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를 위한) 임상신경학 3판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를 위한) 임상신경학 3판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종만 이문규, 저 국은주, 저
서명 / 저자사항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를 위한) 임상신경학 = Clinical neurology / 김종만, 이문규, 국은주
판사항
3판
발행사항
서울 :   정담미디어,   2011  
형태사항
269 p. : 삽화 ; 29 cm
ISBN
9788960692336
서지주기
참고문헌 과 색인(p. 263-269) 수록
일반주제명
Neurology. Nervous system -- Diseases Nervous System Diseases -- diagnosis. Nervous System Diseases -- therapy.
비통제주제어
물리치료사 , 작업치료사 , 임상신경학 , 신경학 ,,
000 01085camcc2200325 c 4500
001 000045679080
005 20111123164034
007 ta
008 110902s2011 ulka b 001c kor
020 ▼a 9788960692336 ▼g 93510 : ▼c \25000
035 ▼a (KERIS)BIB000012553872
040 ▼a 222001 ▼c 222001 ▼d 211010
082 0 4 ▼a 616.8 ▼2 22
085 ▼a 616.8 ▼2 DDCK
090 ▼a 616.8 ▼b 2011z2
100 1 ▼a 김종만
245 2 0 ▼a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를 위한) 임상신경학 = ▼x Clinical neurology / ▼d 김종만, ▼e 이문규, ▼e 국은주
250 ▼a 3판
260 ▼a 서울 : ▼b 정담미디어, ▼c 2011
300 ▼a 269 p. : ▼b 삽화 ; ▼c 29 cm
504 ▼a 참고문헌 과 색인(p. 263-269) 수록
650 0 ▼a Neurology.
650 0 ▼a Nervous system ▼x Diseases
650 1 2 ▼a Nervous System Diseases ▼x diagnosis.
650 1 2 ▼a Nervous System Diseases ▼x therapy.
653 ▼a 물리치료사 ▼a 작업치료사 ▼a 임상신경학 ▼a 신경학
700 1 ▼a 이문규, ▼e
700 1 ▼a 국은주,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3/ 청구기호 616.8 2011z2 등록번호 14107802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3/ 청구기호 616.8 2011z2 등록번호 14107802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종만(지은이)

신경과학과 물리치료학을 가르치는 교수이며, 남원교회에서 설교사역으로 섬기고 있다. 현재 대학에서 '창조와 진화'라는 과목을, 그리스도인훈련원에서 기독교 변증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창조과학스쿨'을 통해서 청소년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있다. 저자는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학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신경재활학회 학회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저서로는 '신경해부생리학' '임상신경학' '신경계물리치료학'이 있으며, 역서로는 '신경과학의 원리' '신경과학' '신경계 재활'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운동조절의 신경학적 기전 = 7
 1.1 변연뇌와 감각운동뇌 = 8
 1.2 감각운동뇌에서의 운동조절의 명령체계 = 11
  1. 고위조절중추 = 14
  2. 중간조절중추 = 16
  3. 하위조절중추 = 26
 1.3 균형과 자세조절 = 38
  1. 자세조절기전 = 38
  2. 균형의 생체역학 = 39
  3. 균형유지에 포함되는 시스템 = 40
  4. 자세 전략 = 44
  5. 운동계획 = 46
  6. 다른 고려사항 = 47
  7. 결론 = 47
제2장 신경학적 검사 = 51
 2.1 고위대뇌 기능 = 52
  1. 일반기능 검사 = 52
  2. 특수기능 검사 = 55
 2.2 뇌신경기능 = 57
 2.3 소뇌 및 평형기능 = 64
 2.4 운동계 기능 = 67
 2.5 반사기능 = 69
 2.6 감각계 기능 = 73
제3장 운동기능 장애의 임상양상 = 77
 3.1 운동단위 질환(신경근육질환) = 78
  1. 근육통과 근압통 = 78
  2. 근육약화(불완전마비와 마비) = 79
  3. 근육 크기의 변화 = 80
  4. 근육 과활동 상태 = 80
  5. 근육피로 = 84
  6. 비정상적인 근육긴장도(저긴장) = 84
  7. 감각장애 = 84
  8. 근육 신장반사의 감소나 상실 = 86
 3.2 중추운동조절의 장애 = 86
  1. 비정상적인 근육긴장도 = 86
  2. 저긴장증 = 90
  3. 근육약화 = 90
  4. 근육지구력의 약화 = 91
  5. 근육활성 양상의 변화 = 91
  6. 불수의 운동 = 93
  7. 수의운동장애 = 96
  8. 조화운동못함증 = 97
  9. 행위상실증 = 97
  10. 균형장애 = 98
  11. 비정상적인 반사 = 98
제4장 근육질환 = 101
 4.1 개요 = 102
 4.2 근육퇴행위축 = 104
  1. 뒤시엔느 근육퇴행위축 = 105
  2. 팔다리이음 근육퇴행위축 = 110
  3. 얼굴어깨위팔 근육퇴행위축 = 110
  4. 근육긴장성 근육퇴행위축 = 110
 4.3 근육퇴행위축의 치료 = 111
제5장 중증근육무력증 = 115
 5.1 역학 = 116
 5.2 임상양상 = 116
 5.3 임상경과 = 117
 5.4 병태생리 = 117
 5.5 치료 = 118
제6장 말초신경계 질환 = 121
 6.1 정상적인 말초신경계 = 122
  1. 말초신경계의 구성 = 122
  2. 말초신경의 구조와 구성 = 124
  3. 축삭수송 = 125
 6.2 말초신경병의 병태생리 = 126
  1. 축삭질환 = 126
  2. 말이집질환 = 129
  3. 신경세포질환 = 130
 6.3 말초신경병증의 임상양상 = 130
  1. 증상과 징후 = 132
 6.4 길랭-바레 증후군 = 134
 6.5 당뇨병성 신경병증 = 136
제7장 앞뿔세포질환: 운동신경세포질환 = 141
 7.1 운동신경세포질환: 근육위축가쪽경화증 = 142
  1. 전형적 근육위축가쪽경화증 = 144
  2. 진행성 숨뇌마비 = 144
  3. 진행성 근육위축증 = 145
 7.2 일반적인 임상양상과 병리양상 = 145
 7.3 척수근육위축증 = 146
 7.4 소아마비와 후-소아마비 증후군 = 148
제8장 척수손상 = 153
 8.1 척수의 구조와 기능 = 155
 8.2 척수손상의 분류 = 157
  1. 완전척수절단 = 158
  2. 불완전 손상 = 159
 8.3 척수손상에 의해 발생되는 징후와 증상 = 161
  1. 통증 = 161
  2. 감각장애 = 161
  3. 근육약화 = 162
  4. 만성 척수손상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사이신경세포 활동 = 164
  5. 골반기관 기능의 척수조절 = 165
  6. 척수손상의 자율신경장애 = 168
 8.4 외상 이외의 척수손상 원인 = 170
  1. 선천성 장애와 발달장애 = 170
  2. 척주질환 = 172
  3. 염증질환 = 173
  4. 혈관질환 = 174
  5. 척수종양 = 174
 8.5 척수손상의 예후와 치료 = 175
제9장 파킨슨병과 기타 바닥핵 장애 = 179
 9.1 움직임과 관련된 일반적인 개념 = 182
 9.2 파킨슨병의 병인과 임상양상 = 182
  1. 운동못함증 = 182
  2. 운동느림증 = 184
  3. 근육경직 = 184
  4. 떨림 = 185
  5. 보행과 균형장애 = 186
 9.3 파킨슨병의 치료 = 186
 9.4 헌팅톤병 = 188
 9.5 불수의운동장애의 운동치료 원칙 = 189
제10장 소뇌질환 = 191
 10.1 소뇌장애의 임상징후 = 192
  1. 협응운동장애 = 192
  2. 저긴장증 = 193
  3. 평형장애와 현기증 = 194
  4. 움직임의 시작과 정지의 지연 = 195
  5. 비운동성 장애 = 195
 10.2 조화운동못함증의 기전 = 195
  1. 조화운동못함증과 관련된 신경학적 구조 = 195
  2. 소뇌 조화운동못함증과 감각조화운동못함증의 감별진단 = 197
  3. 기능성 있는 조화운동못함증의 기전 = 197
  4. 소뇌 조화운동못함증의 치료원칙 = 197
제11장 외상성 뇌손상 = 199
 11.1 외상성 뇌손상의 기전 = 200
 11.2 외상성 뇌손상의 병태생리 = 201
  1. 머리덮개와 머리뼈의 충돌 손상 = 201
  2. 일차뇌손상 = 202
  3. 이차뇌손상 = 205
  4. 뇌 이동과 탈출 = 207
 11.3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운동장애 = 208
  1. 비정상적인 근육긴장도 = 208
  2. 저긴장증 = 210
  3. 비정상적인 반사 = 210
  4. 근육약화와 지구력 감소 = 211
  5. 근육활성의 순서나 타이밍의 변화 = 212
  6. 조화운동못함증 = 212
  7. 행위상실증 = 213
  8. 균형장애 = 213
 11.4 외상성 뇌손상의 다른 임상양상 = 213
  1. 의식 감소와 변화 = 213
  2. 다른 계통에 있어서의 기능장애 = 214
 11.5 외상성 뇌손상의 예후 = 215
제12장 뇌졸중 = 217
 12.1 뇌혈관질환의 분류 = 218
 12.2 뇌혈관질환의 병인 = 219
  1. 허혈성 뇌졸중 = 219
  2. 출혈성 뇌졸중 = 222
 12.3 뇌혈관질환의 임상경과 = 224
 12.4 뇌혈관질환의 의료적 치료 = 226
 12.5 뇌혈관질환에 동반하는 운동장애 = 226
  1. 움직임의 필요조건 = 227
  2. 비정상적인 근육긴장도 = 227
  3. 비정상적인 반사 = 229
  4. 근육약화와 지구력 감소 = 229
  5. 근활동 양상의 변화 = 230
  6. 운동계획 장애 = 231
  7. 비정상적인 균형반응 = 232
 12.6 강직과 근력강화의 관계 = 232
  1. 수의운동에 의한 강직 감소 = 232
  2. 강직에 기여하는 역학적 요인 = 236
 12.7 운동조절의 우세성 = 243
 12.8 신경혈관 임상증후군 = 243
  1. 손목동맥 증후군 = 245
  2. 중간대뇌동맥 증후군 = 245
  3. 앞대뇌동맥 증후군 = 245
  4. 척추동맥 증후군 = 247
  5. 바닥동맥 증후군 = 247
  6. 뒤대뇌동맥 = 248
 12.9 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 248
제13장 다발성경화증 = 253
 13.1 원인과 병인 = 254
 13.2 발병과 초기 임상특징 = 255
 13.3 다발성경화증의 공통적인 증상과 징후 = 256
 13.4 질병 경과 = 257
 13.5 치료 = 261

관련분야 신착자료

Liu, Jie (2022)
Vasquez, Melba Jean Trinidad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