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Ⅰ 태아기형발생물질
1장 태아기형발생물질의 상담
1. 서론 = 3
2. 기형발생물질의 평가 = 5
3. 알려진 기형발생물질과 기형발생의 기전 = 6
4. 기형발생물질에 관한 임신부의 민감성 = 15
5. 태아기형발생물질의 상담 = 25
참고문헌 = 27
2장 임신중 약물 노출에 따른 임신결과 및 수유 중 노출 약물 부작용 평가
1. 연구의 배경 = 29
2. 연구의 목표 = 44
3. 연구방법 및 대상 = 45
4. 연구결과 = 47
5. 본연구의 임신중 수유중 결과와 문헌고찰을 포함한 데이터베이스 = 63
기형우려약물 = 385
6.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434
참고문헌 = 442
3장 임신 중 안전한 약물 사용
1. 서론 = 533
2. 임신 중 약물의 약동학적 변화 = 534
3. 임신 중 자주 나타나는 증상에 따른 약물치료 = 539
4. 임신 중 동반되는 만성질환의 약물치료 = 548
참고문헌 = 573
4장 방사선 및 초음파와 임신
1. 서론 = 575
2. 방사선의 종류 = 575
3. 방사선의 단위 = 576
4. 생물학적 영향 = 576
5. 임신과 진단적 방사선 = 583
6. 핵의학 = 586
7. 임신과 방사선 치료 = 589
8. 임신과 초음파 = 591
9. 임신 중인 의료진의 관리 = 592
10. 방사선 노출 후 임신중절여부의 문제 = 593
11. 상담에서의 실제 = 594
12. 결론 = 596
참고문헌 = 597
5장 임신과 고열(Hyperthermia)
1. 서론 = 599
2. 고열의 정의 = 601
3. 고열에 의한 기형발생을 유발하는 노출시기와 반응형태 = 601
4. 고열에 의한 기형발생을 유발하는 노출량과 반응형태 = 604
5. 모체-태아의 열교환(heat exchange) = 605
6. 고열에 의한 기형발생 기전 = 606
7. 열-충격 반응(Heat Shock Response) = 607
8. 고열과 다른 약물 또는 물질과의 상호작용 = 609
9. 고열의 발생요인 = 609
10. 고열이 human development에 미치는 영향 연구 = 610
11. 결론 = 614
참고문헌 = 615
6장 태아알코올증후군
1. 서론 = 623
2. 역사적 배경 = 624
3. 알코올의 약리작용 = 624
4. 알코올이 기형발생에 관여하는 기전 = 625
5. FASD와 연관된 유전인자 = 626
6. 역학 및 사회적 영향 = 626
7. 임상 양상 = 628
8. 진단 = 633
9. 한국마더리스크 프로그램을 통한 FASD 상담 및 앞으로의 과제 = 642
10. 부모와 의료진을 위한 FAS 웹 싸이트 = 643
참고문헌 = 644
7장 독성 중금속(Toxic metals)과 임신
1. 서론 = 647
2. 수은(Mercury, Hg) = 647
3. 납(lead, Pb) = 653
참고문헌 = 656
8장 임신과 한약
1. 서론 = 657
2. 자궁수축을 일으키는 약제 = 658
3. 유산을 일으키는 한약제 = 663
참고문헌 = 670
9장 면역독성 : 알레르기질환 태아기부터 시작되는가?
1. 서론 = 671
2. 아토피피부염의 진단과 중증도 평가 = 672
3. 아토피피부염의 감별진단 = 674
4. 발생인자 = 675
5. 유전 = 676
6. 병태생리학 = 676
7. 태내 면역환경 = 682
8. 아토피피부염의 발현 = 685
9. 예방 = 689
참고문헌 = 692
10장 예비 임신부 관리(Preconception care)
1. 서론 = 697
2. 계획임신과 엽산 = 699
3. 다른 국가의 계획 임신 모델 = 702
4. 계획임신에서의 기형발생 물질의 관리 = 705
5. 계획임신과 감염관리 = 711
6. 계획임신과 내과적 질환 = 715
7. 한국 마더리스크 프로그램과 계획임신 = 717
참고문헌 = 725
part Ⅱ 모유수유와 약물
1장 모유수유와 약물
1. 서론 = 735
2. 약물 노출에 따른 수유부가 느끼는 우려의 정도 = 737
3. 모유수유의 장점 = 738
4. 모유수유 시 약물의 안전성과 위험성 평가 = 742
5. 수유부에서 안전한 약물의 사용 = 748
6. 수유 중 기호품 사용 = 757
7. 모유 수유와 약물의 안전성 평가 = 759
참고문헌 = 7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