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01 자유교육 교육과정과 그 적들: 교양교육의 재개념화 = 13
가장 가치있는 지식은 어떤 지식인가? = 16
과학의 전도사 = 22
미국에서의 교육과정 논쟁 = 26
자유교육에 대한 스펜서식 대안의 승리 = 31
결론 = 35
CHAPTER 02 개인차, 공통성, 그리고 교육과정 실제 = 41
개인차 = 42
교육과정에서 공통성과 다양성 문제 = 45
실제 현황 분석 = 47
개선을 위한 몇 가지 방향 = 56
CHAPTER 03 다양한 앎의 유형과 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 = 63
서론: 유용한 지식과 장식적 지식 = 64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개념적 지도의 활용 = 65
교육과정에 대한 기존의 개념적 지도들 = 68
교육과정의 개념적 지도로서의 앎의 유형들 = 76
CHAPTER 04 평가가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 85
평가의 유형과 평가 프로그램 = 88
평가의 일곱 가지 영향 = 92
내부적 평가 프로그램의 영향 = 103
외부적 평가 프로그램의 영향 = 111
평가와 교육개혁보고서 = 118
교육과정 개발과 수업에 주는 시사점 = 122
CHAPTER 05 교과서 논쟁 = 133
교과서의 지배력과 항상성 = 135
교과서에 대한 국가의 영향 = 137
교과서와 학문적 지식 = 139
교과서 검정 = 141
학교 교과서 멍청하게 만들기 = 145
교과서 연구 = 152
결론 = 154
CHAPTER 06 과연 수업은 교과서에 의하여 지배되고 있는가? = 163
교과서로 가르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 164
교과서 활용에 대한 연구 = 167
초등학교 5학년 수학과 사회 수업에서 교과서 활용에 관한 연구 = 176
결론 = 189
CHAPTER 07 달콤한 비전: 과학기술, 교육, 학교의 미래 = 195
과학기술과 인간 문화의 역사 = 200
과학기술과 교육 = 202
과학기술은 학교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 205
교육에서 과학기술이 가지는 가능성과 제한점 = 213
인간 중심적 교육공학을 위하여 = 222
CHAPTER 08 문화적 변화로서의 교육과정 적용과 학교 구성원 연수 = 229
교육과정 = 232
학교 문화와 변화 = 234
몇 가지 제언 = 248
교육과정 개혁의 체계적 모니터링 사례 = 254
결론 = 261
CHAPTER 09 '도시 설계' 프로그램: 직업교육의 재개념화 = 267
작업장 수업(Shop Class)을 넘어서: 교육과정의 재발명 = 270
복선제 체제: 규칙 바꾸기 = 274
규범을 변화시키기 = 278
변화의 정치학을 배우며 = 284
CHAPTER 10 다문화 교육과 교육과정 논쟁 = 291
다문화교육은 무엇인가? 그것은 어디에서 온 것인가? = 293
다문화 교육에 대한 다섯 가지 접근 = 296
새로운 다문화적 교육과정 = 299
다문화 교육에 대한 최근의 비판들 = 303
다문화 교육에 대한 비판 다시 보기 = 308
교육자들에게 주는 시사점 = 314
CHAPTER 11 학교에서 과연 인문학을 가르쳐야 하는가? = 323
인문학 교육의 벼경 = 324
인문학 교육 = 326
예술과 인문학 = 330
인문학을 가르치기 위한 학교와 대학의 임무 = 332
인문학 학습을 위한 학교교육의 새로운 차원 =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