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해석적 기술

해석적 기술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Thorne, Sally 조명옥, 역 이영희, 역 고성희, 역 최호정, 역 김미영, 역
서명 / 저자사항
해석적 기술 / Sally Thorne 저 ; 조명옥 [외] 역
발행사항
서울 :   하누리,   2011  
형태사항
309 p. ; 23 cm
원표제
Interpretive description
ISBN
9788991130210
일반주기
공역자: 이영희, 고성희, 최호정, 김미영  
서지주기
참고문헌(p. 289-305)과 색인(p. 307-309)이 있음
일반주제명
Education -- Research Education -- Research -- Methodology
000 01001camcc2200337 c 4500
001 000045684433
005 20111228104623
007 ta
008 111111s2011 ulk b b001c kor
020 ▼a 9788991130210 ▼g 94510
035 ▼a (KERIS)BIB000012588001
040 ▼a 211017 ▼c 211017 ▼d 211017 ▼d 244002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0.72 ▼2 22
085 ▼a 370.72 ▼2 DDCK
090 ▼a 370.72 ▼b 2011z1
100 1 ▼a Thorne, Sally
245 1 0 ▼a 해석적 기술 / ▼d Sally Thorne 저 ; ▼e 조명옥 [외] 역
246 1 9 ▼a Interpretive description
260 ▼a 서울 : ▼b 하누리, ▼c 2011
300 ▼a 309 p. ; ▼c 23 cm
500 ▼a 공역자: 이영희, 고성희, 최호정, 김미영
504 ▼a 참고문헌(p. 289-305)과 색인(p. 307-309)이 있음
650 0 ▼a Education ▼x Research
650 0 ▼a Education ▼x Research ▼x Methodology
700 1 ▼a 조명옥, ▼e
700 1 ▼a 이영희, ▼e
700 1 ▼a 고성희, ▼e
700 1 ▼a 최호정, ▼e
700 1 ▼a 김미영,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과비치/ 청구기호 정보수학과 370.72 2011z1 등록번호 151304832 도서상태 대출불가(열람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제1부 이론에서의 해석적 기술 
 1. 응용학문에서의 질적 연구 = 27 
  이론구성과 적용 = 27 
   간호학의 예 = 29 
   방법론적 기원 = 31 
    민족지 = 32 
    근거이론 = 33 
    현상학 = 33 
   분리와 다양화 = 34 
  해석적 기술방법의 탄생 = 38 
  해석적 기술방법과 해석적 기술방법이 아닌 것 = 40 
 2. 임상현장에서 제기되는 질문들 = 43 
  질문이란 무엇인가? = 43 
   어디서부터 시작하는가? = 44 
   질적 연구 질문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 45 
   학문분야의 연구 질문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 46 
   질적으로 연구하는 것의 가치는 무엇인가? = 50 
  해석적 기술 연구에서의 연구 질문 구성 = 51 
   연구 가능한 문제 발견 = 52 
  연구 질문의 틀 구성 = 53 
  연구 질문을 해석적 기술 연구의 질문으로 구체화하기 = 55 
   기술이란 무엇인가? = 55 
   해석이란 무엇인가? = 56 
   해석적 기술이란 무엇인가? = 58 
 3. 연구 토대 구축 = 61 
  문헌고찰 = 63 
   문헌 검색 = 63 
    인터넷의 영향 = 63 
    검색 결과의 확장과 강화 = 64 
   문헌 분류와 조직 = 66 
   문헌고찰 해석과 기술 = 69 
    문헌고찰 기술 방법 = 69 
    문헌고찰의 방향을 연구 질문에 맞추기 = 70 
    문헌고찰의 결론 = 71 
   이론적 구조의 명료화 = 73 
    이론적 입장의 정리 = 74 
    학문적 입장 정립 = 76 
    연구자가 아이디어 내에 정립하기 = 79 
 4. 연구 설계 틀 구성 = 85 
  해석적 기술방법의 기초 다지기 = 86 
  연구 설계 구성요소 = 87 
   연구 계획 초안 구성 = 88 
   연구 계획서 작성 = 89 
   연구윤리 승인 획득 = 89 
   설계 안의 선정 = 90 
  자료 출처의 결정 = 91 
   면담 = 91 
   참여 관찰 = 93 
   포커스 그룹 = 95 
   문서 자료와 기타 자료 출처 = 96 
   다양한 자료 출처의 이용 = 100 
 5. 신뢰할만한 연구를 위한 전략 = 101 
  표집? = 102 
   재현? = 102 
   표집방법? = 104 
    편의 표집 = 104 
    목적적 표집 = 105 
    이론적 표집 = 106 
   표본 구성원과 관련된 용어 찾기 = 107 
   표본 크기 산출? = 109 
   범위 정하기 = 111 
  자료 수집과 분석을 통한 사고 = 114 
  신뢰성 지표 구축? = 116 
  계획과 적용 = 119 
제2부 과정 속에서의 해석적술 
 6. 현장에 들어가기 = 123 
  연구역할에서 자아정립 = 124 
   반영추적 = 125 
   이끄는 것이 아닌 배우는 것? = 126 
   노출 훈련? = 127 
   역할에서 물러나기? = 128 
   드러내고 감추기? = 129 
   사전 동의 협상? = 130 
   당신의 언어 발견하기 = 132 
   당신의 영향력 자제 = 133 
  연구현장에서 자신의 위치 정하기 = 135 
   내부자와 외부자 = 136 
   조정 접근? = 137 
   주시와 행위 = 138 
   안전유지 = 139 
   비밀보장 = 140 
 7. 자료 구성 = 143 
  자료에 참여하는 과정 = 143 
  자료 수집을 위한 선택 = 145 
   면담? = 147 
    강점과 약점의 이해 = 147 
    질 증진 = 150 
   포커스 그룹 = 152 
    강점과 약점의 이해 = 152 
    질 증진 = 154 
   참여관찰 = 155 
    강점과 약점의 이해 = 155 
    질 증진 = 156 
  자료 수집 처리 = 158 
   자료 보호 = 158 
   분류와 조직화? = 159 
   추적구조 = 160 
 8. 자료 이해하기 = 163 
  자료 분석 작업 = 163 
   각각의 자료에서 패턴으로 = 164 
    코딩의 전통 = 166 
    코딩에 대한 대안 = 170 
   패턴으로부터 관련성으로 = 172 
    자료를 알리기 = 173 
    기법 빌리기 = 174 
    분석적 사고를 기록하기 = 177 
  있는 그대로의 자료 분석 = 179 
   위험요소 피하기 = 180 
    조기 종결 = 181 
    빈도 자료를 잘못 해석하기 = 181 
    자신을 지나치게 드러내기 = 182 
   목적에 접근하기 = 183 
    기초 다지기 = 184 
     관련성 확장하기 = 185 
    관계성 검증하기 = 186 
    연구 자료 이외의 자료를 이용하기 = 187 
    비평하기 = 188 
 9. 연구결과를 개념화하기 = 191 
  자료를 변환하기 = 191 
   개념단계를 구상하기 = 192 
   개념적으로 자료를 연구하기 = 193 
    자료 분석의 인지적 과정 = 194 
    개념적 분석을 발전시키는 기전 = 195 
  개념화의 예술과 과학 = 198 
   개념의 본질 = 199 
   주제별 서술을 통한 개념화하기 = 203 
  분석을 결론으로 이끌기 = 206 
 10. 결과물 작성하기 = 209 
  단계 설정하기 = 209 
   준비성 판단하기 = 209 
   구조를 결정하기 = 210 
   글쓰기 양식을 결정하기 = 213 
  과정에의 참여 = 216 
   집필자의 집필양식 찾기 = 216 
   사례에 대한 전략 세우기 = 218 
   접근가능한 감사 추적법 만들기 = 220 
  예측 가능한 문제점 피하기 = 222 
   은유의 오용 = 222 
   기술 혹은 분석 과잉 = 223 
   개념적 혼동 = 224 
제3부 맥락에서의 해석적 기술 
 11. 결과에 대한 이해 = 229 
  결과물을 토론하기 = 229 
   중요한 것 확인하기 = 230 
   해석 방법 결정하기 = 232 
    원문 문헌 = 233 
    새로운 문헌 = 234 
    해석을 확대하기 = 237 
  결론 도출 = 240 
  함축성을 고려하기 = 244 
   추후 연구를 위한 함축성 = 244 
   기타를 위한 함축성 = 246 
 12. 지식 전파 = 247 
  전문적, 학문적 소통 = 247 
   출판 선택권 = 248 
   발표 체재 = 251 
   지식 전달 프로젝트 = 253 
  대중적 영역 소통 = 254 
   예술적인 표현 = 254 
   언론 매체를 참여하게 만들기 = 256 
   정보 기술을 이용하기 = 258 
   집단 참여 = 258 
 13. 신뢰성의 강화 = 261 
  질의 고려 = 262 
  평가 표준 = 264 
   인식론적 통합성 = 264 
   대표적 신뢰성 = 264 
   분석적 논리 = 265 
   해석적 권위 = 266 
  평가를 넘어서 = 267 
   도덕적인 변호 가능성 = 267 
   학문간의 관련성 = 268 
   실용적인 의무 = 268 
   맥락적 인지 = 269 
   가능한 진실 = 271 
  불가피한 표준 = 272 
 14. 해석적 기술로의 발전적인 증거 = 273 
  증거 논쟁에의 참여 = 273 
  연구 산물을 이용하기 = 277 
  통합과 종합의 방향 = 279 
  낙관적으로 미래를 바라보기 = 284 
참고문헌 
저자에 대하여 
색인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