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242camcc2200385 c 4500 | |
001 | 000045678760 | |
005 | 20111122104433 | |
007 | ta | |
008 | 111118s2011 ggk b 001c kor | |
020 | ▼a 9788925405223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569487 | |
040 | ▼a 248003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h rus |
082 | 0 4 | ▼a 401/.9 ▼2 22 |
085 | ▼a 401.9 ▼2 DDCK | |
090 | ▼a 401.9 ▼b 2011z2 | |
100 | 1 | ▼a Vygotskii, L. S. ▼q (Lev Semenovich), ▼d 1896-1934 |
245 | 1 0 | ▼a 사고와 언어 / ▼d L.S. 비고츠키 저 ; ▼e A. 코줄린 편집 ; ▼e 윤초희 역 |
246 | 1 | ▼i 영어번역표제: ▼a Thought and language |
246 | 1 9 | ▼a Мышление и речь |
246 | 3 | ▼a Myshlenie i rech |
260 |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1 | |
300 | ▼a 413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402-404)과 색인수록 | |
546 | ▼a 러시아어로 된 원저작이 영어로 번역되고, 이것을 다시 한글로 번역 | |
650 | 0 | ▼a Psycholinguistics |
650 | 0 | ▼a Thought and thinking |
650 | 0 | ▼a Language acquisition |
650 | 0 | ▼a Child psychology |
700 | 1 | ▼a Kozulin, Alex, ▼e 편 ▼0 AUTH(211009)88468 |
700 | 1 | ▼a 윤초희, ▼e 역 ▼0 AUTH(211009)31236 |
900 | 1 0 | ▼a 비고츠키, L. S., ▼e 저 |
900 | 1 0 | ▼a Выготский, Л. С.,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01.9 2011z2 | Accession No. 11164712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01.9 2011z2 | Accession No. 11170320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인간 심리기능의 가장 복잡한 영역인 사고와 말의 구조적, 기능적, 발생학적 관련성 문제를 다룬다. 그 과정에서 전통적인 실험방법뿐만 아니라 문학적 은유와 기술, 다양한 인류학적 자료, 당대 심리학자들과의 비판적 대화와 논의들이 사용되고 있다.
사고와 말의 상이한 발생기원과 발달경로, 만남과 합류, 상호작용과 변화과정에 대한 그의 다면적이고 발생학적인 분석방식은 당대 심리학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시도다. 이는 개별 심리기능들을 분리하여 그 산물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당대 심리학의 방법론에 대한 도전이라고 할 수 있다.
독자들은 이 책에서 너무나 익숙한 비고츠키의 주요 개념-자기중심적 말, 기호론적 매개, 근접발달영역, 심리적 도구 등-을 생생하게 살아있는 형태로 만나게 될 것이다.
비고츠키의 마지막 작품인 『Myschlenie i rech』는 1934년에 완성되었다. 미국에서는 1962년 MIT출판사에서 처음으로 『Thought and Language』 편집본이 출간되었고 1986년에 개정증보판이 나왔다. 이 책은 1986년 알렉스 코줄린이 편집한 『Thought and Language』 개정증보판을 번역한 것이다.
이 책은 인간 심리기능의 가장 복잡한 영역인 사고와 말의 구조적, 기능적, 발생학적 관련성 문제를 다룬다. 그 과정에서 전통적인 실험방법뿐만 아니라 문학적 은유와 기술, 다양한 인류학적 자료, 당대 심리학자들과의 비판적 대화와 논의들이 사용되고 있다. 사고와 말의 상이한 발생기원과 발달경로, 만남과 합류, 상호작용과 변화과정에 대한 그의 다면적이고 발생학적인 분석방식은 당대 심리학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시도다. 이는 개별 심리기능들을 분리하여 그 산물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당대 심리학의 방법론에 대한 도전이라고 할 수 있다. 독자들은 이 책에서 너무나 익숙한 비고츠키의 주요 개념-자기중심적 말, 기호론적 매개, 근접발달영역, 심리적 도구 등-을 생생하게 살아있는 형태로 만나게 될 것이다. 비고츠키는 인간 정신기능의 기원은 사회이며 개인은 문화적 산물인 기호론적 매개활동을 통해 사회와 만난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은 사회적 말이 내적 말로 이행되는 중간과정으로서의 자기중심적 말에 대한 그의 독창적인 해석에서부터, (내재적) 사고와 (외재적) 단어의 연결고리인 단어의미에 대한 논의에 이르기까지 『사고와 언어』 곳곳에서 나타난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개체발생뿐만 아니라 계통발생과 문화역사적 발달을 포괄하는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발달 개념을 통찰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레프 세묘노비치 비고츠키(지은이)
1896년 유태인 가정에서 태어나 벨라루스공화국 남부 고멜에서 자랐다. 모스크바 대학의 의학부에 입학했으나 법학으로 전공을 바꾸어 졸업하였다. 그는 대학에서 철학, 사회과학, 심리학, 언어학, 문학, 미술 등 폭넓은 학문을 경험하였다. 1918년 대학을 졸업한 비고츠키는 고향으로 돌아가 문학, 미학, 예술사를 가르치는 교사 생활을 하면서 학문을 계속한다. 1924년 모스크바로 돌아와 본격적으로 연구활동을 개시하였다. 1925년 모스크바 대학에서는 이상 아동을 위한 심리실험실을 조직하고 있었는데, 이때 <심리학의 위기에 대한 역사적 의미>, <(비고츠키의) 예술심리학>을 저술하였다. 1934년 폐결핵으로 사망하기까지 발달심리학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남긴 그였지만 스탈린 정권 하에서는 인정받지 못했다. 그의 업적은 제자들에 의해 그 명맥을 이어갔으며, 러시아의 학교 교육에 깊은 영향을 주었을 뿐 아니라 서방 세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비고츠키의 <(비고츠키의) 예술심리학>은 그의 박사 논문이었으며, 문학 교사 생활을 하면서 오랜 시간 동안 숙고한 결과이기도 하다. 비고츠키의 왕성한 저술활동은 <아동의 상상력과 창조>(1930), <장애 아동의 발달과 교육 진단>(1931), <고등심리 과정의 발달사>(1931), <심리학 강의>(1932), <학령기의 인지발달과 수업의 문제>(1934),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고>(1934), <사고와 언어>(1934)에 집중되었다. 그의 저술의 대부분은 20년이 지난 1956년 발간되었으며, 1960~1970년대에 영어로 번역되기 시작하여 1980년대에는 많은 심리학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우리나라에는 <사고와 언어>와 비고츠키 선집 8권이 번역되었고, 이 외에 다수의 연구서와 번역서가 소개되었다.
윤초희(옮긴이)
연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워싱턴대학교(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교육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관심분야는 인지발달, 학습과학, 창의성, 비판적 사고 등이다. 저·역서로는 『교육학개론』(공저, 박영스토리, 2021), 『학습컨설팅: 이론과 설계』(공저, 박영스토리, 2018), 『수퍼사이징 더 마인드』(공역, 교육과학사, 2018), 『마음의 형성: 알렉산드르 루리야의 자서전』(역, 교육과학사, 2015), 『교실에서의 창의성교육』(공역, 학지사, 2014), 『학교와 지역사회를 위한 심리 및 학습컨설팅』(공역, 센게이지러닝, 2012), 『사고와 언어』(역, 교육과학사, 2011) 등이 있다. 현재 동국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3 맥락 속의 비고츠키 = 11 제목에 대한 주 = 64 저자 서문 = 65 제1장 문제와 접근방법 = 71 제2장 아동의 언어와 사고에 대한 피아제의 이론 = 85 제3장 스턴의 언어발달 이론 = 141 제4장 사고와 말의 발생학적 기원 = 153 제5장 개념발달에 대한 실험 연구 = 187 제6장 아동기 과학적 개념의 발달: 작업가설의 설계 = 245 제7장 사고와 단어 = 317 NOTES = 375 참고문헌 = 402 찾아보기 = 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