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운동조절의 신경학적 기전 = 7
1.1 변연뇌와 감각운동뇌 = 8
1.2 감각운동뇌에서의 운동조절의 명령체계 = 11
1. 고위조절중추 = 14
2. 중간조절중추 = 16
3. 하위조절중추 = 26
1.3 균형과 자세조절 = 38
1. 자세조절기전 = 38
2. 균형의 생체역학 = 39
3. 균형유지에 포함되는 시스템 = 40
4. 자세 전략 = 44
5. 운동계획 = 46
6. 다른 고려사항 = 47
7. 결론 = 47
제2장 신경학적 검사 = 51
2.1 고위대뇌 기능 = 52
1. 일반기능 검사 = 52
2. 특수기능 검사 = 55
2.2 뇌신경기능 = 57
2.3 소뇌 및 평형기능 = 64
2.4 운동계 기능 = 67
2.5 반사기능 = 69
2.6 감각계 기능 = 73
제3장 운동기능 장애의 임상양상 = 77
3.1 운동단위 질환(신경근육질환) = 78
1. 근육통과 근압통 = 78
2. 근육약화(불완전마비와 마비) = 79
3. 근육 크기의 변화 = 80
4. 근육 과활동 상태 = 80
5. 근육피로 = 84
6. 비정상적인 근육긴장도(저긴장) = 84
7. 감각장애 = 84
8. 근육 신장반사의 감소나 상실 = 86
3.2 중추운동조절의 장애 = 86
1. 비정상적인 근육긴장도 = 86
2. 저긴장증 = 90
3. 근육약화 = 90
4. 근육지구력의 약화 = 91
5. 근육활성 양상의 변화 = 91
6. 불수의 운동 = 93
7. 수의운동장애 = 96
8. 조화운동못함증 = 97
9. 행위상실증 = 97
10. 균형장애 = 98
11. 비정상적인 반사 = 98
제4장 근육질환 = 101
4.1 개요 = 102
4.2 근육퇴행위축 = 104
1. 뒤시엔느 근육퇴행위축 = 105
2. 팔다리이음 근육퇴행위축 = 110
3. 얼굴어깨위팔 근육퇴행위축 = 110
4. 근육긴장성 근육퇴행위축 = 110
4.3 근육퇴행위축의 치료 = 111
제5장 중증근육무력증 = 115
5.1 역학 = 116
5.2 임상양상 = 116
5.3 임상경과 = 117
5.4 병태생리 = 117
5.5 치료 = 118
제6장 말초신경계 질환 = 121
6.1 정상적인 말초신경계 = 122
1. 말초신경계의 구성 = 122
2. 말초신경의 구조와 구성 = 124
3. 축삭수송 = 125
6.2 말초신경병의 병태생리 = 126
1. 축삭질환 = 126
2. 말이집질환 = 129
3. 신경세포질환 = 130
6.3 말초신경병증의 임상양상 = 130
1. 증상과 징후 = 132
6.4 길랭-바레 증후군 = 134
6.5 당뇨병성 신경병증 = 136
제7장 앞뿔세포질환: 운동신경세포질환 = 141
7.1 운동신경세포질환: 근육위축가쪽경화증 = 142
1. 전형적 근육위축가쪽경화증 = 144
2. 진행성 숨뇌마비 = 144
3. 진행성 근육위축증 = 145
7.2 일반적인 임상양상과 병리양상 = 145
7.3 척수근육위축증 = 146
7.4 소아마비와 후-소아마비 증후군 = 148
제8장 척수손상 = 153
8.1 척수의 구조와 기능 = 155
8.2 척수손상의 분류 = 157
1. 완전척수절단 = 158
2. 불완전 손상 = 159
8.3 척수손상에 의해 발생되는 징후와 증상 = 161
1. 통증 = 161
2. 감각장애 = 161
3. 근육약화 = 162
4. 만성 척수손상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사이신경세포 활동 = 164
5. 골반기관 기능의 척수조절 = 165
6. 척수손상의 자율신경장애 = 168
8.4 외상 이외의 척수손상 원인 = 170
1. 선천성 장애와 발달장애 = 170
2. 척주질환 = 172
3. 염증질환 = 173
4. 혈관질환 = 174
5. 척수종양 = 174
8.5 척수손상의 예후와 치료 = 175
제9장 파킨슨병과 기타 바닥핵 장애 = 179
9.1 움직임과 관련된 일반적인 개념 = 182
9.2 파킨슨병의 병인과 임상양상 = 182
1. 운동못함증 = 182
2. 운동느림증 = 184
3. 근육경직 = 184
4. 떨림 = 185
5. 보행과 균형장애 = 186
9.3 파킨슨병의 치료 = 186
9.4 헌팅톤병 = 188
9.5 불수의운동장애의 운동치료 원칙 = 189
제10장 소뇌질환 = 191
10.1 소뇌장애의 임상징후 = 192
1. 협응운동장애 = 192
2. 저긴장증 = 193
3. 평형장애와 현기증 = 194
4. 움직임의 시작과 정지의 지연 = 195
5. 비운동성 장애 = 195
10.2 조화운동못함증의 기전 = 195
1. 조화운동못함증과 관련된 신경학적 구조 = 195
2. 소뇌 조화운동못함증과 감각조화운동못함증의 감별진단 = 197
3. 기능성 있는 조화운동못함증의 기전 = 197
4. 소뇌 조화운동못함증의 치료원칙 = 197
제11장 외상성 뇌손상 = 199
11.1 외상성 뇌손상의 기전 = 200
11.2 외상성 뇌손상의 병태생리 = 201
1. 머리덮개와 머리뼈의 충돌 손상 = 201
2. 일차뇌손상 = 202
3. 이차뇌손상 = 205
4. 뇌 이동과 탈출 = 207
11.3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운동장애 = 208
1. 비정상적인 근육긴장도 = 208
2. 저긴장증 = 210
3. 비정상적인 반사 = 210
4. 근육약화와 지구력 감소 = 211
5. 근육활성의 순서나 타이밍의 변화 = 212
6. 조화운동못함증 = 212
7. 행위상실증 = 213
8. 균형장애 = 213
11.4 외상성 뇌손상의 다른 임상양상 = 213
1. 의식 감소와 변화 = 213
2. 다른 계통에 있어서의 기능장애 = 214
11.5 외상성 뇌손상의 예후 = 215
제12장 뇌졸중 = 217
12.1 뇌혈관질환의 분류 = 218
12.2 뇌혈관질환의 병인 = 219
1. 허혈성 뇌졸중 = 219
2. 출혈성 뇌졸중 = 222
12.3 뇌혈관질환의 임상경과 = 224
12.4 뇌혈관질환의 의료적 치료 = 226
12.5 뇌혈관질환에 동반하는 운동장애 = 226
1. 움직임의 필요조건 = 227
2. 비정상적인 근육긴장도 = 227
3. 비정상적인 반사 = 229
4. 근육약화와 지구력 감소 = 229
5. 근활동 양상의 변화 = 230
6. 운동계획 장애 = 231
7. 비정상적인 균형반응 = 232
12.6 강직과 근력강화의 관계 = 232
1. 수의운동에 의한 강직 감소 = 232
2. 강직에 기여하는 역학적 요인 = 236
12.7 운동조절의 우세성 = 243
12.8 신경혈관 임상증후군 = 243
1. 손목동맥 증후군 = 245
2. 중간대뇌동맥 증후군 = 245
3. 앞대뇌동맥 증후군 = 245
4. 척추동맥 증후군 = 247
5. 바닥동맥 증후군 = 247
6. 뒤대뇌동맥 = 248
12.9 뇌혈관질환의 위험요인 = 248
제13장 다발성경화증 = 253
13.1 원인과 병인 = 254
13.2 발병과 초기 임상특징 = 255
13.3 다발성경화증의 공통적인 증상과 징후 = 256
13.4 질병 경과 = 257
13.5 치료 =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