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588camcc2200217 c 4500 | |
001 | 000045678682 | |
005 | 20111118092705 | |
007 | ta | |
008 | 111117s2011 ulk 000c kor | |
020 | ▼a 9788970596099 ▼g 13070 | |
035 | ▼a (KERIS)REW000000133009 | |
040 | ▼d 211009 | |
082 | 0 4 | ▼a 070.4023 ▼2 22 |
085 | ▼a 070.4023 ▼2 DDCK | |
090 | ▼a 070.4023 ▼b 2011 | |
100 | 1 | ▼a 최철, ▼d 1973- |
245 | 1 0 | ▼a 기자 수업 : ▼b 11년차 열혈기자의 기자생활백서 / ▼d 최철 글 |
260 | ▼a 서울 : ▼b 컬처그라퍼 : ▼b 안그라픽스, ▼c 2011 | |
300 | ▼a 383 p. ; ▼c 19 cm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70.4023 2011 | Accession No. 1116486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70.4023 2011 | Accession No. 1212147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70.4023 2011 | Accession No. 1513055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70.4023 2011 | Accession No. 11164861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70.4023 2011 | Accession No. 1212147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70.4023 2011 | Accession No. 1513055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현 CBS 정치부 기자 최철이 쓴 <기자 수업>은 11년차 현직 기자가 들려주는 가장 현실적인 기자생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간 대학 언론인반으로부터 특강 요청을 받을 때마다 예비 언론인을 위한 실용적인 매뉴얼의 필요성을 느껴 왔던 저자는 막연한 환상이 아닌 실제 대한민국의 언론 환경을 가감 없이 소개한다.
경찰팀, 법조팀, 정당팀, 통일외교팀, 라디오 편성국 등에서 산전수전을 모두 겪은 노련한 선배 기자가 예비 언론인을 꿈꾸는 이들이 준비해야 할 과정에서부터 이제 막 언론사에입사한 기자 초년생들이 진정한 기자로 거듭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기자생활의 모든 것을 유쾌한 어조로 들려준다.
<기자 수업>은 취재 요령과 기사 작성의 꼼꼼한 노하우 등 매뉴얼로서의 정보뿐만 아니라, 기자로서의 자기고백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 기자가 갖는 의미와 역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예비 언론인, 고군분투 하는 기자 초년생,
언론에 올바른 역할과 책임을 요구하는 모든 이들을 위한 필독서
현 CBS 정치부 기자 최철이 쓴 『기자 수업』은 11년차 현직 기자가 들려주는 가장 현실적인 기자생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간 대학 언론인반으로부터 특강 요청을 받을 때마다 예비 언론인을 위한 실용적인 매뉴얼의 필요성을 느껴 왔던 저자는 막연한 환상이 아닌 실제 대한민국의 언론 환경을 가감 없이 소개한다. 경찰팀, 법조팀, 정당팀, 통일외교팀, 라디오 편성국 등에서 산전수전을 모두 겪은 노련한 선배 기자가 예비 언론인을 꿈꾸는 이들이 준비해야 할 과정에서부터 이제 막 언론사에입사한 기자 초년생들이 진정한 기자로 거듭나기 위해 알아야 하는 기자생활의 모든 것을 유쾌한 어조로 들려준다. 『기자 수업』은 취재 요령과 기사 작성의 꼼꼼한 노하우 등 매뉴얼로서의 정보뿐만 아니라, 기자로서의 자기고백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 기자가 갖는 의미와 역할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기자, 그들은 누구인가?
기자는 국민의 ‘알 권리’를 대신해 현장 곳곳을 누비는 존재들이다. 민주주의 사회는 이런 기자들에게 결코 작지 않은 힘과 권리를 주었고, 그렇기에 사회 정의를 투명하게 밝히며 사회를 위해 책임 있는 일을 해야만 하는 것이 기자이다.
책임이 큰 만큼 기자가 되는 길은 ‘언론고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쉽지만은 않다. 어렵게 기자가 되었다고 해도 오히려 그때부터가 고생의 시작이다. 팩트와 특종과 마감에 목숨을 걸며, 하나의 팩트라도 더 찾아내기 위해 현장에서 밤을 새고, 시체 부검 현장과 쓰나미 취재를 위해 위험한 장소도 마다하지 않는 기자들에게 시간과 공간의 한계는 없다. 출입처에서 나오는 보도자료를 가지고 대충 기사 몇 줄 쓰는 것이 전부라면 분명 이보다 더 좋은 직업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기자들이 밥값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구악(舊惡)기자’라는 오명을 쓰게 된다. 기자가 분명하게 짚고 넘어 갔어야 할 내용을 기사의 ‘행간’이라는 묘연한 공간에 방치하고 외면한다면 그것은 책임의 방기이며, 기자가 책임을 방기하는 것은 범죄와 다름없다.
진정한 기자로 거듭나고, 기자에 대해 알아가는 진짜 수업
어렵게 언론고시를 통과한 수습기자가 대중의 답답함을 풀어 줄 변인으로, 사회를 바른 길로 인도하는 파수꾼으로서의 중책을 소화할 수 있는 진정한 기자가 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겪게 된다. 결국 이 모든 과정은 오랜 시간을 들여 직접 몸으로 부딪치며 체득하는 것이 정답이지만 현명한 길잡이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렇다면 예비 언론인들이 기자라는 직업에 대해 던지고 싶은 구체적인 질문들은 과연 무엇일까?
기자가 되고 싶은 예비 언론인이라면 우선 스터디 구성 방법, 실제 면접 요령 등 언론고시를 위한 팁과 실제 기자 채용과정에 대해 궁금할 것이고, 매일 선배 기자에게 깨지고 현장에서 좌충우돌하며 고군분투 하고 있을 초년생 기자들이라면 기사작성의 비법, 인터뷰 요령, 매력적인 기사 제목 뽑기 등 실전에서 응용이 가능한 매뉴얼과 신입들이 겪는 시행착오와 극복 방법에 관심이 갈 것이다. 또 어느 정도 노련해진 중견 기자들은 서로의 취재 노하우를 공유하고 싶을 것이다. 한편, 반대로 기자를 만나야 하는 기업의 홍보담당자나 공무원이라면 언론 취재에 응하는 요령 등이 알고 싶을 것이고, 한국 언론의 앞날을 걱정하는 일반인들이라면 하루에도 인터넷에 수없이 쏟아지는 선정적인 기사들을 바라보며 도대체 기자들은 뭐 하는 족속인지, “이따위 기사를 쓰면서 너도 기자냐?”라고 한마디 질책을 날리고 싶을 것이다.
『기자 수업』은 그 모든 질문에 대답할 준비가 되어 있다. 11년차 현직기자인 최철은 진지하고 과감하게, 때로는 위트 있게 독자들이 원하는 질문에 대답해 줄 것이다.
기사로 말하는 것 외에 기자가 부릴 수 있는 꼼수는 없다
『기자 수업』은 일차적으로 예비 언론인과 기자 초년생을 위한 조언과 질문에 대한 해답을 꼼꼼하게 담고 있지만 대한민국의 언론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해 궁금한 독자들이라면 반드시 일독해야 할 책이기도 하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기자와 언론에 대해 사람들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오해’를 '이해'로 만들어 기자라는 인간을 이해하고, 대한민국 언론의 현실을 쉽고 유쾌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싶은 바람을 이야기한다.
요즘 한창 인기를 얻고 있는 팟캐스트 프로그램 <나는 꼼수다>의 정봉주 전 민주당 의원이 보낸 추천사의 당부와 같이, 대중은 자신들이 듣고 싶어 하는 이야기에 열광하지만 진지한 정의에는 큰 감흥을 받지 않는다. 이 책은 차갑고 불편한 현실을 적나라하게 밝혀내면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대중과 소통하는 기자들을 위한, 그런 기자를 꿈꾸는 이들을 위한 유쾌한 기자생활백서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최철(지은이)
1973년 서울에서 태어나 배재고등학교를 졸업했고,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했다. 육군 병장으로 군복무를 마치고 2001년 봄 공채 23기로 CBS에 입사했다. 사회부 경찰팀, 법조팀과 정치부 정당팀, 통일외교팀, 편성국 등을 거쳐 현재 정당팀에서 야당반장을 맡고 있다. 삼짇날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와 봄을 알리듯 주위 사람들에게 ‘희망찬 뉴스’를 전할 수 있는 그런 기자가 되기를 매일같이 기도하고 있다. steelchoi@naver.com www.facebook.com/steelchoi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14 PROLOGUE : 들어가기 전 고민해 볼 만한 3가지 질문 '목에 칼이 들어와도' 기자가 될 것인가? : 처음부터 권력의 시녀가 되고픈 사람은 없다 = 17 도대체 왜 기자가 되려는 것인가? : 현장 기자의 중요성 : '송만기 사건'의 내막 = 21 '종편'에 대해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 30 종편으로 인한 우리 삶의 변화 우리 사회가 고민해야 할 문제 PART 1 그래, 기자에 도전해 보자 언론은 우리 신체의 핏줄과 같다 : 국민의 알 권리를 대신하여 = 37 언론사에 입사하기 왜 이리 어려울까? : 언론사에 들어가기는 運7運3 = 38 스터디를 빼놓고서 언론고시를 논하지 말라 = 41 스터디는 어떻게 진행될까 스터디에서 다루는 커리큘럼은? 스터디 구성에 앞서 확인해야 하는 것들 대학생 인턴기자부터 도전해보자 : 대학생 인턴기자의 활약 = 47 SPECIAL|방송저널리스트란 무엇인가? = 50 PART 2 나는 수습기자다 언론사의 수습기자 채용과정 : 실전에서는 당당하게 = 55 드디어 합격했다 : 1진과 수습 사이 = 58 기자수첩을 받다 = 62 인간적인 냄새가 풍기는 취재수첩 기자수첩 등을 모아 둬라 수습기자의 하루 : 수습기자의 일과 = 64 수습생활에서 지켜야 할 일 = 68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마라 수습기자의 보고 요령 누구도 피할 수 없다! 시체 부검 현장 = 70 박카스가 유일한 피로회복제는 아니다 = 74 경찰서에 박카스가 많은 이유 탁월한 피로회복제는 따로 있다 SPECIAL|언시생이 11년차 기자에게 묻는다 = 76 PART 3 기자, 그들은 누구인가? = 기자가 세상을 바꾼다 = 81 기자가 갖게 되는 권리와 역할 큰 힘 뒤에는 큰 책임이 뒤따른다 = 언론사 하루 스케줄 = 84 언론사의 시계는 멈추지 않는다 속도와 마감에 죽고 사는 기자들 "죽으면, 죽어. 나 지금 마감이야!" 팩트를 먹고 사는 사람들 = 91 확인하고 또 확인해야 하는 팩트 팩트에 충실한 표현의 중요성 취재원들이 모르는 기자의 특성 = 93 기자들 사이에서만 통용되는 언어들 = 105 기자는 명함 수집가 = 120 명함 활용과 에티켓 미리미리 명함을 정리해 두자 기자와 술, '놓떨카찡떼오' = 122 폭탄주, 집단 결속력, '빨리빨리'의 관계 검찰과 폭탄주 기자를 알아야 홍보도 하고 위기도 막는다 = 125 기업에게 위기란? 위기의 유형과 대처법 매스컴 오보에 대처하는 방법 : 언론 대응의 7계명 = 128 기자의 특권 = 132 타인의 삶 유유상종 개점휴업 사회적 대접과 폭넓은 기회 축구에 목숨 거는 기자들 : 목숨을 거는 진짜 이유 = 136 SPECIAL|특파원으로 특파되고 싶은가? = 138 PART 4 기사로 말하다 기사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기사의 가치 판단이란? : 가치 판단은 항상 대중의 입장에서 쉽고 객관적으로 = 145 기사의 종류 : 기사의 종류와 특성을 알아야 한다 = 149 기자들만 아는 기사작성 비법 = 154 쉬운 기사는 명확하다 출처는 기본, 반대편의 주장까지 담아내자 기사를 쓰기 전 알아두어야 할 몇 가지 어떤 기사를 어떻게 써야 할까? = 158 바라보는 시각에 따라 기사는 달라진다 실명보도 어디까지 가능한가 인터뷰에도 요령이 있을까? = 163 취재원을 알면 인터뷰가 쉬워진다 가상 인터뷰를 진행하자 듣고, 보고, 감지하라 외국인과의 인터뷰도 진행해 보자 언론 인터뷰에 응하는 6가지 요령 기자에게 특종이란 : 특종하면 밥을 먹지 않아도 배부르다 = 169 특종은 현장에서 나온다 : 물먹었다고 포기하지 말자 = 172 기사는 현장에서만 나오는 건 아니다 : 내가 알고 있던 사건, 우리가 모르던 사실 = 174 새로운 시도의 기사들 : 신차 시승기와 영화〈아바타〉3D 체험기 = 179 SPECIAL|기자에서 홍보맨으로 산다는 것 = 182 PART 5 대한민국은 경찰기자의 나와바리 경찰팀은 어떤 곳인가? = 187 경찰팀의 구성 경찰 조직을 이해하자 경찰서의 구성과 업무 경찰기자의 임무 = 192 새벽 마와리는 경찰기자의 운명 취재를 위해 반드시 들러야 할 곳들 철저한 도제 수업으로 기자의 감을 잡다 = 195 기자가 갖춰야 할 최고의 덕목 기사체 보고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일단 몸으로 부딪쳐야 배운다 경찰 조서 활용법 : 경찰 조서에 담긴 팩트의 맹점 = 198 취재원과의 관계 설정 : 불가근 불가원의 원칙 = 201 서울 시내 경찰서 각 라인의 특성 및 유의점 : 라인을 알면 취재가 쉬워진다 = 204 과학수사를 알아두자 = 208 현실보다 현실적인 드라마 속 혈흔수사 혈흔수사와 법과학 혈흔수사가 중요한 이유 해외 취재는 운명 아닌 숙명 = 212 취재 영역을 가리지 않는 경찰기자 취재만큼 중요한 건 안전한 취재 환경 SPECIAL|진실의 발견 : 경찰기자의 하루 = 214 PART 6 시대정신을 구현하는 법조기자 법조, 대한민국을 흔드는 손 = 217 정치권의 동향을 살펴라 성실함, 순발력, 법률 이해도는 필수 덕목 법조기자의 하루 = 222 법조기자의 일과 법조타운을 아시나요? 그들을 알아야 취재도 한다 = 224 대법원과 대검찰청 사법연수원 기수의 의미는? '동남북서'는 옛말, 요새는 '서남동북' 재경지검ㆍ지원ㆍ지법을 알면 취재가 쉽다 = 231 취재가 녹록지 않은 재경지검 특종의 보고 재경지법 영장계 검사, 판사와는 어떻게 사귀나 = 233 인적사항 파악이 중요하다 자연스럽게 만남을 늘려가자 애경사를 챙기자 그들이 사용하는 단어 '예컨대'와 '프로' 수사를 알아야 법조가 보인다 = 236 수사의 단계 영장을 왜 치나? 송치에서 기소까지 형사소송법을 숙지하자 : 아는 만큼 보이는 형사소송법 = 241 '떡값'은 과연 존재할까? = 247 떡값과 떡검의 유래 그렇다면 스폰서 검사는 아무나 갈 수 없는, 대검 중수부 특별조사실 = 250 들어가서 나가기가 힘든 곳 특별조사실을 거친 사람들 대검 수사기획관이 지은 '웃음의 의미' 기업 관계자들이 법조기자를 챙기는 이유 법조기자의 정보보고를 들여다보다 : 기사가 되는 '정보보고' = 253 SPECIAL|판사의 온정주의 : 유전무죄, 무전유죄 = 255 PART 7 시대정신을 구현하는 법조기자 기자생활의 3D 중 하나인 정당팀 = 259 정당기자의 필수 덕목은 끊임없는 관심 아무나 못하는 정당기자 국회 출입기자는 몇 명이나 될까? 정당기자의 하루 = 261 정당기자의 일과 야당 출입기자의 역할 국회의 역할 = 264 입법에 관한 일 재정에 관한 일 일반 국정에 관한 일 알아둬야 할 국회 용어들 라디오 시사프로그램 = 273 대박이냐 쪽박이냐 뉴스메이커를 섭외하는 방법 SNS가 가지고 온 변화 = 280 정치인은 SNS를 좋아해 SNS 덕분에 늘어난 일 언론사의 SNS 활용 가이드라인 정치인의 이면에는 보좌관이 있다 = 284 보좌관이 하는 일 직업으로서 보좌관의 매력 대학생 보좌관이 되어보자 선거를 치러야 시야가 넓어진다 = 286 정당기자의 묘미 마크맨의 임무 국회의사당의 비밀 = 289 '로텐다 홀' vs '민의의 광장' 국회의사당의 포토존은 어디일까? 의원회관 방 호수에 얽혀 있는 비밀들 국회의원이 된 언론인 = 292 국회의원과 기자의 관계 언론인 출신 국회의원 중 PD는 없다 언론인의 정계진출 과연 올바른가? 정치부 행정팀이란? = 295 정치부 행정팀 기자의 역할과 조건 대변인 선정기준 대변인 수칙 브리핑의 종류 정치인과 국민 사이에 위치한 언론의 역할 = 300 무신불립은 좌우명일 뿐 시민이 중심이 되는 매니페스토 운동 무신불립을 위한 언론 변화의 필요성 SPECIAL|19대 총선 분당乙 박근혜 vs 손학규 가상 시나리오 = 304 PART 8 인터넷 뉴스의 시대 방송, 신문, 인터넷 '정립(鼎立) 시대'도 지나가고 있다 = 309 인터넷 뉴스가 가져온 변화 신문과 방송을 뛰어넘은 인터넷 뉴스 통합뉴스룸이란? 인터넷 환경에 대비하는 새로운 실험 이제는 스몰토크(Small Talk)가 세상을 지배한다 = 314 점심 메뉴를 고민하는 스몰토크의 힘 매크로로 움직일 수 없는 마이크로 세상 네트워크 효과에 주목하라 인터넷 뉴스가 몰고 온 변화 = 317 누리꾼의 숨소리도 들을 수 있는 인터넷 뉴스 네이버〈뉴스캐스트〉란? 인터넷 뉴스가 가져온 소통의 문제 인터넷 뉴스에도 위기는 있다 = 322 신생 인터넷 언론사들로 인한 뉴스 질의 저하 인터넷 뉴스에 공생하는 선정적 광고 인터넷 이용자의 감소 인터넷 뉴스의 새로운 적수 등장 아예 인터넷 신문을 만들어버리자 = 325 인터넷 언론사의 주인이 되기 위해 필요한 서류 인터넷 언론사 폐해는 있다 인터넷 뉴스 제목 달기 = 327 '인분'을 포장해 준다고? 인터넷 뉴스의 제목이 갖춰야 할 요소 너도 기자냐? 기자들도 틀리기 쉬운 표현들 = 330 자주 틀리는 단어 쉽게 틀리는 표현 2011년 새로 생긴 표준어 표현들 인터넷 뉴스는 ○○○이다 = 335 인터넷 뉴스는 혁신이다 인터넷 뉴스는 역의제를 설정한다 인터넷 뉴스는 여론을 형성한다 인터넷 뉴스는 제보를 한다 인터넷 뉴스는 시공간을 뛰어넘는다 인터넷 뉴스는 신조어 공장이다 인터넷 뉴스는 유희다 인터넷 뉴스는 공짜다 인터넷 뉴스는 바이럴이다 인터넷 뉴스는 댓글을 몰고 다닌다 SPECIAL|CBS《노컷뉴스》는 이렇게 만들어졌다 = 358 PART 9 한국에서 기자로 살아가기 기자들의 '평균치' = 361 일선 기자와 데스크 보도국장이 되기란? 하루 평균 근무는 10.58시간 기자들의 연봉이 궁금하다 = 364 지역, 수습, 방송 기자들의 연봉은? 기자들의 연봉과 지출은 비례관계 기자가 말하는 기자 = 367 밥값은 하고 살아야지 기자들이 가장 듣고 싶어 하는 말 기자도 직업이다 하지만 고춧잎과 마늘종, 그리고 기자의 가치 SPECIAL|현실 속에서 느끼는 기자의 갭(gap) = 374 SPECIAL|기자란 어떤 존재인가? = 376 EPILOGUE : 기자라면 고민해 볼 만한 질문 한 분야에서 최소한 20년은 일해야 = 381 다시 태 :어나도 기자가 될 것인가? = 382 동시대 기자들의 집단 지성물 = 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