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생태주의 시학의 교육적 적용 - 박두진 시를 중심으로
1장 서론 = 14
1. 연구의 목적 = 14
2. 연구사 = 21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6
2장 형식 구조적 특성 = 30
1. 율격의 활용과 평형감각 추구 = 32
1) 들여쓰기와 정형률의 변형 = 33
2) 자유시형의 산문시 = 39
3) 간절한 소리 aaba형과 aa'형 = 46
4) 고양과 절제의 3ㆍ4음보 = 52
2. 이미지의 유형과 조화의 추구 = 59
1) 은유적 이미지 = 59
2) 상징적 이미지 = 72
3) 정신적 이미지 = 82
3장 의미 구조적 전개 = 94
1. 자연의 신성성 구가와 인간애 = 96
1) 고독과 위무의식 = 97
2) 동경과 그리움 = 108
3) 영성과 심미의식 = 114
2. 구원의식과 낙원지향의 상징성 = 126
1) '빛'과 절대자의 표상 = 128
2) '청산'과 기독교적 에덴 = 134
3) '바다'와 구원의 통로 = 141
4) '무덤'과 부활의 모체 = 147
3. 민족애와 상생의 추구 = 154
1) 비상과 자유의지 = 155
2) 죽음과 속죄양 의식 = 162
3) 단애(斷厓)의 상황과 극복의지 = 172
4장 생태의식의 교육적 적용과 전략 = 182
1. 생태시 교육의 의의와 특성 = 183
1) 생태시 교육의 목표 = 184
2) 교육 현자에서의 생태시 교육 = 187
3) 생태시 교육상의 유의점 = 192
2.「해」를 텍스트로 한 생태시 학습과정과 전략 = 196
1) 텍스트의 분석과 이해 = 198
2) 토론학습의 중요성 = 233
3) 생태 비평관의 정립 = 240
4) 상호 텍스트성의 활용 = 244
3.〈학습지도안〉의 기본 모형 = 254
5장 결론 = 261
제2부 다운주의 시대와 시의 지평
1장 김동명과 김상용 시의 심상 대비 = 268
1. 서론 = 268
2. 심상 대비 = 270
1) '하늘'(모성과 이상적 공간 : 피아과 본향의식) = 270
2) '구름'과 '바람'(인간과의 조황ㆍ동일시 : 자유지향과 허무) = 270
3) '달'과 '별'(외로움과 동경성 : 희망과 위안) = 274
3. 결론 = 283
2장 신을 향한 본원적 감사 - 오완영『詩人의 肖像』론 = 285
1. 머리말 = 285
2. 신을 향한 본원적 감사 = 286
1) 빛 그리고 그림자 = 286
2) 신께 띄우는 엽서 = 290
3) 포도의 개연성(蓋然性)의 이미지 = 295
3. 맺음말 = 299
3장 윤동주 시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 301
1. 들어가며 = 301
2. 소리없는 저항과 반성 = 302
1) 식민적 상황 앞에서의 부끄러움 = 302
2) 식민지인으로서의 속죄양 의식 = 305
3) 탈식민주의를 향한 희망과 의식 = 308
3. 나오며 = 311
4장 현대시와 PC의 접속 = 313
1. PC 속으로 Enter = 313
2. 현대시와 PC의 접속 = 316
1) 사이보그, 나를 잃어버린 세대 = 316
2) 나는 클릭한다 고로 존재한다 = 324
3) 물건에서 생명이(?) = 329
3. PC 속에서 Esc = 333
5장『연인』과 오리엔탈리즘 = 335
1. 들어가며 = 335
2. 오리엔탈리즘으로 본『연인』 = 336
1) 열등한 동양인, 우월한 서양인 = 338
2) 식민, 피식민 간의 혼성성 = 343
3. 나오며 = 349
참고문헌 = 351
찾아보기 =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