Research Fellow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미국 
 초기 미국 이민사회의 교육 자료 / 강양원ㆍ클레어 유 
 1. 들어가는 말 = 27 
 2. 초기 미국 이민사회 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선정된 교육 자료 소개 = 31
  1) 1900년대∼1910년대: 『國民讀本(국민독본)』및 『大道(대도)』 = 32
  2) 1920년대:『初等國民讀習(초등국민독습)』 = 38
  3) 1930년대와 1940년대:『Korean Reader: A Textbook for Beginners(初等 한글 敎科書)』 = 39
 3. 자료 내용 분석 = 40
  1) 1910년대∼1920년대 자료들 = 41
  2) 1920년대: 『초등국민독습』제3권 = 63
  3) 1930년대 및 1940년대의 변화 = 78
  4. 맺는 말 = 82
  참고문헌 = 87
부록 = 89
 미국 초기 이민사회의 교육 자료 채집 과정 보고  
 미국 초기 이민 교육 관련 자료(1906∼1970s) 
중국 
 중국 조선족 중ㆍ소학교 조선어문교육의 역사적 전통과 발전 / 박태수ㆍ허청선 
  1. 들어가는 말 = 101
  2. 이민 초기 조선족 사립학교 조선어문교육 : 1906년 1920년대 말 = 102
   1)『유년필독』 = 103
   2)『조선어독본』 = 111
  3. 일본의 민족어문교육말살정책 : 1910년대 초기 ∼ 1920년대 말 = 114
  4. 항일유격 근거지 조선족학교의 조선어문교육 : 1931년 9ㆍ18사변 이후 = 116
  5. 민족어문말살교육정책을 반대한 투쟁 = 117
  6. 조선어문교육의 회복과 발전 : 1945년 해방 이후 = 119
   1) 소학교 한글 교과서 = 121
   2) 초급 중학교 조선어 = 128
   3) 고급 중학교 한글 교과서 = 134
  7. '대약진' 시기 조선어문 교과서(1958∼1960년) = 140
  8. 맺는말 = 143
  참고문헌 = 148
북간도 초기의 민간서지 / 김동훈 
 1. 들어가는 말 = 149
 2.『초등소학수신서』는 언제, 어디서 출간되었는가? = 151
 3.『초등소학수신서』의 저자는 누구인가? = 153
 4.『초등소학수신서』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 155
 5.『초등소학수신서』는 어떤 학술적 가치가 있는가? = 158
 참고문헌 = 161
부록 = 162
 중국조선민족교육 관련 자료에 대하여  
 초기 재중 조선인 민족교육 교재 실례 일람(∼2007년)  
일본  
 초기 재일조선인 교육에서 쓰인 조선어 교재에 관한 고찰 / 김덕룡  
  1. 들어가는 말 = 169
  2. 초기 조선어 교육의 사회적ㆍ정치적 배경 = 170
   1) 일제 식민지기 = 170
   2) 재일조선인련맹(조련)기: 1945년 8월∼1950년 = 178
   3) 민주전선기: 1950년대 초기∼1955년 5월 = 184
   4) 조선총련기: 1955년 5월 25일∼1960년대 = 186
  3. 교재 사례의 검토 = 190
   1) 해방 전: 식민지 시기 1945년 이전 = 190
   2) 해방 후: 1945년 8월 15일∼1960년대 = 191
   3) 조선총련기 조선어 교재 편찬상의 교육학적 특징 = 200
   4) 개별 교재 고찰: 부교재 『어린이통신』을 중심으로 = 202
  4. 맺는말 = 210
  참고문헌 = 211
부록 = 213
 재일조선인 민족교육 관련 고서 채집 과정에 대하여  
 초기 재일조선인 민족교육 교재 일람(∼1964년)  
카자흐스탄/소련  
 Korean Books in Kazakhstan / German N. Kim  
  1. Foreword = 221 
  2. The Old Korean Books in Kazakhstan = 225
  3.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of the Korean Language Published in Russia in the Nineteenth Century = 238
  4.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on Korean Published in the USSR in the 1920s and 1930s = 245
  5.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on Korean Published in the USSR in the 1940s through 1960s = 253
  6. Conclusion = 261
 Early Korean Textbook in Soviet Uzbekistan / Sang Chul Kim  
  1. Background of the Textbook Choseoneo Kyokwaseo (조선어교과서) = 265
  2. Organization of the Text = 267
  3. Content Analysis = 270
   1) Grammatical aspect = 270
   2) Sociolinguistic Aspect = 272
  4. The Korean Dictionary of Soviet Uzbekistan = 277
  5. Conclusion = 278
 Bibliography and References = 280
부록 = 292
 Catalogue of Old Books in Kazakhstan  
 List of Old Korean Books in Kazakhstan  
 List of Old Korean Textbooks in Kazakhstan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