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왓슨 : 인간의 사고를 시작하다

왓슨 : 인간의 사고를 시작하다 (2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Baker, Stephen 이창희, 역
서명 / 저자사항
왓슨 : 인간의 사고를 시작하다 / 스티븐 베이커 지음; 이창희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세종서적,   2011  
형태사항
333 p. ; 23 cm
원표제
Final Jeopardy : man vs. machine and the quest to know everything
ISBN
9788984073555
일반주기
2011년 2월 16일 왓슨, 인간을 이기다!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26-327
일반주제명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omputer science) Semantic computing Artificial intelligence Database management Watson (Computer)
비통제주제어
인간 , 사고 , 컴퓨터 , 인공지능,,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678191
005 20170706151532
007 ta
008 110509s2011 ulk b 000c kor
020 ▼a 9788984073555 ▼g 03300
035 ▼a (KERIS)BIB000012406541
040 ▼a 211042 ▼c 211042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006.3 ▼2 22
085 ▼a 006.3 ▼2 DDCK
090 ▼a 006.3 ▼b 2011z3
100 1 ▼a Baker, Stephen ▼0 AUTH(211009)61776
245 1 0 ▼a 왓슨 : ▼b 인간의 사고를 시작하다 / ▼d 스티븐 베이커 지음; ▼e 이창희 옮김
246 1 9 ▼a Final Jeopardy : ▼b man vs. machine and the quest to know everything
260 ▼a 서울 : ▼b 세종서적, ▼c 2011
300 ▼a 333 p. ; ▼c 23 cm
500 ▼a 2011년 2월 16일 왓슨, 인간을 이기다!
504 ▼a 참고문헌: p. 326-327
650 0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omputer science)
650 0 ▼a Semantic computing
650 0 ▼a Artificial intelligence
650 0 ▼a Database management
650 0 ▼a Watson (Computer)
653 ▼a 인간 ▼a 사고 ▼a 컴퓨터 ▼a 인공지능
700 1 ▼a 이창희, ▼e
900 1 0 ▼a 베이커, 스티븐,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06.3 2011z3 등록번호 1117551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006.3 2011z3 등록번호 1513006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006.3 2011z3 등록번호 1117551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006.3 2011z3 등록번호 15130068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과학자의 영원한 꿈, 생각하는 컴퓨터 왓슨이 IBM 연구소에서 태어난 날로부터 <제퍼디> 무대에서 승리를 거둔 날까지 그 궤적을 담은 책이다.기존 슈퍼컴퓨터와 왓슨의 차이점은 왓슨이 인간의 소통 방식을 터득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과거에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호로 분해해주어야 했지만, 오늘날의 컴퓨터는 이렇게 해줄 필요가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몇 초 내로 답을 찾아내는 왓슨 같은 컴퓨터는 모든 분야에서 쓸모가 있다. 왓슨의 후예들은 콜센터에서 세금 문의에 답하고, 비행 스케줄을 조정해주며, 고장난 노트북의 증상을 설명하거나 우리에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방법을 알려줄 수 있다. 렌셀러 공과대학교의 컴퓨터 및 인지과학 전문가 제임스 핸들러 교수는 “인간이 잘 하는 부분과 왓슨의 유리한 점을 결합하면 어느 쪽이든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을 풀어낼 기반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낙관적인 전망 앞에서 우리는 궁금증이 생기기도 한다. 산업혁명기에 방직기가 직공을 대신했듯이 결국 슈퍼컴퓨터는 우리의 일자리를 꿰차고 우리를 길바닥으로 밀어내지는 않을 것인가? 컴퓨터가 이토록 똑똑해진다면, 우리는 머릿속에 무엇을 담고 다녀야 하는가? 그리고 어린이들에게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열쇠는 역설적으로 왓슨의 성장 과정에 담겨 있다. IBM에서 왓슨 프로젝트를 주도한 과학자 페루치는 언어를 해독하는 일이든, 추상적인 개념과 씨름하는 일이든 컴퓨터가 애를 먹는 분야는 인간이 우위를 유지하는 분야임을 지적한다. 그리고 책 속의 수많은 인공지능 전문가들이 지적하듯, 뇌의 모든 것을 파헤쳐 뇌 지도를 그릴 수 없는 한 컴퓨터가 인간처럼 사고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2011년 2월 16일 왓슨, 드디어 인간을 이기다!
이제 그는 인간의 조력자가 될 것인가,
인간의 지배자가 될 것인가?

과학자의 영원한 꿈, 생각하는 컴퓨터

수백 년에 걸쳐 인간은 인간처럼 생각하고 말할 수 있는 기계를 꿈꿔왔다. 그리고 과학은 이런 면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이루었다. 이제 컴퓨터는 암산과 체스 게임에서 승리하는 것을 넘어, 기억력과 이해력에 비상한 능력을 갖춘 만물박사들만이 출전하는 퀴즈 쇼에서도 인간들과 나란히 겨룰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 2011년 2월 16일, IBM의 컴퓨터 ‘왓슨’은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고 역사 깊은 퀴즈 쇼 <제퍼디(Jeopardy!)>에서 인간 챔피언들에게 승리했다.

왓슨, 인간의 말을 이해하다
『왓슨, 인간의 사고를 시작하다』는 왓슨이 IBM 연구소에서 태어난 날로부터 <제퍼디> 무대에서 승리를 거둔 날까지 그 궤적을 담은 책이다. 1997년 가리 카스파로프와의 체스 대결을 통해 슈퍼컴퓨터의 놀라운 능력을 보여준 바 있는 IBM은 새로운 세기를 맞이하여 뒤를 이을 대결로 <제퍼디>를 선택한다. <제퍼디>는 질문의 영역이 역사·문학·예술·대중문화·과학·스포츠·비즈니스를 망라할 뿐 아니라, 질문 자체가 다소 복잡하며 유머와 위트, 그리고 은유적인 표현이 포함되어 있어 인간 출연자조차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따라서 <제퍼디>에 출전한다는 것은 과학자들이 이제까지의 슈퍼컴퓨터와는 다른,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는 똑똑한 컴퓨터를 개발해야 함을 뜻한다.
IBM의 과학자들은 3년여에 걸친 훈련 끝에 왓슨이 말장난과 비꼬기 등을 비롯한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게 만들었으며, 각종 분야에 해박한 지식은 물론 게임 전략까지 통달하도록 했다. 왓슨은 ‘미국과 외교 관계가 없는 4개국 중 제일 북쪽에 있는 이것’의 정답이 ‘북한’이라는 사실을 알아낼 능력, 그리고 ‘<킬 빌>의 주연으로 11년간 뉴욕 양키스의 포수를 맡았던 사람’이라는 난센스 문제의 정답이 ‘우마 서먼 먼슨’이라는 것을 맞힐 능력을 갖추게 되었으며, 게임에 승리하기 위해 각 문제의 후보 답에 얼마만큼 신뢰도를 부여하여 돈을 어느 정도 걸어야 하는지, 또한 언제 버저를 눌러야 좋은지 결정하는 능력까지 갖추게 되었다.

왓슨이 보여주는 인공지능의 현주소
기존 슈퍼컴퓨터와 왓슨의 차이점은 왓슨이 인간의 소통 방식을 터득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과거에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호로 분해해주어야 했지만, 오늘날의 컴퓨터는 이렇게 해줄 필요가 없게 되었다는 것이다.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몇 초 내로 답을 찾아내는 왓슨 같은 컴퓨터는 모든 분야에서 쓸모가 있다. 왓슨의 후예들은 콜센터에서 세금 문의에 답하고, 비행 스케줄을 조정해주며, 고장난 노트북의 증상을 설명하거나 우리에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방법을 알려줄 수 있다.
상장 기업은 이메일에 의한 내부자 정보 유출에서부터 규제 당국이나 투자자에게 깜짝 실적이나 어떤 제품의 실패 보고를 적시에 알리는 일에 이르기까지, 어지러울 정도의 법률과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왓슨과 같은 기계는 이 모든 문제를 완전히 장악한 상태에서 어떤 법을 위반할 가능성을 지적함과 동시에 질문에 대한 답까지 내놓을 수 있다. 로펌에서는 모든 범죄와 소송, 상표권 등에 관한 판례를 빠짐없이 찾아냄으로써 사건의 해결을 도울 것이다. 또한 제아무리 성실한 의사라도 해낼 수 없는 의학적 지식을 축적하여, 수만 건에 이르는 의학논문을 한순간에 훑고 의사도 모르는 병명을 진단해내기도 할 것이다.
렌셀러 공과대학교의 컴퓨터 및 인지과학 전문가 제임스 핸들러 교수는 “인간이 잘 하는 부분과 왓슨의 유리한 점을 결합하면 어느 쪽이든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을 풀어낼 기반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사고하는 컴퓨터와 우리의 미래
그러나 이러한 낙관적인 전망 앞에서 우리는 궁금증이 생기기도 한다. 산업혁명기에 방직기가 직공을 대신했듯이 결국 슈퍼컴퓨터는 우리의 일자리를 꿰차고 우리를 길바닥으로 밀어내지는 않을 것인가? 컴퓨터가 이토록 똑똑해진다면, 우리는 머릿속에 무엇을 담고 다녀야 하는가? 그리고 어린이들에게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열쇠는 역설적으로 왓슨의 성장 과정에 담겨 있다. IBM에서 왓슨 프로젝트를 주도한 과학자 페루치는 언어를 해독하는 일이든, 추상적인 개념과 씨름하는 일이든 컴퓨터가 애를 먹는 분야는 인간이 우위를 유지하는 분야임을 지적한다. 그리고 책 속의 수많은 인공지능 전문가들이 지적하듯, 뇌의 모든 것을 파헤쳐 뇌 지도를 그릴 수 없는 한 컴퓨터가 인간처럼 사고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다.
컴퓨터는 분명 나날이 스마트해지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위대함은 방대한 자료를 순식간에 훑어서 정답을 도출해내는 능력이 아니라, 바로 그런 질문을 던지는 능력에 있다. 컴퓨터와 인터넷 없이 하루도 살 수 없게 된 지금, 우리는 우리가 이에 대해 무조건적인 믿음을 가지고 있지는 않은지, 우리가 나누는 정보나 의사소통이 얕고 가벼운 것들로 대체되고 있지는 않은지, 그래서 개념, 사상, 이론과 같은 사고하는 법을 잊고 있지는 않은지에 관해 질문을 던져야 한다.
저자는 말한다. “똑똑한 컴퓨터에게 한 가지 효용이 있다면 노래하기, 수영하기, 사랑에 빠지기 등 인간만이 할 수 있는 무수한 일을 마음껏 즐기도록 우리를 해방하는 것이다. 컴퓨터가 점점 똑똑해지면서 호모사피엔스라는 종에 속해 있다는 사실로 인해 인간은 새로운 기회를 얻을 것이다.” 이 말은 진실이다. 우리가 호모사피엔스, 즉 ‘지혜로운 사람’이라는 사실을 잊지 않는다면 말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스티븐 베이커(지은이)

지난 10년 동안 『비즈니스위크』지의 수석 테크놀로지 필자로 활약했다. 이 잡지를 위해 데이터 경제, 무선 테크놀로지의 성장, 클라우드 컴퓨팅 등을 취재하여 보도했다. 그의 첫 번째 논픽션 책인 『빅데이터로 세상을 지배하는 사람들』은 빅 데이터의 시대를 미리 예상한 것이다. 이어 IBM의 제퍼디 컴퓨터인 왓슨의 스토리를 다룬 『왓슨 : 인간의 사고를 시작하다』를 써냈다. 이 책에서 그는 인공 지능을 깊이 파고들면서 기계가 인간의 생각과 상호작용을 바꾸어 놓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그는 기자로서 활약하면서 뉴욕, 파리, 멕시코 시, 미-멕시코 국경 지대 등에서 근무했다. 그는 『비즈니스 위크』 외에도 「뉴욕타임스」, 「월 스트리트 저널」,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등에도 기고했다. 그는 위스콘신 대학을 졸업했고 컬럼비아 대학교 언론 대학원에서 과학 분야의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가족과 함께 뉴저지 주 몬트클레어에 산다.

이창희(옮긴이)

서울대학교 불문학과를 졸업한 후 파리 소르본 대학교 통역대학원에서 한-영-불 통역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18년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번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 『엔트로피』, 『21세기의 신과 과학 그리고 인간』, 『진화-시간의 강을 건너온 생명들』, 『지구의 삶과 죽음』, 『말리와 나』, 『단 하루만 더』, 『당신의 주인은 DNA가 아니다』, 『사이언스 이즈 컬처』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들어가기 = 9
1 컴퓨터, 인간과의 대결을 꿈꾸다 = 31
2 퀴즈 쇼의 인간 챔피언 = 59
3 왓슨의 탄생 = 85
4 컴퓨터를 가르치다 = 109
5 왓슨, 얼굴을 가지다 = 137
6 왓슨과 인간의 대결 = 161
7 인간의 뇌를 넘보는 컴퓨터 = 191 
8 인간과 기계 = 217
9 왓슨의 자리 = 241
10 한판 승부를 준비하다 = 267 
11 결전의 날 = 293
주 = 323 
참고 문헌 = 326
감사의 말 = 328
옮긴이의 말 = 331

관련분야 신착자료

Søraa, Roger Andre (2023)
Knecht, Volker (2023)
Migliaccio, Alessandro (2023)
Hurley, William W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