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연구자를 위한) 최신심리척도북

(연구자를 위한) 최신심리척도북 (8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권정혜, 저 김혜리, 저 양은주, 저 이기학, 저 전진수, 저 최훈석, 저 탁진국, 저 김신희, 저
단체저자명
한국심리학회. 심리검사심의위원회, 편
서명 / 저자사항
(연구자를 위한) 최신심리척도북 / 한국심리학회 심리검사심의위원회 편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2011  
형태사항
621 p. : 삽화 ; 26 cm
ISBN
9788963306292
일반주기
부록: 국제심리검사지침서  
심리검사심의위원회: 권정혜, 김혜리, 양은주, 이기학, 전진수, 최훈석, 탁진국, 김신희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1095camcc2200361 c 4500
001 000045680417
005 20120207204950
007 ta
008 111130s2011 ulka b 000c kor
020 ▼a 9788963306292 ▼g 93180
035 ▼a (KERIS)BIB000012348132
040 ▼a 211052 ▼c 211052 ▼d 211052 ▼d 211009
082 0 4 ▼a 150.287 ▼2 22
085 ▼a 150.287 ▼2 DDCK
090 ▼a 150.287 ▼b 2011z1
245 2 0 ▼a (연구자를 위한) 최신심리척도북 / ▼d 한국심리학회 심리검사심의위원회 편
246 3 0 ▼a 심리척도북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1
300 ▼a 621 p. : ▼b 삽화 ; ▼c 26 cm
500 ▼a 부록: 국제심리검사지침서
500 ▼a 심리검사심의위원회: 권정혜, 김혜리, 양은주, 이기학, 전진수, 최훈석, 탁진국, 김신희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권정혜, ▼e
700 1 ▼a 김혜리, ▼e
700 1 ▼a 양은주, ▼e
700 1 ▼a 이기학, ▼e
700 1 ▼a 전진수, ▼e
700 1 ▼a 최훈석, ▼e
700 1 ▼a 탁진국, ▼e
700 1 ▼a 김신희, ▼e
710 ▼a 한국심리학회. ▼b 심리검사심의위원회,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0.287 2011z1 등록번호 11165634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8-14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0.287 2011z1 등록번호 11165634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1999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심리학회에서 발행된 분과 학회지에 심리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로 출판된 연구를 중심으로 심리척도를 정리한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한국심리리학회 심리검사심의위원회(엮은이)

심리검사심의위원회는 한국심리학회의 상임위원회 중 하나로, 5~8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원회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구비한 양질의 심리검사가 제작, 보급되도록 하고 심리검사의 오용 및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심리검사 인증 제도를 실시하여 인증을 받고자 요청된 심리검사를 심의하고 있다. 또 회원을 표창하고 회원들의 학술 연구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 심리검사를 제작한 논문을 심사하여 심리검사 제작상을 수여하고 있고, 심리검사 실시 및 결과 활용상의 전문적·윤리적 문제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는 일도 담당하고 있다. - 2009, 2010년 심리검사심의위원회 위원 위원장: 권정혜(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위원: 김혜리(충북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양은주(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이기학(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전진수(이수(理修)심리상담센터 센터장) 최훈수(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탁진국(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교수) 간사: 김신희(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3
제1부 심리적응
 1. 긍정적 사고 척도(Positive thinking Scale) = 15
 2. Shapiro 통제 척도(한국판)(Shapiro Control Inventory(Korean Version)): K-SCI = 20
 3. 심리적 수용 검사 척도(한국판)(AAQ Questionnaire(Korean Version)): K-AAQ = 28
 4. 축약형 생활양식 검사(Shortened Lifestyle Scale) = 33
 5. 관계적 자기 척도(Relational Self Scale: RSS) = 39
 6. 자기격려/자기낙담 척도(Self Encouragement-Discouragement Inventory) = 46
 7. 이차원 자기애 척도(Two Dimensions Narcissism Scale) = 53
 8. 5요인 마음챙김 척도(한국판)(Five-facet Mindfulness Questionnaire(Korean Version)): K-FFMQ = 58
 9. 켄터키 마음챙김기술 척도(한국판)(Kentucky Inventory of Mindfulness Skills(Korean Version)): K-KIMS = 66
 10. 연인으로서의 나(내 애인) 척도(Me(My Partner) As a Love Partner Scale): MALPS = 72
 11. 결혼만족도 검사(한국판)(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Korean Version)): K-MSI = 77
 12. 영성 척도(Spirituality Scale) = 82
 13. 진로사고 검사(한국판)(Career Thoughts Inventory (Korean Version)): K-CTI = 87
 14. 행복한 삶 척도(Happy Life Scale) = 94
 15. 스트롱 직업흥미 검사(Strong Interest Inventory: SII) = 101
 16. 암 대처 질문지(한국판)(Cancer Coping Questionnaire(Korean Version)): K-CCQ = 105
 17. 개정판 집착 척도(Revised Clinging Scale) = 111
 18.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한국판)(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
(Korean Version)): K-MAAS = 117
 19. 자기-자비 척도(한국판)(The Self Compassion Scale(Korean  Version)): K-SCS = 121
 20.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설문지(한국판)(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Korean Version)): K-SATAQ = 127
 21. FACT-G(한국판)(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General(Korean Version)): K-FACT-G = 131
 22. 대인관계 패턴의 자기이해 척도(Self-Understanding of Interpersonal Patterns: SUIP) = 137
 23. 선택-최적화-보상 척도(Selection,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Scale): SOC Scale = 143
제2부 이상심리
 24.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단축형(한국판)(Conners'Adult ADHD Rating Scale-Short Version(Korean Version)): K-CAARS = 151
 25. 외상 후 위기 체크리스트(Posttrauma Risk Checklist): PRC = 156
 26. 사회적 걱정에 대한 질문지(한국판)(Appraisal of Social Concerns(Korean Version)): K-ASC = 163
 27.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척도(Post-Traumatic Stress Symptom Scale for Dislocated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 168
 28.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SDSAS) = 182
 29. 인터넷 게임중독/관여 척도(한국판)(The Game Addiction/Engagement Scale(Korean Version)): K-GAES = 188
 30. 화병면담 검사(Hwa-Byung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HBDIS) = 193
 31. 화병 척도(Hwa-Byung Scale) = 200
 32. 이차원 완벽주의 척도(한국판)(Two-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Korean Version)): K-TPS = 205
 33. 사회행동 배열과제(Social Behavior Sequencing Task) = 211
 34. 부정적 정서로 유발된 섭식동기 척도(Negative Emotion-Induced Eating Motive Scale: NEIEMS) = 216
 35. 발표불안 자동적 사고 질문지(Speech Anxiety Automatic Thoughts Questionnaire: SAATQ) = 221
 36. 발표불안 사고 검사(한국판)(The Speech Anxiety Thoughts Inventory(Korean Version)): K-SATI = 227
 37. 역기능적 신념 검사(Dysfunctional Beliefs Test) = 233
 38. 도박 태도 및 신념 척도(한국판)(Gambling Attitudes and Beliefs Scale(Korean Version)): K-GABS = 244
 39.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 평가를 위한 Happy-QoL 척도(Happy-Quality  of Life Scal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c Disorder) = 250
 40. 부적응적 자기초점화 척도(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Scale: MSFAS) = 255
 41. 일반적 음식갈망 - 특질 척도(한국판)(The General Food Cravings Questionnaire-Trait(Korean Version)): K-G-FCQ-T = 260
 42. 기억평가 검사(한국판)(Memory Assessment Scales(Korean Version)): K-MAS = 265
 43. 한국형 성격장애 진단 검사(Korean Personality Disorders Test) = 269
 44. 정신장애인 기능평가도구(Functional Assessment Scale for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y) = 274
 45.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 평가를 위한 GHQ/QL-12(General Health Questionnaire/Quality of Life-12: GHQ/QL-12) = 281
제3부 아동 청소년 심리
 46. 아동용 교우관계문제 검사(Inventory of Peer Relation Proble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287
 47.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The Adolescent Resilience Scale) = 293
 48. 청소년용 부적응적 사고 척도(Maladaptive Thought Scale for Adolescents: MTS-A) = 300
 49. 한국 아동 인성 평정척도 교사용(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Teacher Form: KPRC-TF) = 307
 50. 아동 청소년용 자동적 사고 척도(한국판)(Children's Automatic Thoughts Scale(Korean Version)): K-CATS = 314 
 51.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축약형(한국판)(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Korean Version)): K-PSI-SF = 320
 52. 아동의 정서ㆍ행동 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Emotional or Behavioral Problems Scale) = 324
 53. 외톨이 질문지(Oiettolie Scale) = 329
 54. 한국아동인성검사 개정판의 아동보고형(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Revised-Children-Report Form: KPI-C-R-CRF) = 334
 55. 부정적 자기진술 질문지(한국판)(Negative Affect Self-Statement Questionnaire(Korean Version)): K-NASSQ = 340
 56. CCQ 자아탄력 척도와 CCQ 자아통제 척도(Ego Resilience Scale And Ego Control Scale of California Child Q-Set) = 346
 57. 한국 청소년 기분 심리 욕구 척도(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for Korean Adolescents) = 352
제4부 동기 및 정서
 58. 인터넷 동기 척도(Internet Motivation Scale) = 359
 59. 언어성 분노행동 척도(한국판)(The Anger Behavior-Verbal Scale(Korean Version)) = 365
 60. 한국 정서표현성 척도(Korean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 370
 61. 우울 기분 반응양식 질문지(Depressed Mood Response style Questionnaire: DMRQ) = 375
 62. 분노사고 척도: 일차적/이차적 분노사고 척도(Anger Thought Scale: Primary/Secondary Anger thought Scale) = 381
 63. 무망감 우울증상 척도(한국판)(Hopelessness Depression Questionnaire(Korean Version)) = 389
 64. 분노표출/분노억제 태도 척도(Anger-Out/Anger-In Attitude Scale) = 397
 65. 변화단계 척도(한국판)(The Stages of Change Readiness And Treatment Eagerness Scale(Korean Version)): SOCRATES-K = 407
 66. 분노행동 척도(한국판)(The Behavioral Anger Response Questionnaire(Korean Version)): K-BARQ = 413
 67. 한국형 수치심 척도(Korean Shame Scale-61: KSS-61) = 419
 68. 공격성 질문지(한국판)(The Aggression Questionnaire(Korean Version)): K-AQ = 426
 69. 한국 정서경험 척도(Korean Emotional Experience Scale) = 431
제5부 사회문화적 기능
 70. 신명 척도(Shinmyeong Scale) = 439
 71. 여자대학생 성희롱 척도(Sexual Harassment Scal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 447
 72. 사회정체화 척도(Social Identification Scale) = 453
 73. 길찾기 능력 검사(Wayfinding Ability Test: WAT) = 458
 74.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 척도(Social Stigma Scale of Mental Illness Patients: SSMIP) = 463
 75. 강간 통념 척도(Rape Myths Scale) = 469
 76. 동성애 공포 척도(한국판)(Index of Homophobia(Korean Version)): K-IH = 474
 77. 2요인 자아존중감 척도(Two-factor Self-Esteem Scale) = 478
 78. 신체가치 척도: 신체조작성 척도와 신체편향성 척도(Body-related Value Scales: Body Value Inventory-Operatability and Body Value Inventory-Inclination) = 483
제6부 상담과정 및 효과
 79. 내담자의 상담 불만족에 대한 개입 척도(Intervention in Relation to Client Dissatisfaction in Counseling) = 493
 80.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척도(Counselor Activity Selt-Efficacy Scale: CASES) = 499
 81. 단축형 치료효과 검사(Brief Outcome Questionnaire: BOQ) = 507
 82. 상담회기 영향 척도(한국판)(The Session Impacts Scale(Korean Version)): K-SIS = 512
 83. 채팅상담 성과 척도(Chat Counseling Outcome Scale: CCOS) = 519
 84. 아동과 치료자 간의 치료적 관계 척도(한국판)(The Therapeutic Relationship for Children(Korean Version)) = 524
제7부 조직 및 직무
 85. 한국형 일몰입 척도(Work Flow Scale) = 533
 86. 조직변화단계 진단 척도(Scale for assessing the Stages of organizational Change) = 542
 87. 경력장애 척도(Career Barrier Scale) = 548
 88. 멘터역할 척도(Mentor Role Scale) = 554
 89. 경력지향 유형 척도(Career Orientation Type Scale) = 560
제8부 소비자
 90. 소비자의 주관적 지식 척도(Consumer'S Subjective Knowledge Scale) =  569
 91. 충동구매 경향성 척도(Impulse Buying Tendency Scale) = 575
 92. 한국형 브랜드 성격 척도(Korean Brand Personality Scale) = 581
부록 : 국제심리검사지침서 = 58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