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조선 후기) 당쟁과 광주이씨

(조선 후기) 당쟁과 광주이씨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오영, 저 이기순, 저 서정문, 저 정해은, 저 김봉곤, 저 김학수, 저 조준호, 저 김문택, 저 이근호, 저 심승구, 저 박인호, 저 차기진, 저
서명 / 저자사항
(조선 후기) 당쟁과 광주이씨 / 권오영, 이기순 외 지음
발행사항
파주 :   지식산업사,   2011  
형태사항
435 p. : 가계도 ; 24 cm
총서사항
한국역사문화연구총서 ;3
ISBN
9788942311484 9788942300624(세트)
일반주기
저자: 서정문, 정해은, 김봉곤, 김학수, 조준호, 김문택, 이근호, 심승구, 박인호, 차기진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1158camcc2200397 c 4500
001 000045681294
005 20111208113310
007 ta
008 111206s2011 ggkj b 000c dkor
020 ▼a 9788942311484 ▼g 94910
020 1 ▼a 9788942300624(세트)
035 ▼a (KERIS)REQ000021541668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44002 ▼d 211009
082 0 4 ▼a 951.9020922 ▼2 22
085 ▼a 953.0570922 ▼2 DDCK
090 ▼a 953.0570922 ▼b 2011
245 2 0 ▼a (조선 후기) 당쟁과 광주이씨 / ▼d 권오영, ▼e 이기순 외 지음
260 ▼a 파주 : ▼b 지식산업사, ▼c 2011
300 ▼a 435 p. : ▼b 가계도 ; ▼c 24 cm
440 0 0 ▼a 한국역사문화연구총서 ; ▼v 3
500 ▼a 저자: 서정문, 정해은, 김봉곤, 김학수, 조준호, 김문택, 이근호, 심승구, 박인호, 차기진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권오영, ▼e
700 1 ▼a 이기순, ▼e
700 1 ▼a 서정문, ▼e
700 1 ▼a 정해은, ▼e
700 1 ▼a 김봉곤, ▼e
700 1 ▼a 김학수, ▼e
700 1 ▼a 조준호, ▼e
700 1 ▼a 김문택, ▼e
700 1 ▼a 이근호, ▼e
700 1 ▼a 심승구, ▼e
700 1 ▼a 박인호, ▼e
700 1 ▼a 차기진,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953.0570922 2011 등록번호 11165032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4-05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권오영(지은이)

영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한국사학 전공)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최한기의 학문과 사상연구, 조선 후기 유림의 사상과 활동, 조선 성리학의 의미와 양상, 근대이행기의 유림,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지식인의 생활사(공저), 혜강 최한기 연구(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최한기의 사회경제적 처지와 현실인식」, 「조선조 사대부 제례의 원류와 실상」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3 
탄수 이연경의 성리학적 삶과 사상 / 권오영
 1. 머리말 = 11
 2. 효제(孝悌)를 실천한 삶 = 13
 3. 과욕(寡欲)과 청심(淸心)의 사상 = 28
 4. 사상의 전승과 현양 = 34
 5. 맺음말 = 42
이약빙의 정치활동과 왕도정치론 / 이기순
 1. 머리말 = 45
 2. 행력과 정치활동 = 47
 3. 대간과 경연관의 역할론 = 60
 4. 군신공치론(君臣共治論) = 65
 5. 맺음말 = 74
이윤경의 생애와 정치관에 대한 기초적 검토 / 서정문
 1. 머리말 = 79
 2. 가계와 생애 = 80
 3. 대사헌 재직 시 올린 상소를 통해 본 정치관 = 90 
 4. 실록 사평에 나타난 평가 = 97
 5. 맺음말 = 104
16세기 중반 사림파 이수경ㆍ이중경의 정치활동의 특징 / 정해은
 1. 머리말 = 113
 2. 아버지 이영부와 기묘사화 = 115
 3. 이수경의 정치활동 = 119
  1) 순탄한 승진과 언관활동 = 117
  2) 을사사화의 피해 = 121
  3) 임피에서 보낸 말년 = 126
 4. 이중경의 정치활동 = 131
  1) 사관활동 = 131
  2) 정치적 시련 = 135
  3) 청백리와 어머니 이씨 = 141
 5. 맺음말 = 144
이광악의 생애와 왜란 때의 활약 / 김봉곤
 1. 머리말 = 149
 2. 가계와 생애 = 151
 3. 왜란 때의 활약 = 160
  1) 진주성 전투에서 승리 = 160
  2) 전라병사로서 활약 = 168
 4. 맺음말 = 176
석담 이윤우의 관직활동과 학문적 위상 / 김학수
 1. 머리말 = 181
 2. 석담의 가계 = 182
 3. 광해 - 인조조의 정국과 석담의 관직활동 = 187
  1) 광해조의 정국과 석담의 활동 = 187
  2) 인조반정과 남인 중진관료로 부각 = 192
 4. 한강학맥과 석담의 학문적 위상 = 200
  1) 학문의 연원 - 사우관계를 중심으로 = 200
  2) '한강추양론'의 주도와 한강학단의 결속 강화 = 211
  3) 회연서원 입향과 한강고제로서 위상 강화 = 223
 5. 맺음말 = 226
낙촌 이도장의 생애와 정치활동 / 조준호 
 1. 머리말 = 229
 2. 출신 배경과 생애 = 230
 3. 인조 대의 정국과 정치활동 = 234
  1) 인조반정과 남인의 정계 진출 = 234
  2) 척화론을 둘러싼 갈등과 정치활동 = 237
 4. 경세론의 내용 = 244
  1) '건황극(建皇極)'과 내수사(內需司) 폐단의 개혁 = 245
  2) 서원 통제와 향교 진흥책 = 247  
  3) 양역변통론과 속오군의 정비 = 250
 5. 맺음말 = 253
숙종 대 이원정의 정치활동과 피화 / 김문택
 1. 머리말 = 257
 2. 관직 진출과 정치적 역경 = 260
  1) 광직 진출 과정 = 260
  2) 정치적 역경과 이념의 실천 = 263
 3. 경신환국과 신원운동 = 271
  1) 경신환국과 정치적 고초 = 271
  2) 복관의 반복과 신원운동 = 280
 4. 맺음말 = 286
17세기 후반 이담명ㆍ이한명의 정치활동과 경세론 / 이근호
 1. 머리말 = 291
 2. 가계와 학문적 배경 = 292
 3. 숙종 대 전반의 정국과 이담명ㆍ이한명 = 299
  1) 숙종 초 남인의 집권ㆍ분열과 정치적 입장 = 299
  2) 기사환국 뒤 재입조와 정치적 위상 = 310
 4. 정치제도 및 경제 변통론 = 318
  1) 문관 진출로의 확충 = 318
  2) 호포론의 반대와 소변통론(小變通論) = 322
  3) 궁방 절수 및 화전 금지론 = 324
 5. 맺음말 = 327
숙종조 총융사 이우항의 정치활동과 도성수비론 / 심승구
 1. 머리말 = 331
 2. 명문가 출신의 무관 = 334
 3. 환국정치와 노론 무관의 삶 = 341
 4. 이우항의 도성수비론 = 358
  1) 도성 수축론(숙종 28∼숙종 36) = 358
  2) 북한산성 축성론(숙종 36∼숙종 37) = 362
  3) 탕춘대 축성론(숙종 37∼숙종 45) = 365
 5. 맺음말 = 369
묵헌 이만운의 학문 세계 / 박인호
 1. 머리말 = 375
 2. 이만운의 가계와 생애 = 376
 3. 학문적 연원 = 385
 4. 학문적 지향 = 391
  1) 역학과 상수학에 대한 관심 = 391
  2) 예학적 학문에 대한 관심 = 391
  3) 고증적 학문에 대한 관심 = 393
  4) 실천적ㆍ실용적인 학문에 대한 관심 = 395
 5. 현실 문제에 대한 지향 = 397
 6. 맺음말 = 399
복암 이기양의 생애와 학문 / 차기진
 1. 머리말 = 403
 2. 생애와 사승 관계 = 404
  1) 출생과 학문 도야 = 404
  2) 사환과 유배 = 410
 3. 학문 내용과 성향 = 418
  1) 경전 해석과 논의 = 418
  2) 학문 성향과 학통 = 427
 4. 맺음말 = 432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