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678483 | |
005 | 20220531154853 | |
007 | ta | |
008 | 111116s2011 ulka 000c kor | |
020 | ▼a 9788955861365 ▼g 03180 | |
035 | ▼a (KERIS)REQ000021107308 | |
040 | ▼a 211062 ▼c 211062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150.1952 ▼2 22 |
085 | ▼a 150.1952 ▼2 DDCK | |
090 | ▼a 150.1952 ▼b 2011z1 | |
100 | 1 | ▼a 김태형, ▼g 金泰亨, ▼d 1965- ▼0 AUTH(211009)80262 |
245 | 1 0 | ▼a 왜 아직도 프로이트인가? : ▼b 정신분석학을 관통하는 5가지 이론 / ▼d 김태형 지음 |
260 | ▼a 서울 : ▼b 세창미디어, ▼c 2011 | |
300 | ▼a 355 p. : ▼b 삽화 ; ▼c 23 cm | |
600 | 1 0 | ▼a Freud, Sigmund, ▼d 1856-1939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2 2011z1 | 등록번호 1116470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150.1952 2011z1 | 등록번호 1212145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0.1952 2011z1 | 등록번호 11164704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150.1952 2011z1 | 등록번호 1212145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정신분석학을 관통하는 5가지 이론을 통해 프로이트의 학문적 업적을 한눈에 살펴본다. 그의 이론이 가지는 오류와 한계는 무엇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아직도 학계는 프로이트 담론을 끊임없이 곱씹고 있으며, 그의 선구적 이론의 업적을 기리는 것일까? 백여 년이 지난 지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어떠한 의미로 다가오는지 한권의 책으로 되새겨볼 수 있다.
후대의 많은 지적과 오류들로 너덜너덜해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하지만 우리는 왜 아직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주목하고 있는가.
정신분석학을 관통하는 5가지 이론을 살펴보며 프로이트의 학문적 업적을 한눈에 꿰어보자!
인간 안에 잠재해있는 무의식의 영역을 최초로 인식, 연구하여 사회학, 교육학, 인류학, 철학 등 수많은 학문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20세기 사상의 근저로부터의 전환을 가져 온 프로이트. 그의 이론은 ‘문명’을 개인의 무분별한 욕망을 억압하여 사회생활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 이해하고, 본능, 자아, 초자아의 구분을 통해 사회와 인간의 관계를 정립하고 있다. 하지만 막상 현 주류 심리학계과에서는 그의 이론을 비과학적인 이론이라 폄하하며 많은 오류들을 지적하고 있으며 옹호자들과 비판자들의 논쟁은 때로는 매우 격렬해 이를 ‘프로이트 전쟁‘이라고까지 부르고 있다.
그렇다면 그의 이론이 가지는 오류와 한계는 무엇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아직도 학계는 프로이트 담론을 끊임없이 곱씹고 있으며, 그의 선구적 이론의 업적을 기리는 것일까? 백여 년이 지난 지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어떠한 의미로 다가오는지 한권의 책으로 되새겨보자.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태형(지은이)
심리연구소 ‘함께’ 소장. 고려대학교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임상심리학을 공부했다. 주류 심리학에 대한 실망과 회의로 학계를 떠나 사회운동에 몰두하다 다시 심리학자의 길로 돌아왔다. 주류 심리학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한국 사회를 향한 꾸준하고 거침없는 발언으로 ‘싸우는 심리학자’라고 불린다. 기존 심리학의 긍정적인 면을 계승하는 한편 오류와 한계를 과감히 비판하고 ‘올바른 심리학’을 정립하기 위해 매진하고 있다. 2005년부터 활발한 연구, 집필, 교육, 강의 등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며 저서로는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가짜 행복 권하는 사회》, 《한국인의 마음속엔 우리가 있다》, 《싸우는 심리학》 등이 있다.
서유진(그림)
심리상담가. 미술심리치료사.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가족학을 공부했고, 명지대학교에서 미술심리치료 석사 후, 숙명여자대학교에서 박사과정으로 상담을 공부했다. 10여년 동안 임상현장에서 아동, 청소년, 성인, 부부, 가족을 대상으로 개별 및 집단상담을 하고 있다. 또한 대학 및 기관에서 부모교육과 상담 및 미술치료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심리학자 김태형의 이론적 작업을 지원하고, 그것에 대한 대중적 이해를 돕기 위해 삽화 작업을 맡아주었다.

목차
목차 들어가는 말 _ 왜 아직도 프로이트인가? = 7 프롤로그 : 정신분석학을 관통하는 5가지 이론 = 11 Chapter 1 심적 결정론 : 정신현상에 우연이란 없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랴? = 21 굴뚝에서 나는 연기의 원인 = 24 자유연상법이 타당한 까닭 = 28 심적 결정론에 대한 평가 = 30 Chapter 2 동기 이론 : 마음의 중심에 동기가 있다 정신분석학은 동기를 규명하는 학문 = 39 첫 번째 본능이론 : 배고픔과 사랑 = 42 쾌락 추구욕과 성욕은 다르다 = 45 아이들이 성도착자라고? = 48 사랑에 관한 치명적인 착각 : 성욕인가 사랑인가? = 54 프로이트, 19금의 색안경을 끼고 어린이를 보다 = 57 프로이트를 물 먹인 빈의 상류층 = 65 성욕설은 야만적인 서구문화 탓? = 70 성욕은 '승화'될 수 있는가? = 75 성욕만으로는 부족해 : PTSD, 반복강박 = 86 두 번째 본능 이론 : 사랑과 죽음 = 90 사람에게는 사회적 본능이 있다 = 98 동기에도 위아래가 있다 = 106 사회적 구조는 운명이다 = 111 Chapter 3 갈등 이론 : 개인역사는 동기투쟁의 역사이다 정신현상이란 대립적인 힘이 갈등한 결과 = 123 갈등하는 힘의 주체, 동기 = 127 심리적 에너지의 정체 = 133 감정의 양과 심적 외상 = 137 역동적 관점과 양가감정 = 140 '양'만 편애하고 '질'은 차별한 프로이트 = 146 감정이란 무엇인가? = 154 동기와 감정 그리고 사고 = 164 잘못된 전통의 충실한 계승자 = 178 〈이성 대 비이성〉이 아닌〈사람 대 동물〉 = 184 프로이트의 생물학적 본능이론 = 190 본능은 의식할 수 있는가 = 196 Chapter 4 정신 구조론 : 프로이트의 정신 삼국지 무의식의 발견 = 209 편의상 한번 나눠봤어 : 서술적 구분 = 210 의식과 무의식 : 지형적, 역동적, 경제적 관점 = 213 자동 행위 : 무의식적 정신과정 = 220 의식은 무슨 일을 하는가? = 224 의식과 작업의식 = 228 억압이론이 변질시킨 무의식 개념 = 232 사고방식의 차이로 의식과 무의식을 구별할 수 있는가 = 237 전의식은 왜 필요한가? = 246 태초에는 무의식만 있었다 = 250 기억은 사라지지 않는다 = 253 기계론과 정신구조론 = 261 허점투성이의 자아 심리학 = 264 초자아(das uber-lch) = 273 내면화된 부모와 사회 : 초자아 vs 양심 = 280 프로이트의〈정신 삼국지〉 = 285 이드에게 씌어진 악마라는 누명 = 290 무력하기 짝이 없는 자아 = 294 사람 안의 난쟁이들 = 302 Chapter 5 사회론 : 사회는 사람에게 적대적이다 사람은 타고난 쾌락주의자다 = 311 성악설의 신봉자, 프로이트 = 313 엘리트주의자, 프로이트 = 318 내 인생은 너무 고단했다 = 323 사람은 친사회적인 존재이다 = 329 사람은 악이고 사회는 선인가 = 335 서구 사회를 증오했던 프로이트 = 339 적응인가 개조인가 = 343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은 진보한다?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