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71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684172 | |
005 | 20111227133447 | |
007 | ta | |
008 | 111226s2011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63571201 ▼g 03340 | |
035 | ▼a (KERIS)BIB000012609840 | |
040 | ▼a 241050 ▼c 241050 ▼d 211009 | |
082 | 0 4 | ▼a 323.042 ▼2 22 |
085 | ▼a 323.042 ▼2 DDCK | |
090 | ▼a 323.042 ▼b 2011z1 | |
100 | 1 | ▼a 양재원 |
245 | 1 0 | ▼a 수컷 원숭이는 어떻게 평등주의자가 되었나 : ▼b 1만명의 시민이 세상을 바꾸는 정치전략 / ▼d 양재원 지음 |
260 | ▼a 서울 : ▼b 논형, ▼c 2011 | |
300 | ▼a 352 p. : ▼b 삽화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349-352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3.042 2011z1 | Accession No. 11165194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시민 개개인에게 세상을 바꾸는 전략을 알려주는 것은 국민 개개인에게 돈 100만원을 주는 것보다 더욱 더 시민을 이롭게 할 수 있다. 이 책의 핵심은 “제대로 된 정치전략을 구사하는 선도적 민주시민 1만명만 있다면 세상은 바뀐다”는 것이다. 각종 사회문제에 대한 자발적 시민참여, 다중지성으로 일컬어지는 시민적 논의의 활성화 등의 움직임과 궤를 같이하면서, 부제에서도 밝히듯이 시민의 힘으로 세상을 바꾸는 전략을 논한다.
시민중심의 정치전략의 핵심은 인간의 본성에 내재되어 있는 협동, 공정성과 정의감 등을 어떻게 민주적 힘으로 결집시켜 세력화하는가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생태계론과 네트워크론을 소개해면서 비록 적재적소에 위치하며, 네트워킹을 제대로 한다면, 시민이 중심이 된 새로운 민주 정권의 창발(創發)도 가능하다고 본다. “책 속의 책”이라 일컬을 수 있는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해 인간에 대한 이해와 인간의 본성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내용을 소개한다. 물론 밀그램 실험, 거울신경세포 등 현대 교양인에게 필요한 심리학적 개념 등도 함께 소개하면서 독자에게 교양과 상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정치의 나아갈 길을 인간의 본성에서 묻다
재벌들이 국민을 먹여살린다고 주장할 때,
그 주장을 반박하기보다는 시민에게 세상의 주인이 될 수 있는 전략을 주자
시민이 잘사는 나라가 되기 위해서는 시민 개개인이 정치전략이나 소통 네트워크 같은 무형의 능력을 갖추는 것이 자동차나 집과 같은 유형 재산을 늘리는 것보다 더욱 중요할 수 있다. 마치 기업의 지식이나 인맥과 같은 무형자산이 부동산이나 현금 같은 유형자산보다 기업 경쟁력 강화에서 더욱 중요하듯이 말이다.
시민을 위한다고 부르짖는 정치인이나 지식인들이 삶의 지혜나 사회운영 능력을 시민에게 주는 것보다는 물질적 부를 증가시켜주겠다고 호소하는 것은 시민을 “우둔한 돼지”로 만드는 것으로, 종국에는 시민에게 “인간으로서의 행복”을 주지 못할 것이다.
▣ 이 책의 특징
첫째, 시민의 입장에서 정치참여의 당위성과 전략을 본격적으로 다루었다
시민 개개인에게 세상을 바꾸는 전략을 알려주는 것은 국민 개개인에게 돈 100만원을 주는 것보다 더욱 더 시민을 이롭게 할 수 있다. 이 책은 이러한 희망을 담고 있다.
이 책의 핵심은 “제대로 된 정치전략을 구사하는 선도적 민주시민 1만명만 있다면 세상은 바뀐다”는 것이다. 이렇듯 이 책은 각종 사회문제에 대한 자발적 시민참여, 다중지성으로 일컬어지는 시민적 논의의 활성화 등의 움직임과 궤를 같이하면서, 부제에서도 밝히듯이 시민의 힘으로 세상을 바꾸는 전략을 논한다.
시민중심의 정치전략의 핵심은 인간의 본성에 내재되어 있는 협동, 공정성과 정의감 등을 어떻게 민주적 힘으로 결집시켜 세력화하는가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생태계론과 네트워크론을 소개해면서 비록 적재적소에 위치하며, 네트워킹을 제대로 한다면, 시민이 중심이 된 새로운 민주 정권의 창발(創發)도 가능하다고 본다.
둘째, 민주주의를 본성으로 진화시켜온 이유 등 인간의 정치적 본성을 논한다
전략을 논하려면 그 대상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인간을 상대로 한 전략(정치든 생활이든)은 인간을 올바르게 파악하는 것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책은 현대 과학이 밝혀낸 인간에 대한 이해를 담고 있다. 즉, 인간에게 영향을 주는 것은 유전인가, 환경인가?, 인간은 이기적인가, 이타적인가 등등의 내용을 소개하면서, 인간만이 지니고 있는, 인간 특유의 고유 속성-① 평등적 협력과 불공정에 대한 분노, ② 공감능력, ③ 고차원적인 사유능력, ④ 통제감 등-을 제시한다. 이로써 현대 사회의 주류 담론을 이끌고 있는 “경제적 인간”에 대한 허구성을 폭로하며, 인간의 본성에 내재되어 있는 “민주와 평등, 더불어 사는 삶을 추구하는 인간”으로서 “주권”을 찾기 위한 시민들의 정치참여의 당위성을 논한다. 덧붙여 이러한 선도적 시민들을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사례들-민심 창발의 네트워크 만들기, 대세론 꺾기 전략 등-을 제시하며 다양한 정치(일상생활)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셋째, 50여 가지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해 상식과 교양을 넓히며 책 읽는 재미를 더한다
이 책에는 “책 속의 책”이라 일컬을 수 있는 다양한 에피소드-“합리적 선택을 한 경제학자의 굴욕”, “시장경제 신봉자들에게는 고양이가 최고?”, “우유 먹으면 설사하는 이들에게 보내는 축사(祝辭)” 등등의 소제목으로 50가지 소개-를 통해 인간에 대한 이해와 인간의 본성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내용을 소개한다. 물론 밀그램 실험, 거울신경세포 등 현대 교양인에게 필요한 심리학적 개념 등도 함께 소개하면서 독자에게 교양과 상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양재원(지은이)
전주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를 거쳐 광운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국민의 정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및 국정원 서기관,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전문위원 등의 공직을 거쳤다. 이후 (주)한국디지털위성방송(스카이라이프) 기획조정실장·IT사업단장·대외협력실장, (특수법인)한국 소프트웨어 공제조합 상임이사(사무총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명지전문대학 분리추진단장, 창암장학재단 이사장, (사회적기업)사회설계연구소 대표로 교육 및 시민사회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닫힌 마음을 열며』(2005), 『사내상생: 기업을 살리는 윈윈윈 경영자산 만들기』(2008, 공저), 『제17대 대선 정치광고의 유형과 전략에 관한 연구: 이명박·정동영 후보의 비교분석』(2008)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제1장 문제제기: 정치전략이 시민에게 필요할까? = 23 1. 정치참여는 과연 남는 장사일까? = 23 2. 정치전략은 일상생활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고? = 29 3. 전략은 간단명료해야 좋다 = 34 제2장 정치전략의 기본: 인간 이해하기 연습 = 37 1. 인간의 행동은 예측가능한가? = 37 2. 인간의 경이로움 - 모순덩어리: 인간의 숭고함과 잔인성 = 41 3. 인간의 생물적 본성과 인성 = 53 제3장 인간과 집단심리 창발 = 79 1. 집단심리(통념이나 집단감성)의 창발이란 무엇인가 = 79 2. 통념, 집단감성을 창발시키는 정치전략 = 86 제4장 개인의 정치성향과 정치행동 = 98 1. 개인의 정체성과 정치참여 동기: 공정성 충동인가, 이기심인가 = 98 2. 개인 정치행동의 결정 요인-인성이란 무엇인가? = 103 3. 정치성향과 인성(기질) 간의 관계 = 108 4. 외부 환경에 의한 인간 행동의 패턴(경향성)화 = 121 제5장 민주적 인성과 가치관 = 132 1. 민주적 가치의 발생과 변화 발전 = 132 2. 민주적 가치관을 떠받드는 인간의 본성들 = 140 3. 인간의 본성과 문화, 그리고 정치성향 = 154 제6장 정치전략의 대상과 설득 전략 = 176 1. 전략적 목표 대상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 176 2. 인간에 대한 인식에 따른 정치전략의 차이 = 182 3. 개인의 심리 구조, 태도와 개인 설득 전략 = 196 4. 태도(정치성향) 변화를 위한 설득 전략 = 221 5. 행동을 이용해 태도(정치성향)를 변화시키는 전략 = 232 6. 통제감, 공정성 본능과 정치전략 = 235 제7장 집단 형성, 변화의 메커니즘과 정치전략 = 248 1. 집단 진화와 인성 변화의 메커니즘 = 250 2. 조직 진화, 인성 변화에 대한 대응 전략 = 253 3. 공동체 협력과 신뢰를 강화하는 전략: 처벌과 신뢰 강화 조건 = 256 4. 선거정당의 모순과 개선전략 = 260 제8장 집단의 모방·배척 심리와 대세론 꺾기 전략 = 264 1. 동조심리의 심각성: 판단과 심리에도 직접 영향을 준다 = 264 2. 신흥 세력의 등장 메커니즘: 대세론 꺾기 전략 = 265 3. 집단의 배척심리와 대응책 = 268 제9장 네트워크와 정치전략 = 276 1. 네트워크의 의미와 속성들 = 276 2. 네트워크와 생활의 지혜, 그리고 정치전략 = 280 3. 허브와 혁신: 정치행동 창출, 확산의 특징 = 291 4. 신념당원 1만명인가, 서류당원 100만명인가 = 293 5. 허브의 교체: 일단 허브가 되면 영원히 독점할 수 있는가? = 294 6. 네트워크 진단과 조직 혁신 전략 = 297 7. 민주주의 전국정당 건설을 위한 방법론 모색 = 300 제10장 민주정치 생태계와 민주ㆍ진보 세력의 현황 = 306 1. 생태계 분석틀을 통한 민주ㆍ진보 진영의 현황 진단 = 306 2. 시민운동ㆍ지식인의 도덕성이 민주정치 성장에 미치는 영향력 = 317 3. 민주정치인들의 기질과 지지율이 낮은 이유 = 323 4. 선거정당원의 비극 = 329 제11장 맺음말 = 336 보론: 민주ㆍ진보 진영의 통합과 2012년 민주정부 수립 전략 = 340 참고문헌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