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교과교육에서의 창의성 교육 = 13
1. 창의성 교육의 모습 = 15
2. 창의성 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두 가지 문제 = 18
1) 교과교육과 창의성 교육의 통합 = 19
2) 교과교육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구성 요소 = 24
3. 창의성 교육을 위한 새로운 접근 = 40
제2장 도덕과 교육에서의 창의성 교육 = 49
1. 서론 = 51
2. 도덕교육에서 창의성 교육의 접근과 도덕적 창의성의 특징 = 54
1) 창의적 성격과 도덕적 창의성의 관계 = 56
2) 도덕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 = 61
3. 도덕적 창의성을 함양하기 위한 도덕교육 방법 = 65
1) 도덕적 창의성의 인지적 측면을 위한 방법 = 66
2) 도덕적 창의성의 정서적 측면을 위한 방법 = 69
3) 도덕적 창의성의 행동적 측면을 위한 방법 = 71
4.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 도덕적 창의성 함양의 실제 = 71
1)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 도덕적 창의성 함양의 방법 = 71
2) 도덕적 창의성의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실제 = 77
5. 결론 = 83
제3장 국어과 창의성 계발의 지도 방안 = 87
1. 서론 = 89
2. 창의성 계발 연구의 전제 = 90
1) 창의성과 언어 = 90
2) 국어교과와 창의성 계발의 방향 = 93
3) 국어과 문학 영역에서의 창의성 = 95
3. 창의성 계발의 지도 현황 = 98
1) 현행 교육과정의 관련 내용 = 98
2) 창의성 계발 연구물의 내용 = 102
3) 문학 영역에서의 창의적 수용과 창의적 표현 = 103
4. 창의성 계발을 위한 지도 = 109
1) 창의성 계발에서 독서와 작문의 관계 = 110
2) 창의적 작문 지도와 평가 = 113
3) 창의성 계발을 위한 작문 지도 = 118
4) 문학 영역에서의 창의적 표현 교육의 실제 = 125
5. 결론 = 128
제4장 사회과 창의성 교육의 이론과 실제 = 133
1. 서론 = 135
2. 사회과 창의성 교육의 연구 동향과 실태 = 136
1) 사회과 창의성 연구의 동향 = 136
2) 사회과 창의성 교육의 실태 = 138
3. 사회과 창의성의 개념과 의미 = 141
1) 사회과 창의성 개념의 설정: 사회적 문제해결력 = 141
2) 사회적 문제해결력의 의미와 특성 = 144
3) 사회적 문제해결력의 출발점: 사회적 문제 상황 = 148
4) 사회적 문제해결력의 절차 = 149
4. 사회과 창의성 수업 모형의 탐색: 문제해결 학습 모형 = 152
1) 문제 사태 단계 = 156
2) 가설 수립 단계 = 157
3) 정보 수집 단계 = 158
4) 해결 대안 제시 단계 = 159
5) 검증 단계 = 159
5. 사회과 창의성 교육에 적합한 내용과 자료의 개발 = 160
6. 사회과 창의성 모형의 적용 사례 = 165
7. 창의성 신장을 위한 사회과 교실 문화 = 168
8. 결론 = 170
제5장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의 이론과 실제 = 173
1. 서론 = 175
2. 수학적 창의성 = 178
1) 수학적 창의성의 정의 = 178
2) 고착과 융통성 = 180
3. 수학적 창의성 연구를 위한 접근 = 182
1) 신비주의적 접근 = 182
2) 실용주의적 접근 = 184
3) 심리 - 역동적 접근 = 185
4) 심리 - 측정적 접근 = 186
5) 인지적 접근 = 189
6) 사회 - 성격적 접근 = 190
4.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 = 191
1) 유창성 = 193
2) 융통성 = 194
3) 독창성 = 194
4) 정교성 = 194
5.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 197
1) 수학적 창의성에서 문제해결의 중요성 = 197
2)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 201
6. 수학적 사고력과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 = 204
1) 직관적 통찰 능력 = 204
2) 정보의 조직화 능력 = 205
3) 공간화ㆍ시각화 능력 = 206
4) 수학적 추상화 능력 = 207
5) 수학적 추론 능력 = 207
6) 일반화 및 적용 능력 = 208
7) 반성적 사고력 = 209
7. 수학적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교수-학습 자료 = 211
1) 개방형 과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프로그램 = 214
2) 학습 교구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프로그램 = 216
8. 학교 수학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 219
1) 수학교육에서의 '수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 = 219
2) 학교 수학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 222
9. 결론 = 225
제6장 창의성과 과학교육 = 235
1. 서론 = 237
2. 과학 창의성 = 238
1) 과학적 창의성의 의미와 구성 요소 = 238
2)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 245
3) 과학교육과 창의성 = 249
4) 창의성과 관련된 최근 과학교육의 연구 동향 = 252
3. 과학적 창의성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 256
1) 문제중심학습 = 258
2) 독자적 탐구 방법 = 260
3) 사이언스 노트북 = 264
4) 소집단 탐구 = 264
5) 과학교과에서의 과학적 창의성 교육의 실제 = 266
4. 결론 = 268
제7장 체육교과의 창의성 이론과 실제 = 275
1. 서론 = 277
2. 체육적 창의성의 배경 = 280
3. 체육교과의 창의성 교육의 실제 = 283
1) 체육교과의 창의성 개념 = 284
2) 교수-학습의 기본 방향 = 286
3) 교수-학습 방법 = 287
4) 평가 방법 = 289
4. 결론 = 293
제8장 음악과 창의성 계발의 이론과 실제 = 299
1. 서론 = 301
2. 음악적 창의성의 요소와 측정 = 303
3. 음악과 주요 교수법에서의 창의성 = 305
1) 코다이 교수법에서의 창의성 = 305
2) 오르프 접근법에서의 창의성 = 306
3) MMCP에서의 창의성 = 306
4.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사의 태도 = 307
5. 창의성 계발 교수법의 음악 수업에의 활용 = 309
1) 브레인스토밍 = 309
2) 스캠퍼 = 310
3) 형태 분석법 = 312
4) 마인드맵핑 = 313
5) 창의적 문제해결법 = 315
6. 음악적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수-학습 내용 구성 방법 = 318
1) 교수-학습 내용의 범주 = 318
2) 음악과 교육과정과 창의성 = 319
3)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방법 = 321
7. 결론 = 336
제9장 실과에서의 창의성 교육: 기술적 창의성을 중심으로 = 343
1. 서론 = 345
2. 기술적 창의성의 의미 = 346
3. 기술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 = 349
1) 기술적 창의성의 개념에서 강조하는 요소 = 350
2) 테크놀로지스트의 창조하기 과정에서 강조하는 요소 = 351
3) 발명을 위한 사고기법에서 강조하는 요소 = 352
4) 엔지니어의 창의적 산출 과정에서 강조하는 요소 = 354
4. 기술적 창의성의 측정과 평가 = 356
5. 기술적 창의성 교육의 실제 = 360
1) 기술적 문제 유형 중심의 접근 = 360
2) 기술적 문제해결 단계 중심의 접근 = 367
3) 창의적 문제해결 이론 중심의 접근 = 372
6. 결론 = 377
찾아보기 = 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