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아름다운 동행 : 소사댁 김상희가 만난 사람들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상희, 1954-
서명 / 저자사항
아름다운 동행 : 소사댁 김상희가 만난 사람들 / 김상희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해피스토리,   2011  
형태사항
291 p. : 천연색삽화, 초상화 ; 23 cm
ISBN
9788993225426
000 00597namcc2200205 c 4500
001 000045684169
005 20111227141326
007 ta
008 111226s2011 ulkac 000c dkor
020 ▼a 9788993225426 ▼g 033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953.25070922 ▼2 22
085 ▼a 953.25070922 ▼2 DDCK
090 ▼a 953.25070922 ▼b 2011
100 1 ▼a 김상희, ▼d 1954- ▼0 AUTH(211009)55812
245 1 0 ▼a 아름다운 동행 : ▼b 소사댁 김상희가 만난 사람들 / ▼d 김상희 지음
260 ▼a 서울 : ▼b 해피스토리, ▼c 2011
300 ▼a 291 p. : ▼b 천연색삽화, 초상화 ; ▼c 23 cm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25070922 2011 등록번호 1116519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18대 국회의원이자 2010년 민주당 부천 소사지역위원장으로 활동한 김상희 의원은 지역에서 ‘소사댁’으로 불리며, 지역의 민생과 서민들의 삶에 보다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노력하는 정치인이다. ‘만남은 곧 힘’이라고 믿고 있는 그는 더불어 살아가는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사람들과 만나고 이야기하며 소통하려고 노력해왔다.

이 책은 김상희 의원이 민주당 부천 소사지역위원장으로 활동하며 만난 소중한 인연들의 삶을 인터뷰 형식으로 솔직하고 담백하게 풀어내고 있다. 인생의 여러 아픔과 시련의 굴곡을 견뎌내고, 희망을 꿈꾸며 소사구에서 새로운 삶을 일궈온 스물일곱 명이 들려주는 인생사는 독자들에게 잔잔한 감동을 전한다.

한 시대의 문화계 거목 故 한창기 선생의 민중자서전을 재현한 『아름다운 동행』 출간!

『뿌리깊은나무』, 『샘이깊은물』의 발행인이자 편집자, 한국브리태니커회사의 창립자이자 경영인이었던 故 한창기 선생(1936~1997)은 당대 문화계의 거목이자 한국 잡지사의 큰 획을 그은 인물이다. 선생은 1976년에 이전에는 보지 못했던 혁신적인 종합문화잡지 『뿌리깊은나무』를 창간하였고, 1980년 군부정권에 의해 잡지가 강제 폐간되자 그 다음 해인 1981년에 스무 권의 민중자서전을 단행본으로 펴냈다. 민중자서전은 ‘마지막 보부상 유진룡’, ‘남도 전통 옹기쟁이 박나섭’, ‘벌교 농부 이봉원’ 등 지식인들의 시선에는 닿지 않았던 민초들의 한 평생을 구술로 기록하여 남겼다는 점에서 가히 미시역사의 정수라 평가받고 있다. 이는 거시적인 사회 현상에만 눈을 돌린 채, 현실의 내밀한 속살을 들여다보지 못하는 지금에도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에 故 한창기 선생이 시도한 민중자서전의 의미를 되살려, 저자인 김상희 국회의원이 당내 지역구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지역에서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는 스물일곱 명의 삶을 기록한 『아름다운 동행』을 펴내게 되었다.

어렵고 고단한 우리네 삶의 희망을 기록하다

18대 국회의원이자 2010년 민주당 부천 소사지역위원장으로 활동한 김상희 의원은 지역에서 ‘소사댁’으로 불리며, 지역의 민생과 서민들의 삶에 보다 가까이 다가가기 위해 노력하는 정치인이다. ‘만남은 곧 힘’이라고 믿고 있는 그는 더불어 살아가는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사람들과 만나고 이야기하며 소통하려고 노력해왔다. 그 노력의 결실로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치열하게 살고 있는 27인의 인생이야기를 담은 민중자서전 『아름다운 동행』을 출간했다.
이 책은 김상희 의원이 민주당 부천 소사지역위원장으로 활동하며 만난 소중한 인연들의 삶을 인터뷰 형식으로 솔직하고 담백하게 풀어내고 있다. 인생의 여러 아픔과 시련의 굴곡을 견뎌내고, 희망을 꿈꾸며 소사구에서 새로운 삶을 일궈온 스물일곱 명의 드라마와 같은 인생사는 독자들에게 잔잔한 감동을 전한다.
지역에서 오랫동안 삶의 뿌리를 굳건하게 내리고,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을 위해 그리고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진실하고 치열하게 살아온 스물일곱 가지 삶에는 우리네 인생의 희로애락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어렵고 고단한 삶의 현장에서 거친 세속의 풍파에 맞서 당당하게 싸워 나가면서도, 오랜 세월 동안 보이지 않는 곳에서 소외된 이웃들을 위해 봉사하는 삶을 살아온 이들의 이야기는 드라마보다도 더 극적이고, 큰 감동을 안겨준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상희(지은이)

1954년 충남 공주 출생. 공주사대부중·고, 이화여대 제약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30여 년 동안 여성·환경운동 분야에서 시민운동가로 활동하면서, 우리 사회의 민주화와 양성평등, 환경보호 지킴이 역할을 수행해 그 공로로 제8회 한국시민운동상, 국민훈장 동백장을 수상했다. 2006년 참여정부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장(장관급)을 맡았고, 2007년 대선을 앞두고 사분오열된 민주개혁세력의 대통합과 새로운 정치를 구현하고자 정치권에 입문했다. 18대 국회 비례대표로 선출된 후, 서민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의정활동에 매진, 3년 연속으로 국정감사 우수의원과 국회 최우수연구단체로 선정되기도 했다. 2010년 민주당 부천 소사지역위원장으로 임명된 후, ‘소사댁’으로 지역주민과 새로운 삶을 함께 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4 
오늘도 구두를 닦는 '거리의 철학자' / 채상훈[부천구두사랑협회 회장] = 11
노래로 봉사하는 소사구 '행복전도사' / 박종숙[대박식당 사장] = 21
격랑의 시대를 헤쳐온 '강철 인생' / 이래청[부천개인택시조합 지부장] = 31
재래시장 부활을 꿈꾸는 영원한 자유시장인 / 김준호[자유시장 진광방앗간 사장] = 43
가출소년, 지역의 봉사일꾼이 되다 / 이만호[심곡본동 주민자치위원장] = 55
꼴찌에서 일등으로 신화가 된 도전 / 최항균[남부천신용협동조합 전 이사장] = 63
부천 시민운동 민주화운동의 산실 석왕사 / 영담[석왕사 주지스님] = 71
하나님, 사람들과 소통하려는 목회자 / 허원배[성은교회 목사] = 83
심곡복지회관에는 아름다운 사람 냄새가 있다 / 염범석[심곡복지회관 관장ㆍ목사] = 93
우산을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비를 맞는 '바보' / 임성현[부천혜림원 원장] = 103
지적장애인과의 끝없는 대화 / 이수복[이수복신경정신과 원장] = 113
5ㆍ18 광주, 시대의 희생자 혹은 가장 정의로운 자 / 최영신[부천인력개발 대표] = 123
격동의 현대사를 살아온 '전설 속의 투사' / 황인오[부천시민단체협의회 공동대표] = 135
"노동자가 있어야 사회가 돌아간다" / 박종현[신한일전기노동조합 위원장] = 147
신앙촌 출신 최초의 여성 시의원 / 김동희[부천시의회 의원] = 157
모든 이에게 꿈을 이루게 해주는 교육자 / 이경영[진영정보공업고등학교 교장] = 169
헛발질까지도 즐거운 소사여성축구단 / 안영자[소사여성축구단 회장] = 181
4대가 함께 사는 심곡본1동 '종신 통장님' / 고순영[심곡본1동 전 통장] = 191
세상에서 가장 향기로운 밥 냄새 / 임성택[향기네무료급식소 대표] = 201
소사노인복지관에는 '왕 할머니'가 있다? / 조갑례[소사노인복지관 자원봉사자] = 209
소사본3동 어르신들의 쉼터, 백제이발관 / 윤여철[백제이발관사장] = 219
부천에서 유일무이한 '민선 통장' / 이의만[파주쌀집 사장] = 229
더불어 사는 삶을 꿈꾸다 / 홍주혜[홍주혜헤어디자인 원장] = 239
서울↔개성, 그 버스기사가 되고 싶다 / 조덕기[소신여객 운전기사] = 249
학부모의 관심이 학교를 춤추게 한다 / 권혜정[부천남초등학교 운영위원장] = 259
예술을 사랑하는 부천을 꿈꾸는 화가 / 정인자[동양화가] = 271
더불어 사는 삶을 실천하는 팔방미인 예술가 / 김야천[서양화가] = 281

관련분야 신착자료

안확 (2023)
서천군지편찬위원회 (2023)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22)
沈志華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