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224camcc2200385 c 4500 | |
001 | 000045680446 | |
005 | 20111202134833 | |
007 | ta | |
008 | 111130s2011 gaka b 000c kor | |
020 | ▼a 9788978640244 ▼g 93890 | |
035 | ▼a (KERIS)BIB000012586493 | |
040 | ▼a 241044 ▼c 241044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001.3 ▼2 22 |
085 | ▼a 001.3 ▼2 DDCK | |
090 | ▼a 001.3 ▼b 2011z22 | |
245 | 0 0 | ▼a 21세기 인문학의 새로운 도전, 치료를 논하다 / ▼d 강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엮음] |
260 | ▼a 춘천 : ▼b 산책, ▼c 2011 | |
300 | ▼a 285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저자: 강신익, 김경열, 김기윤, 김호연, 송상용, 양해림, 유재춘, 이광래, 이대범, 주진형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536 | ▼a 이 저서는 2007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
700 | 1 | ▼a 강신익, ▼e 저 ▼0 AUTH(211009)88884 |
700 | 1 | ▼a 김경열, ▼e 저 ▼0 AUTH(211009)65526 |
700 | 1 | ▼a 김기윤, ▼e 저 ▼0 AUTH(211009)114852 |
700 | 1 | ▼a 김호연, ▼e 저 ▼0 AUTH(211009)25403 |
700 | 1 | ▼a 송상용, ▼e 저 |
700 | 1 | ▼a 양해림, ▼e 저 ▼0 AUTH(211009)137971 |
700 | 1 | ▼a 유재춘, ▼e 저 ▼0 AUTH(211009)44969 |
700 | 1 | ▼a 이광래, ▼e 저 |
700 | 1 | ▼a 이대범, ▼e 저 ▼0 AUTH(211009)31707 |
700 | 1 | ▼a 주진형, ▼e 저 |
710 | ▼a 강원대학교. ▼b 인문과학연구소, ▼e 편 ▼0 AUTH(211009)18899 | |
910 | 0 | ▼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b Humanities Institute, ▼e 편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3 2011z22 | Accession No. 1116488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인문학과 다른 학문간의 부단한 소통과 통섭 과정을 거쳐 인문치료학을 정치한 학문으로 자리매김하려는 시도이다. 이 책은 문학, 언어학, 철학, 사학, 의학, 자연과학 등 전공 분야가 다른 학자들이 인문치료에 관해 여러 관점에서 연구한 결과를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여기에는 인문치료와 역사 및 철학, 인문치료와 인간학, 인문치료와 사회학, 인문치료의 융복합적 가능성과 그 실천 방식에 관한 연구들이 담겨있다.
저자 소개
강신익: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김경열: 강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김기윤: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김호연: 한양대학교 학부대학 교수
송상용: 한림대학교 사학과 교수
양해림: 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유재춘: 강원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광래: 강원대학교 철학과 교수
이대범: 강원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주진형: 강원대학교 의과전문대학원 교수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엮은이)
엄찬호 한국사, 강원대학교 문학박사,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유강하 중문학, 연세대학교 문학박사,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유건상 영문학, 강원대학교 문학박사,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윤일수 국문학, 영남대학교 문학박사,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이민용 독일문예학, 서울대학교 문학박사, 인문과학연구소 교수? 이영의 과학철학, 뉴욕주립대학교 철학박사, 인문과학연구소 교수 정락길 영화미학, 파리1대학교 예술학 박사, 인문과학연구소 교수 정성미 국어학, 강원대학교 문학박사, 인문과학연구소 교수 조세연 영어학, 일리노이대학교 언어학 박사, 영어영문학과 교수 최병욱 동양사, 강원대학교 문학박사,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

Table of Contents
목차 序 왜, 지금, 여기서 인문치료를 논하는가? / 이대범 교수 = 5 1부 인문치료, 그 오래된 미래|역사와 철학 01. 의(醫), 몸의 문제풀이 / 강신익 교수 = 17 02. 질병ㆍ건강ㆍ치유의 문화사 / 강신익 교수 = 33 2부 인문치료, 인간을 말하다|인문치료의 인간학 01. 인문치료를 생각한다 - 의료권력의 임계압력 하에서 / 이광래 교수 = 57 02. 포스트휴먼 사회와 몸 그리고 치유윤리 / 양해림 교수 = 97 03. 생명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들 / 송상용 교수 = 121 3부 인문치료, 사회를 만나다|인문치료의 사회학 01. 역사인식의 갈등과 인문학적 치유 / 유재춘 교수 = 141 02. 언어의 사용과 인문치료 / 김경열 교수 = 171 03. 인문학과 복지의 관계 맺기와 소통 / 김호연 교수 = 185 04. 인문학의 눈으로 본 생태학 / 김기윤 교수 = 211 4부 인문치료, 경계를 가로지르다|인문치료의 융복합적 가능성 또는 실천적 방식 01. 인문치료와 의학 / 주진형 교수 = 231 02. 21세기 인문학의 치료적 기능 / 이대범 교수 = 245 結 인문치료, 행복한 인간 삶을 논하며 / 이대범 교수 =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