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16camcc2200361 c 4500 | |
001 | 000045684405 | |
005 | 20111228173957 | |
007 | ta | |
008 | 111228s2011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94955513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591511 | |
040 | ▼a 225013 ▼c 225013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375 ▼2 22 |
085 | ▼a 375 ▼2 DDCK | |
090 | ▼a 375 ▼b 2011z4 | |
245 | 0 0 | ▼a 교과교육과 문화,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 ▼d 김항인 [외] |
260 | ▼a 서울 : ▼b 지식과교양, ▼c 2011 | |
300 | ▼a 405 p. : ▼b 삽화 ; ▼c 24 cm | |
500 | ▼a 공저자: 김호, 김혜정, 박기화, 박약우, 박인기, 송상헌, 안금희, 오필석, 이춘식, 주길홍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항인, ▼e 저 ▼0 AUTH(211009)1886 |
700 | 1 | ▼a 김호, ▼e 저 ▼0 AUTH(211009)115150 |
700 | 1 | ▼a 김혜정, ▼e 저 ▼0 AUTH(211009)35784 |
700 | 1 | ▼a 박기화, ▼e 저 ▼0 AUTH(211009)92003 |
700 | 1 | ▼a 박약우, ▼e 저 ▼0 AUTH(211009)131576 |
700 | 1 | ▼a 박인기, ▼e 저 ▼0 AUTH(211009)37749 |
700 | 1 | ▼a 송상헌, ▼e 저 ▼0 AUTH(211009)852 |
700 | 1 | ▼a 안금희, ▼e 저 ▼0 AUTH(211009)60797 |
700 | 1 | ▼a 오필석, ▼e 저 ▼0 AUTH(211009)127978 |
700 | 1 | ▼a 이춘식, ▼e 저 ▼0 AUTH(211009)78749 |
700 | 1 | ▼a 주길홍, ▼e 저 ▼0 AUTH(211009)101602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5 2011z4 | Accession No. 11165199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경인교육대학교 각 교과 교수 11명이 모여서 만든 교과교육과 문화에 대한 이야기. 교과와 문화를 연결지어보려는 발상은 교과지식의 중요성을 즉 교과 지식의 가치를 문화이론이나 문화론적 관점에서 이야기해 보자는 것에 가닿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교과를 포괄적으로 표상하는 실체를 ‘지식’이라고 한다면, 이것을 문화와 관련지어 논한다는 것은, 그 ‘지식’에 대한 가치론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정된 교과와 교육이론에서 벗어나 좀더 넓은 논의와 체계를 갖추려는,
경인교육대학교 각 교과 교수 11명이 모여서 만든 교과교육과 문화에 대한 이야기!
교과와 문화를 연결지어보려는 발상은 교과지식의 중요성을 즉 교과 지식의 가치를 문화이론이나 문화론적 관점에서 이야기해 보자는 것에 가닿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교과를 포괄적으로 표상하는 실체를 ‘지식(가장 광의의 개념으로서의 지식)’이라고 한다면, 이것을 문화와 관련지어 논한다는 것은, 그 ‘지식’에 대한 가치론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필자들은 자기교과의 지식에 대한 가치를 논함에 있어서 때로 교과 배경학문의 체계에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이런 관점과 논의가 성공할 수만 있다면 교과교육은 자신의 가치와 가능성을 설명하는 새로운 설명 체계(배경 학문에서부터 생겨나는 설명 체계와는 다른 체계)를 가지게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박인기(지은이)
대학에서 국어교육과 한국 언어문화 연구에 관심을 쏟아온 국어교육학자이다. 한국어 교육의 미래 지형과 생태 변화에 대한 담론 생산에 앞장서왔으며, 이런 기조 위에서 재외동포 정체성 교육과 재외동포 이해 교육에 힘을 쏟아왔다.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박사를 받았고,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청주교육대학교·경인교육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명예교수이다. 한국독서학회 회장, 재외동포재단 자문위원, 교육부 교육과정심의위원, (사)유라시아 포럼 이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 『국어교육학개론』(공저) 『문학교육의 구조와 이론』 『교사와 책』(공편) 『한국인의 말 한국인의 문화』 『스토리텔링과 수업기술』(공저) 『토론교육』(공저) 『언어적 인간, 인간적 언어』 등이 있다.
김호(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한 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경인교대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교수(HK)로 재직 중이다. 조선의 통치시스템과 위기 극복의 역사를 연구 중이다.
박약우(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및 동 대학원 졸업 서울대학교 영어학 박사 영국 랭카스터(Lancaster) 대학교 연구교수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영어교육학 교수 저서 <초등영어교육>, <초등영어 교재 연구> 외 다수
안금희(지은이)
서울대학교 서양학과, 서울대학교 행동과정 미술교육 석사 미국 Ohio State University 대학원 박사 미술교육 전공 현) 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
김혜정(지은이)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민요의 채보와 해석』 「국악교육의 지향과 민요의 교육적 활용」 외
주길홍(지은이)
ㆍ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석사ㆍ박사) ㆍ캘리포니아주립대학 새크라멘토 교환 교수 ㆍ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융복합지식학회 부회장 ㆍ2017년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이춘식(지은이)
충남대학교 기술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교육학 박사) 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책임연구원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생활과학교육과 부교수 저서 <초등교사를 위한 설계기술 탐구>, <기술교육 평가>, <기술교사를 위한 수업 컨설팅> 외 다수 논문 <기술에 대한 태도>, <실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기술과 핵심역량>, <프로젝트 교수학습 방법 연구> 외 다수 전시 우리 목가구의 멋과 아름다움
오필석(지은이)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를 졸업하고 미국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로 있습니다. 한국 지구과학회, 한국 과학교육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집필했고,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김항인(지은이)
미국 The University of Georgia(철학 박사), 경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관심분야> 도덕과교육 / 정보윤리교육 / 연구윤리 / 양적 질적 연구 방법 <대표저서> 미국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세 가지 도덕이야기하기 수업전략들의 효과(박사학위논문) / 도덕토론수업모형연구 /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도구 개발연구 / 도덕이야기하기 수업 사례 연구 / 정보윤리감수성 발달방안연구 / 도덕판단 발달과 측정에 관한 연구 / 연구윤리의 윤리학적 고찰과 확산 방안/ 도덕교육론(공저) / 공동체주의교육(공저) / 신뢰: 지구촌 시대의 사회적 자본(공저) / 도덕윤리과 교육의 방향 정립(공저) / 도덕성을 기르기 위한 100가지 방법들(공역서) / 인격교육론(공역서) / 도덕교육의 체계적 이해(공저) 등
박기화(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및 동대학원 졸업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원(언어학 박사)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연구교수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저서 <초등영어교육>, <초등영어 교재 연구>, <북한 영어교과서 분석> 외 다수
송상헌(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이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수학교육학 전공(교육학 석사, 박사) 현재 경인교육대학교 수학교육학과 교수, 수학영재교육연구소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학영재교육 전공 주임교수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재교육 전공 객원교수 아주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지도교수 및 담임 http://tcampus.or.kr ‘수학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온라인 강좌 운영 저서 및 논문 <수학과 수행중심 평가>, <수학영재의 판별과 선발>, <놀이를 활용한 신나는 교실 수업>, <수학교육의 이해> 외 80여편의 학술논문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PartⅠ 교육과 문화의 관계맺기 국어교과에 내재하는 '문화'의 존재방식 / 박인기 1. '교과'와 '문화'의 상관적 이해 = 21 2. 국어교과와 문화의 규범성-규범ㆍ가치ㆍ제도 층위의 문화 = 28 2.1. 국어교과와 '규범 층위'의 문화 = 29 2.2 국어교과와 '가치(이데올로기) 층위'의 문화 = 31 2.3 국어교과와 '제도/의식 층위'의 문화 = 33 3. 국어교과와 문화의 역사성 - 전통ㆍ상징체계ㆍ문화재 층위의 문화 = 36 3.1 국어교과와 '전통 층위'의 문화 = 36 3.2 국어교과와 '상징(상징체계) 층위'의 문화 = 39 3.3 국어교과와 '문화재 층위'의 문화 = 43 4. 국어교과와 문화의 일상성 - 서사ㆍ미디어ㆍ생활ㆍ예술 층위의 문화 = 44 4.1 국어교과와 '서사 층위'의 문화 = 44 4.2 국어교과와 '미디어 층위'의 문화 = 47 4.3 국어교과와 '생활 층위'의 문화 = 51 4.4 국어교과와 '예술 층위'의 문화 = 55 문화간 의사소통과 영어교육의 전망 / 박약우 1. 다문화 사회의 문화간 의사소통 = 63 1.1 문화간 의사소통의 정의 = 63 1.2 문화간 의사소통의 증가 = 65 1.3 우리 사회 속의 다문화 = 67 1.3.1 국제결혼 현황 = 68 1.3.2 외국인 근로자 고용 동향 = 68 1.3.3 국제 인구 이동 = 70 1.3.4 인터넷 이용률 = 71 2. 문화간 의사소통의 제현상 = 72 2.1 언어적 문제(language problems) = 72 2.2 화자의 의도 = 74 2.3 비언어적 행위 = 75 2.4 자문화 중심주의(ethnocentrism) = 76 2.5 고정관념(stereotyping) = 78 3.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구성 = 80 3.1 용어의 정의 = 80 3.2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ICC) = 83 3.3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구성 = 85 3.3.1 심리학과 의사소통학 = 85 3.3.2 응용언어학과 외국어 교육 = 88 3.3.3 국제 비즈니스와 경영 = 92 3.3.4 ABC 모형 = 95 4. 문화간 의사소통에서의 영어 교육 = 97 4.1 영어교육의 방향 = 97 4.2 지구어로서의 영어교육의 모형 = 99 한국인의 문화와 도덕성 / 김항인 1. 문화와 도덕성 = 111 2.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문화 = 116 3. 토론과 한국 문화 = 118 4. 두 네덜란드인-히딩크와 홉스테드 = 123 5. 공동체 문화와 인습 = 126 6. 우리가 가진 우수한 도덕문화 = 128 7. 인습의 단계를 넘어서는 도덕 문화 - 개인, 공동체, 다시 개인을 위한 문화 = 132 茶山의 명판결과 조선후기의 법문화 / 김호 1.《흠흠신서》읽기 = 139 2. 고의 유무의 중요성 = 140 3. 공무 중 사건사고 = 144 4. 예외는 불가피하다 = 148 5. 예외 규정의 진의(眞意) = 153 6. 가볍게 혹은 무겁게 처벌하기 = 157 7. 균형 잡힌 법 = 161 8. 용서만이 능사가 아니다 = 165 9. 법과 정의 = 170 10. 조선후기의 법문화와 다산 = 174 과학교육과 문화 / 오필석 1. 문화로서의 과학 = 179 2. 과학 문화와 다른 문화 = 181 3. 과학적 담화(scientific discourse) = 188 4. 다문화사회에서의 과학교육 = 195 PartⅡ 교과교육에서의 문화교육 실천 EFL 교실에서의 영문학: 문화교육의 관점에서 / 박기화 1. 들어가는 말 = 207 2. 영어 교육과 영문학 = 209 2.1 외국어 교육 교실에의 문학 작품 도입의 필요성 = 209 2.2 영어 교육에서 영문학 작품 도입의 역사 = 214 2.2.1 모국어 교육에서의 영문학 = 214 2.2.2 EFL 교육에서의 영문학 = 216 3. 문화 연구로서의 문학 = 229 3.1 문학과 담화와 문화 = 229 3.2 외국어 교육에서 문학과 언어, 문화 = 231 4. 맺는 말 = 237 수학영재교육학의 정체성 / 송상헌 1. 수학영재교육의 필요성 = 245 1.1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현황과 목표 = 245 1.2 수학영재교육학 연구의 필요성 = 248 2. 수학영재교육의 목표 = 250 3. 수학영재교육학의 정체성 = 254 3.1. 수학영재교육학으로서의 전문 지식 = 256 3.1.1. 수학영재교육의 목적과 교육기관별 목표 = 256 3.1.2. 영재의 판별과 영재교육대상자의 선발 = 256 3.1.3. 수학영재들의 사고특성 분석을 통한 교수학습 및 수업 모형 개발 = 257 3.1.4. 수학영재들을 위한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의 개발 = 259 3.1.5. 수학영재들을 위한 지도와 교육의 방법 = 259 3.1.6. 수학영재들을 위한 교재의 개발 = 261 3.1.7. 수학영재교육의 평가 및 피드백 = 261 3.2. 수학영재교육학의 현장 적용 = 261 3.3. 수학영재교육학 연구 공동체의 가치관 정립 = 266 3.3.1. 목표면 : 속진보다 방향성 우선 = 266 3.3.2. 내용면 : 지식보다 창의성 우선 = 267 3.3.3. 방법면 : 과업보다 태도 우선 = 267 3.3.4. 가치면 : 개인보다 공동체 우선 = 268 4. 맺음말 = 269 우리나라 전통 목가구와 문화적 소통 / 이춘식 1. 문화와 가구 = 275 2. 우리나라 전통 목가구와 문화 = 277 2.1 선비를 닮아 순수한 사랑방 가구 = 279 2.2 여인들의 숨결이 녹아 있는 안방가구 = 284 2.3 음식 문화가 담겨있는 부엌가구 = 289 3. 문화적 특성에 따른 한ㆍ중ㆍ일 전통 목가구 = 291 3.1 우리나라의 목가구 문화 = 292 3.2 중국의 목가구 문화 = 296 3.3 일본의 목가구 문화 = 298 4. 전통 목가구 속의 문화 읽기 = 299 4.1 목가구와 실내 공간 문화 = 300 4.2 목가구와 온돌 문화 = 302 4.3 목가구와 평좌식 문화 = 304 4.4 자연미의 중시 문화 = 305 4.5 전통 목가구의 구고현(句股弦) 비례 = 308 5. 전통 목가구와 현대와의 조화 = 310 6. 전통 목가구와 기술교육의 과제 = 313 7. 마치며 = 316 이미지 읽기 / 안금희 1. 서론 = 321 2. 본론 = 322 2.1 도상학과 상징 = 322 2.1.1 도상학적 시각에서 본〈아르놀피니 부부〉 = 324 2.2 기호학과 숨겨진 의미 = 326 2.2.1 기호학과 미술작품 = 328 2.2.2 기호학으로 본 광고 = 331 2.3 페미니즘과 사회적 성 = 335 2.3.1 미술작품과 페미니즘 = 337 2.3.2 애니메이션과 페미니즘 = 341 3. 결론 = 346 한국 음악의 문화적 기능과 음악교육의 지향 / 김혜정 1. 머리말 = 351 2. 전통음악의 문화적 기능과 역할 = 353 2.1 기원을 담는 음악 = 353 2.2 마음을 다스리고 치유하는 음악 = 355 2.2.1 선비의 정신 수양 음악 = 355 2.2.2 민요 가창자들의 정서적 치유 = 358 2.3 의식을 위한 음악 = 361 2.4 듣는 즐거움을 위한 음악 = 362 3. 전승 맥락(환경)의 변화에 따른 적용 가능성 = 365 4. 문화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목표와 지향 = 368 차세대 웹 기술과 문화 / 주길홍 1. 들어가며 = 373 2. 디지털 혁명 = 374 3. 웹 3.0의 개념과 특징 = 376 4.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 380 4.1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 = 380 4.2 모바일의 급부상 - 모바일 클라우드 = 382 5. 미리보는 웹 3.0 시대의 사회와 문화 = 385 5.1 나만의 웹비서 = 385 5.2 미디어와 생활 = 386 5.2.1 방송미디어의 추천 시대 = 386 5.2.2 소셜미디어 TV = 388 5.2.3 라이프 로그(lifelog) 시대의 도래 = 388 6. 지식정보사회 발전을 위한 창의성 계발 = 389 7. 미래사회의 교육 = 391 7.1 스마트 러닝의 도래 = 391 7.2 스마트 폰을 활용한 러닝방법 = 393 찾아보기 =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