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441camcc2200421 c 4500 | |
001 | 000045684424 | |
005 | 20111229144320 | |
007 | ta | |
008 | 111228s2011 ulkd b 001c kor | |
020 | ▼a 9788977783607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2613789 | |
040 | ▼a 211032 ▼d 222001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324.9519 ▼2 22 |
085 | ▼a 324.953 ▼2 DDCK | |
090 | ▼a 324.953 ▼b 2011z1 | |
245 | 0 0 | ▼a 한국 선거 60년 : ▼b 이론과 실제 / ▼d 한국선거학회 편 |
246 | 1 1 | ▼a Korea election 60 years : ▼b theories and practices |
246 | 3 | ▼a 한국 선거 육십년 |
260 | ▼a 서울 : ▼b 오름, ▼c 2011 | |
300 | ▼a 367 p. : ▼b 도표 ; ▼c 23 cm | |
500 | ▼a 필자: 김욱, 서복경, 장성훈, 강원택, 신두철, 조진만, 조성대, 이현우, 임성호, 지병근 | |
500 | ▼a 부록: 역대 정부 시기별 선거 현황 및 공식 투표율, 역대 국회의원선거제도, 역대 대통령선거 득표율(총투표수 기준 vs. 유효투표수 기준): 2~7대 외 | |
504 | ▼a 참고문헌(p. 348-356)과 색인수록 | |
536 | ▼a 본 책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연구용역 지원 사업에 의해 발간되었음 | |
700 | 1 | ▼a 김욱, ▼e 저 |
700 | 1 | ▼a 서복경, ▼e 저 |
700 | 1 | ▼a 장성훈, ▼e 저 |
700 | 1 | ▼a 강원택, ▼e 저 |
700 | 1 | ▼a 신두철, ▼e 저 |
700 | 1 | ▼a 조진만, ▼e 저 |
700 | 1 | ▼a 조성대, ▼e 저 |
700 | 1 | ▼a 이현우, ▼e 저 |
700 | 1 | ▼a 임성호, ▼e 저 |
700 | 1 | ▼a 지병근, ▼e 저 |
710 | ▼a 한국선거학회, ▼e 편 ▼0 AUTH(211009)16618 | |
910 | 0 | ▼a Korean Association of Electoral Studies, ▼e 편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4.953 2011z1 | Accession No. 11165197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의 가장 큰 의의는 한국의 선거사를 단순히 역사적 시각이 아니라 선거연구자들의 시각에서 재조명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선거가 민주정치의 핵심적 위치에 있다는 측면에서, 선거사가 근대 한국 정치사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런데 전통적인 정치사 연구가 안고 있는 약점 중의 하나가 지나치게 인물 중심, 혹은 사건 중심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이 책에서 적용하고 있는 선거 분석 중심의 정치사 집필 방식은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한국의 근대 정치사를 바라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_머리말 중에서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서장|선거와 한국 정치 / 김욱 = 17 Ⅰ. 선거의 의미 = 18 Ⅱ. 한국 정치에서 선거의 중요성 = 23 Ⅲ. 선거사 연구의 필요성 = 25 1부 국가건설기의 선거 제1장 제1공화국의 선거 / 서복경 = 29 Ⅰ. 국가건설, 전쟁과 선거 = 29 Ⅱ. 전사(前史) : 제헌국회 선거가 있기까지 = 31 Ⅲ. 제헌국회 선거 = 36 Ⅳ. 전쟁, 그리고 제1공화국 최초의 국회의원선거, 지방선거, 정ㆍ부통령선거 = 39 Ⅴ. 휴전, 그리고 3대 국회의원선거, 3대 대통령선거, 2대 지방선거 = 49 Ⅵ. 진보당 사건과 4대 국회의원선거 = 54 Ⅶ. '3ㆍ15부정선거'와 제1공화국의 종말 = 58 제2장 제2공화국의 선거 / 장성훈 = 61 Ⅰ. 허정 과도정부와 내각제 개헌 = 62 Ⅱ. 제5대 국회의원(민의원ㆍ참의원)선거 = 68 Ⅲ. 제4대 대통령선거와 장면 내각의 출범 = 75 Ⅳ. 지방선거의 부활과 단절 = 82 Ⅴ. 5ㆍ16군부쿠데타와 민주적 실험의 좌절 = 87 2부 권위주의 시대의 선거 제3장 제3공화국의 선거 / 강원택 = 93 Ⅰ. 군사정권과 제3공화국의 출발 = 93 Ⅱ. 제3공화국의 선거제도와 정당제도 = 95 Ⅲ. 대통령제 개헌 국민투표, 제5대 대통령선거와 6대 국회의원선거 = 97 Ⅳ. 6대 대통령선거, 7대 국회의원선거와 3선 개헌 국민투표 = 105 Ⅴ. 1971년 : 7대 대통령선거와 8대 국회의원선거 = 110 Ⅵ. 제3공화국 선거의 경쟁성과 역동성 = 115 제4장 제4공화국의 선거 / 신두철 = 117 Ⅰ. 통일주체국민회의와 제9대 국회의원선거 = 119 Ⅱ. 유신헌법 찬반투표 = 130 Ⅲ. 제10대 국회의원선거와 유신체제 붕괴 = 132 Ⅳ. 유신체제하의 선거 평가 = 138 제5장 제5공화국의 선거 / 조진만 = 141 Ⅰ. 제4공화국과 제6공화국 사이에서 = 141 Ⅱ. 제5공화국의 태동 과정 = 143 Ⅲ. 유신헌법하에 실시된 11대 대통령선거 = 148 Ⅳ. 유신헌법의 개정과 제5차 국민투표 = 151 Ⅴ. 다당화 전략에 따른 대통령선거인선거와 12대 대통령선거 = 154 Ⅵ. 권위주의체제의 공고화와 11대 국회의원선거 = 159 Ⅶ. 유화조치와 12대 국회의원선거 = 164 Ⅷ. '선택 없는 선거'와 민주화 = 171 3부 민주화 이후의 선거 제6장 노태우 정부 시기의 선거 / 조성대 = 177 Ⅰ. 대통령 직선제 개헌과 제6차 국민투표 = 177 Ⅱ. 제13대 대통령선거와 노태우 정부의 출범 = 184 Ⅲ. 제13대 국회의원선거와 여소야대 분점정부의 출현 = 193 Ⅳ. 지방선거의 부활과 제1회 전국동시지방자치선거 = 202 Ⅴ. 제14대 국회의원선거와 여소야대의 재현 = 211 제7장 김영삼 정부 시기의 선거 / 이현우 = 219 Ⅰ. 민간정부의 출현과 14대 대통령선거 = 219 Ⅱ. 집권여당에 대한 평가와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31 Ⅲ. 정당구도의 변화와 제15대 국회의원선거 = 242 제8장 김대중 정부 시기의 선거 / 임성호 = 253 Ⅰ. 세계화, 탈냉전화, 정보화와 선거정치 = 253 Ⅱ. 제15대 대통령선거와 평화적 정권 교체 = 255 Ⅲ.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지역할거주의 = 266 Ⅳ. 제16대 국회의원선거와 여소야대 = 276 Ⅴ.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야당의 압승 = 283 Ⅵ. 시대변화와 선거정치 = 290 제9장 노무현 정부 시기의 선거 / 지병근 = 293 Ⅰ. 2002년 제16대 대통령선거 = 294 Ⅱ. 2004년 17대 4ㆍ15국회의원선거 = 303 Ⅲ. 2006년 제4회 동시지방선거(5ㆍ31) = 313 Ⅳ. 민주적 선거를 향한 발걸음 = 320 종장 결론 및 시사점 / 김욱 = 325 Ⅰ. 60년간의 주요 변화 = 326 Ⅱ. 변화의 근본동력 : 정치문화의 변동 = 332 Ⅲ.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 = 334 부록 = 337 참고문헌 = 348 색인 = 357 필자 소개(원고 게재 순) =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