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959camcc2200313 c 4500 | |
001 | 000045678370 | |
005 | 20111207101459 | |
007 | ta | |
008 | 100504s2010 ulk b 001c kor | |
020 | ▼a 9788963303673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2035499 | |
040 | ▼a 211023 ▼c 211023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6.8917 ▼2 22 |
085 | ▼a 616.8917 ▼2 DDCK | |
090 | ▼a 616.8917 ▼b 2010z1 | |
100 | 1 | ▼a Wallin, David J. ▼0 AUTH(211009)114553 |
245 | 1 0 | ▼a 애착과 심리치료 / ▼d David J. Wallin 저 ; ▼e 김진숙, ▼e 이지연, ▼e 윤숙경 공역 |
246 | 1 9 | ▼a Attachment in psychotherapy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0 ▼g (2011) | |
300 | ▼a 510 p.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p. 491-505)과 색인수록 | |
650 | 0 | ▼a Attachment behavior |
650 | 0 | ▼a Object relations (Psychoanalysis) |
650 | 0 | ▼a Psychotherapy |
700 | 1 | ▼a 김진숙, ▼e 역 ▼0 AUTH(211009)81071 |
700 | 1 | ▼a 이지연, ▼e 역 ▼0 AUTH(211009)129554 |
700 | 1 | ▼a 윤숙경, ▼e 역 ▼0 AUTH(211009)6596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917 2010z1 | Accession No. 11164977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917 2010z1 | Accession No. 11164977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6.8917 2010z1 | Accession No. 1212153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616.8917 2010z1 | Accession No. 1513038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917 2010z1 | Accession No. 11164977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6.8917 2010z1 | Accession No. 11164977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616.8917 2010z1 | Accession No. 1212153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616.8917 2010z1 | Accession No. 15130385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애착 이론을 통해 치료자들이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내담자의 애착 유형에 따라 치료자가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아울러 사례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더 나아가 유아기 경험의 많은 부분이 비언어적 영역에서 일어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치료과정에서도 언어적 차원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소통을 포착하고 치료적으로 다루는 방법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애착 이론을 최신 연구 분야인 신경생리학과 인지과학 그리고 불교심리학과도 접목시켜, 암묵적 기억과 성찰 및 마음챙김 등에 대한 지식이 어떻게 내담자 이해와 변화를 위한 개입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해 주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David J. Wallin(지은이)
Wallin 박사는 하버드 대학교 출신으로 캘리포니아 버클리에 있는 Wright 연구소에서 임상 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캘리포니아 Mill Valley와 Albany에서 심리치료자로 활동하고 있다. 지난 30여 년 동안 심리치료와 교육, 저술 활동을 해 오고 있으며 애착과 심리치료 분야에서 저명한 저술자이자 강연자다. 그는 미국 전역에 걸쳐 애착과 심리치료를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으며, Wright 연구소와 Northern California 정신분석 심리학 협회, 캘리포니아 대학 및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마음의 영역 지도 그리기: 열정과 부드러움 및 사랑할 수 있는 능력』(Stephen Goldbart 공저) 등이 있다.
김진숙(옮긴이)
경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웨스턴미시건대학교 상담심리학 전공(박사) (전) 한국청소년상담원 상담교수 (전) 웨스턴미시건대학교 상담센터 상담원
윤숙경(옮긴이)
연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상담심리 박사과정을 수료 했다.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상담원으로 재직했으며, 현재 인천대학교, 안양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외래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이지연(옮긴이)
계명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상담심리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 과에서 상담심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강대학교 상담교수를 지냈으며, 현재 인천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7 01. 애착과 변화 = 13 변화를 가져오는 관계 = 15 알고 있지만 생각해 보지 않은 것 = 16 경험에 대한 태도: 표상과 성찰 및 마음챙김 = 17 제1부 Bowlby와 그 이후 02. 애착 이론의 기초 = 27 John Bowlby: 근접과 보호 및 분리 = 28 Mary Ainsworth: 애착과 의사소통 및 '낯선 상황' = 33 03. Mary Main: 정신적 표상과 메타인지 및 성인 애착 면접 = 47 Bowlby와 내적 작동 모델 = 48 내적 작동 모델의 재개념화 = 50 애착 패턴의 세대 간 전이 = 64 메타인지: 생각하기에 대해 생각하기와 표상적 세계 표상하기 = 67 04. Fonagy와 그 이후 = 71 Peter Fonagy: 정신화와 경험의 방식 및 자기의 상호주관적 기원 = 71 경험의 양식 = 76 애착에서 상호주관성으로 = 83 제2부 애착 관계와 자기의 발달 05. 자기의 여러 차원 = 97 자기 경험의 영역 = 97 애착의 신경생리학 = 108 애착과 몸에 기반을 둔 마음과 마음이 깃든 몸 통합하기 = 122 06. 다양한 애착 경험 = 129 유아기와 그 이후의 애착 패턴 = 131 유의할 점과 용어 사용에 대한 부연 설명 = 147 07. 애착 관계가 어떻게 자기를 형성하는가 = 149 정서 조절과 애착 전략 = 151 관계에서 일어나는 과정과 발달과정에서 진정 바라는 것 = 157 공동의 창조와 통합 및 상호주관성 = 161 제3부 애착 이론에서 임상 실제로 08. 비언어적 경험과 '알고 있지만 생각해 보지 않은 것': 자기의 정서적 핵심에 접근하기 = 171 비언어적 경험에 초점을 둔 연구의 개요 = 172 비언어적인 언어 이해하기 = 177 알고 있지만 생각해 보지 않은 것이 실연되는 것에 대한 작업 = 183 알고 있지만 생각해 보지 않은 것이 불러일으켜 지는 상태에 대한 작업 = 189 알고 있지만 생각해 보지 않은 것이 치료 장면에서 구현되는 것에 대한 작업 = 194 09. 경험에 대한 자기의 태도: 매몰과 정신화 및 마음챙김 = 199 매몰 = 202 정신화 = 203 마음챙김 = 205 매몰에서 정신화로 = 207 심리치료에서 성찰적 자기의 강화와 통합의 촉진 = 215 성찰적 자기를 키우기: 치료과정의 예시 = 220 심리치료에서 마음챙김 = 237 10. 애착 이론의 임상적 차원 심화시키기: 상호주관성과 관계적 관점 = 249 한 사람 심리학을 넘어서 = 250 애착과 상호주관성: 수렴적이고 상호보완적인 이론 = 252 전통적 개념의 재고: 심리치료의 민주화와 치료자 역할의 인격화 = 258 치료적 개입방법에 대한 상호주관성 이론의 기여 = 267 상호주관적 관점이 애착 이론에 추가하는 것 = 278 제4부 심리치료에서의 애착 유형 11. 발달을 위한 도가니 만들기 = 285 심리치료에서 협력적 의사소통 촉진하기 = 285 환자가 심리치료에 잘 참여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기 = 297 분리와 중단 그리고 종결 = 300 애착에 관한 환자의 마음 상태 평가하기 = 304 12. 무시형 환자: 고립에서 친밀로 = 311 공감과 직면 = 313 치료적 상호작용과 무시형 환자 = 317 13. 집착형 환자: 자신의 마음을 위한 자리 만들기 = 329 무력함의 패턴 = 332 분노와 혼란의 패턴 = 344 14. 미해결형 환자: 정신적 외상과 상실의 상처 치유하기 = 355 안정에 대한 환자의 두려움 극복하기 = 358 해리와 투사적 동일시 및 역전이 = 362 안정에 대한 환자의 두려움 극복하기(계속) = 367 정신적 외상을 말로 표현하기 = 370 정신화와 마음챙김 = 373 제5부 임상적 초점 선명히 하기 15. 비언어적 영역 1: 불러일으켜 지고 실연된 측면 다루기 = 377 비언어적 의사소통 = 381 치료자 안에서 불러일으켜 진 반응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383 실연되는 것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 393 16. 비언어적 영역 2: 몸과 작업하기 = 423 몸에 주의 기울이기 = 425 탈신체화와 미해결형 환자 = 440 17. 정신화와 마음챙김: 심리적 해방의 이중 나선 = 445 '탈매몰' 과정으로서 정신화와 마음챙김 = 447 관계의 맥락에서 정신화와 마음챙김 발달시키기 = 450 이중 나선: 임상적 실례 = 452 마음챙김 길러 주기 = 476 정신화 촉진하기 = 481 정신화와 마음챙김 및 치료자의 기여 = 489 참고문헌 = 491 찾아보기 = 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