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이론에서의 해석적 기술
1. 응용학문에서의 질적 연구 = 27
이론구성과 적용 = 27
간호학의 예 = 29
방법론적 기원 = 31
민족지 = 32
근거이론 = 33
현상학 = 33
분리와 다양화 = 34
해석적 기술방법의 탄생 = 38
해석적 기술방법과 해석적 기술방법이 아닌 것 = 40
2. 임상현장에서 제기되는 질문들 = 43
질문이란 무엇인가? = 43
어디서부터 시작하는가? = 44
질적 연구 질문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 45
학문분야의 연구 질문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 46
질적으로 연구하는 것의 가치는 무엇인가? = 50
해석적 기술 연구에서의 연구 질문 구성 = 51
연구 가능한 문제 발견 = 52
연구 질문의 틀 구성 = 53
연구 질문을 해석적 기술 연구의 질문으로 구체화하기 = 55
기술이란 무엇인가? = 55
해석이란 무엇인가? = 56
해석적 기술이란 무엇인가? = 58
3. 연구 토대 구축 = 61
문헌고찰 = 63
문헌 검색 = 63
인터넷의 영향 = 63
검색 결과의 확장과 강화 = 64
문헌 분류와 조직 = 66
문헌고찰 해석과 기술 = 69
문헌고찰 기술 방법 = 69
문헌고찰의 방향을 연구 질문에 맞추기 = 70
문헌고찰의 결론 = 71
이론적 구조의 명료화 = 73
이론적 입장의 정리 = 74
학문적 입장 정립 = 76
연구자가 아이디어 내에 정립하기 = 79
4. 연구 설계 틀 구성 = 85
해석적 기술방법의 기초 다지기 = 86
연구 설계 구성요소 = 87
연구 계획 초안 구성 = 88
연구 계획서 작성 = 89
연구윤리 승인 획득 = 89
설계 안의 선정 = 90
자료 출처의 결정 = 91
면담 = 91
참여 관찰 = 93
포커스 그룹 = 95
문서 자료와 기타 자료 출처 = 96
다양한 자료 출처의 이용 = 100
5. 신뢰할만한 연구를 위한 전략 = 101
표집? = 102
재현? = 102
표집방법? = 104
편의 표집 = 104
목적적 표집 = 105
이론적 표집 = 106
표본 구성원과 관련된 용어 찾기 = 107
표본 크기 산출? = 109
범위 정하기 = 111
자료 수집과 분석을 통한 사고 = 114
신뢰성 지표 구축? = 116
계획과 적용 = 119
제2부 과정 속에서의 해석적술
6. 현장에 들어가기 = 123
연구역할에서 자아정립 = 124
반영추적 = 125
이끄는 것이 아닌 배우는 것? = 126
노출 훈련? = 127
역할에서 물러나기? = 128
드러내고 감추기? = 129
사전 동의 협상? = 130
당신의 언어 발견하기 = 132
당신의 영향력 자제 = 133
연구현장에서 자신의 위치 정하기 = 135
내부자와 외부자 = 136
조정 접근? = 137
주시와 행위 = 138
안전유지 = 139
비밀보장 = 140
7. 자료 구성 = 143
자료에 참여하는 과정 = 143
자료 수집을 위한 선택 = 145
면담? = 147
강점과 약점의 이해 = 147
질 증진 = 150
포커스 그룹 = 152
강점과 약점의 이해 = 152
질 증진 = 154
참여관찰 = 155
강점과 약점의 이해 = 155
질 증진 = 156
자료 수집 처리 = 158
자료 보호 = 158
분류와 조직화? = 159
추적구조 = 160
8. 자료 이해하기 = 163
자료 분석 작업 = 163
각각의 자료에서 패턴으로 = 164
코딩의 전통 = 166
코딩에 대한 대안 = 170
패턴으로부터 관련성으로 = 172
자료를 알리기 = 173
기법 빌리기 = 174
분석적 사고를 기록하기 = 177
있는 그대로의 자료 분석 = 179
위험요소 피하기 = 180
조기 종결 = 181
빈도 자료를 잘못 해석하기 = 181
자신을 지나치게 드러내기 = 182
목적에 접근하기 = 183
기초 다지기 = 184
관련성 확장하기 = 185
관계성 검증하기 = 186
연구 자료 이외의 자료를 이용하기 = 187
비평하기 = 188
9. 연구결과를 개념화하기 = 191
자료를 변환하기 = 191
개념단계를 구상하기 = 192
개념적으로 자료를 연구하기 = 193
자료 분석의 인지적 과정 = 194
개념적 분석을 발전시키는 기전 = 195
개념화의 예술과 과학 = 198
개념의 본질 = 199
주제별 서술을 통한 개념화하기 = 203
분석을 결론으로 이끌기 = 206
10. 결과물 작성하기 = 209
단계 설정하기 = 209
준비성 판단하기 = 209
구조를 결정하기 = 210
글쓰기 양식을 결정하기 = 213
과정에의 참여 = 216
집필자의 집필양식 찾기 = 216
사례에 대한 전략 세우기 = 218
접근가능한 감사 추적법 만들기 = 220
예측 가능한 문제점 피하기 = 222
은유의 오용 = 222
기술 혹은 분석 과잉 = 223
개념적 혼동 = 224
제3부 맥락에서의 해석적 기술
11. 결과에 대한 이해 = 229
결과물을 토론하기 = 229
중요한 것 확인하기 = 230
해석 방법 결정하기 = 232
원문 문헌 = 233
새로운 문헌 = 234
해석을 확대하기 = 237
결론 도출 = 240
함축성을 고려하기 = 244
추후 연구를 위한 함축성 = 244
기타를 위한 함축성 = 246
12. 지식 전파 = 247
전문적, 학문적 소통 = 247
출판 선택권 = 248
발표 체재 = 251
지식 전달 프로젝트 = 253
대중적 영역 소통 = 254
예술적인 표현 = 254
언론 매체를 참여하게 만들기 = 256
정보 기술을 이용하기 = 258
집단 참여 = 258
13. 신뢰성의 강화 = 261
질의 고려 = 262
평가 표준 = 264
인식론적 통합성 = 264
대표적 신뢰성 = 264
분석적 논리 = 265
해석적 권위 = 266
평가를 넘어서 = 267
도덕적인 변호 가능성 = 267
학문간의 관련성 = 268
실용적인 의무 = 268
맥락적 인지 = 269
가능한 진실 = 271
불가피한 표준 = 272
14. 해석적 기술로의 발전적인 증거 = 273
증거 논쟁에의 참여 = 273
연구 산물을 이용하기 = 277
통합과 종합의 방향 = 279
낙관적으로 미래를 바라보기 = 284
참고문헌
저자에 대하여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