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678752 | |
005 | 20190208113556 | |
007 | ta | |
008 | 111118s2011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2784565 ▼g 93510 | |
035 | ▼a (KERIS)BIB000012549588 | |
040 | ▼a 211052 ▼c 211052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58445 ▼a 362.28 ▼2 23 |
085 | ▼a 616.858445 ▼2 DDCK | |
090 | ▼a 616.858445 ▼b 2011z1 | |
100 | 1 | ▼a Jobes, David A. ▼0 AUTH(211009)82225 |
245 | 1 0 | ▼a 자살 위험관리 : ▼b 협력적 접근법 / ▼d David A. Jobes 지음 ; ▼e 서혜석 [외] 옮김 |
246 | 1 9 | ▼a Managing suicidal risk : ▼b a collaborative approach |
260 | ▼a 서울 : ▼b 군자출판사, ▼c 2011 | |
300 | ▼a 207 p. : ▼b 삽화 ; ▼c 30 cm | |
500 | ▼a 역자: 공은숙, 한숙자, 김태형, 이대식, 박인태, 김선범, 채인석 | |
500 | ▼a 부록: 자살상태양식-Ⅲ, 자살상태양식 리커르트 척도 코딩매뉴얼, 자살상태양식을 위한 코딩매뉴얼 외 | |
504 | ▼a 참고문헌(p. 1972-03)과 색인수록 | |
650 | 0 | ▼a Suicide |
700 | 1 | ▼a 서혜석, ▼e 역 ▼0 AUTH(211009)12186 |
700 | 1 | ▼a 공은숙, ▼e 역 ▼0 AUTH(211009)47505 |
700 | 1 | ▼a 한숙자, ▼e 역 |
700 | 1 | ▼a 김태형, ▼e 역 |
700 | 1 | ▼a 이대식, ▼e 역 |
700 | 1 | ▼a 박인태, ▼e 역 |
700 | 1 | ▼a 김선범, ▼e 역 ▼0 AUTH(211009)68940 |
700 | 1 | ▼a 채인석, ▼e 역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58445 2011z1 | Accession No. 1116484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Chapter 1 협력적 자살사저오가 관리를 위한 임상적 도전과 필요성 = 1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정의와 기능 = 5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임상적 철학 = 5 Chapter 2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기원과 자살상태양식의 고찰 = 7 자살상태양식 = 7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기원 = 26 요약 및 결론 = 30 Chapter 3 자살위험의 조기 확인 = 31 자살경향성에 대한 임상의의 공통적인 태도 및 접근방식 = 31 실질적인 임상적 효과 = 37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 활용을 위한 준비 = 41 요약 및 결론 = 42 Chapter 4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위험사정 = 43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위험사정을 위한 단계별 지침 = 43 요약 및 결론 = 56 Chapter 5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치료계획 = 57 외래환자 치료계획에 대한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철학 = 58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외래환자 치료계획 : SSF의 SECTION C = 66 SSF의 SECTION D의 완결 - HIPAA 페이지 = 81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자살상태 = 83 요약 및 결론 = 83 Chapter 6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 = 85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자살상태 : 개관 = 86 협력적 자사사정과 관리의 자살 추적조사 양식이용법 = 89 요약 및 결론 = 95 Chapter 7 자살상태 결과 = 97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임상결과에 대한 개관 = 97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자살 추적결과 : 절차상의 고려사항 = 102 요약 및 결론 = 104 Chapter 8 의료과오 소송을 줄이는 수단으로서의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 = 107 의료과오 개관 = 107 상황예측의 중요성 = 109 치료계획 수립의 중요성 = 111 임상추적의 중요성 = 114 요약 및 결론 = 115 Chapter 9 미래 발전 = 117 임상환경에 따른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이용 = 117 미래 발전과 경험적 연구 = 121 요약 및 결론 = 126 부록 A 자살상태양식 Ⅲ = 129 부록 B 자살상태양식 리커르트 척도 코딩매뉴얼 = 139 부록 C 자살상태양식을 위한 코딩매뉴얼 = 155 부록 D 자살상태양식을 위한 코딩매뉴얼 = 165 부록 E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에 대한 빈번한 질문 = 173 부록 F 협력적 자살사정과 관리의 사례 예시 = 177 참고문헌 = 197 찾아보기 =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