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탄수 이연경의 성리학적 삶과 사상 / 권오영
1. 머리말 = 11
2. 효제(孝悌)를 실천한 삶 = 13
3. 과욕(寡欲)과 청심(淸心)의 사상 = 28
4. 사상의 전승과 현양 = 34
5. 맺음말 = 42
이약빙의 정치활동과 왕도정치론 / 이기순
1. 머리말 = 45
2. 행력과 정치활동 = 47
3. 대간과 경연관의 역할론 = 60
4. 군신공치론(君臣共治論) = 65
5. 맺음말 = 74
이윤경의 생애와 정치관에 대한 기초적 검토 / 서정문
1. 머리말 = 79
2. 가계와 생애 = 80
3. 대사헌 재직 시 올린 상소를 통해 본 정치관 = 90
4. 실록 사평에 나타난 평가 = 97
5. 맺음말 = 104
16세기 중반 사림파 이수경ㆍ이중경의 정치활동의 특징 / 정해은
1. 머리말 = 113
2. 아버지 이영부와 기묘사화 = 115
3. 이수경의 정치활동 = 119
1) 순탄한 승진과 언관활동 = 117
2) 을사사화의 피해 = 121
3) 임피에서 보낸 말년 = 126
4. 이중경의 정치활동 = 131
1) 사관활동 = 131
2) 정치적 시련 = 135
3) 청백리와 어머니 이씨 = 141
5. 맺음말 = 144
이광악의 생애와 왜란 때의 활약 / 김봉곤
1. 머리말 = 149
2. 가계와 생애 = 151
3. 왜란 때의 활약 = 160
1) 진주성 전투에서 승리 = 160
2) 전라병사로서 활약 = 168
4. 맺음말 = 176
석담 이윤우의 관직활동과 학문적 위상 / 김학수
1. 머리말 = 181
2. 석담의 가계 = 182
3. 광해 - 인조조의 정국과 석담의 관직활동 = 187
1) 광해조의 정국과 석담의 활동 = 187
2) 인조반정과 남인 중진관료로 부각 = 192
4. 한강학맥과 석담의 학문적 위상 = 200
1) 학문의 연원 - 사우관계를 중심으로 = 200
2) '한강추양론'의 주도와 한강학단의 결속 강화 = 211
3) 회연서원 입향과 한강고제로서 위상 강화 = 223
5. 맺음말 = 226
낙촌 이도장의 생애와 정치활동 / 조준호
1. 머리말 = 229
2. 출신 배경과 생애 = 230
3. 인조 대의 정국과 정치활동 = 234
1) 인조반정과 남인의 정계 진출 = 234
2) 척화론을 둘러싼 갈등과 정치활동 = 237
4. 경세론의 내용 = 244
1) '건황극(建皇極)'과 내수사(內需司) 폐단의 개혁 = 245
2) 서원 통제와 향교 진흥책 = 247
3) 양역변통론과 속오군의 정비 = 250
5. 맺음말 = 253
숙종 대 이원정의 정치활동과 피화 / 김문택
1. 머리말 = 257
2. 관직 진출과 정치적 역경 = 260
1) 광직 진출 과정 = 260
2) 정치적 역경과 이념의 실천 = 263
3. 경신환국과 신원운동 = 271
1) 경신환국과 정치적 고초 = 271
2) 복관의 반복과 신원운동 = 280
4. 맺음말 = 286
17세기 후반 이담명ㆍ이한명의 정치활동과 경세론 / 이근호
1. 머리말 = 291
2. 가계와 학문적 배경 = 292
3. 숙종 대 전반의 정국과 이담명ㆍ이한명 = 299
1) 숙종 초 남인의 집권ㆍ분열과 정치적 입장 = 299
2) 기사환국 뒤 재입조와 정치적 위상 = 310
4. 정치제도 및 경제 변통론 = 318
1) 문관 진출로의 확충 = 318
2) 호포론의 반대와 소변통론(小變通論) = 322
3) 궁방 절수 및 화전 금지론 = 324
5. 맺음말 = 327
숙종조 총융사 이우항의 정치활동과 도성수비론 / 심승구
1. 머리말 = 331
2. 명문가 출신의 무관 = 334
3. 환국정치와 노론 무관의 삶 = 341
4. 이우항의 도성수비론 = 358
1) 도성 수축론(숙종 28∼숙종 36) = 358
2) 북한산성 축성론(숙종 36∼숙종 37) = 362
3) 탕춘대 축성론(숙종 37∼숙종 45) = 365
5. 맺음말 = 369
묵헌 이만운의 학문 세계 / 박인호
1. 머리말 = 375
2. 이만운의 가계와 생애 = 376
3. 학문적 연원 = 385
4. 학문적 지향 = 391
1) 역학과 상수학에 대한 관심 = 391
2) 예학적 학문에 대한 관심 = 391
3) 고증적 학문에 대한 관심 = 393
4) 실천적ㆍ실용적인 학문에 대한 관심 = 395
5. 현실 문제에 대한 지향 = 397
6. 맺음말 = 399
복암 이기양의 생애와 학문 / 차기진
1. 머리말 = 403
2. 생애와 사승 관계 = 404
1) 출생과 학문 도야 = 404
2) 사환과 유배 = 410
3. 학문 내용과 성향 = 418
1) 경전 해석과 논의 = 418
2) 학문 성향과 학통 = 427
4. 맺음말 =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