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75namcc2200217 c 4500 | |
001 | 000045676842 | |
005 | 20111110115435 | |
007 | ta | |
008 | 111109s2011 bnka b FC 000c kor | |
020 | ▼a 9788973163922 ▼g 0367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780.1 ▼2 22 |
085 | ▼a 780.1 ▼2 DDCK | |
090 | ▼a 780.1 ▼b 2011z1 | |
100 | 1 | ▼a 김정희 |
245 | 1 0 | ▼a 사회와 음악 / ▼d 김정희 저 |
260 | ▼a 부산 : ▼b 부산대학교 출판부, ▼c 2011 | |
300 | ▼a 315 p. : ▼b 삽화 ; ▼c 27 cm | |
504 | ▼a 참고문헌: p. 298-315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1 2011z1 | Accession No. 11164684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음악의 학문적 연구 분야를 개관하여 음악과 관련된 주변학문들에 대해 알아보고, 음악 구조를 통해 음악이 만들어지는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서양음악이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는지, 어떤 종류의 음악들이 있는지를 자세히 기록하여 음악일반의 기본적인 소양을 쌓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음악이 사회에서 어떤 기능적인 역할을 하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책은 음악의 학문적 연구 분야를 개관하여 음악과 관련된 주변학문들에 대해 알아보고, 음악 구조를 통해 음악이 만들어지는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서양음악이 어떻게 발생하게 되었는지, 어떤 종류의 음악들이 있는지를 자세히 기록하여 음악일반의 기본적인 소양을 쌓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음악이 사회에서 어떤 기능적인 역할을 하는지, 정치가 음악에 개입했을 떄 상호간에 어떤 문제와 어떤 이익이 발생하는지, 혁명에서 음악은 어떤 역할을 하며, 또 음악선율을 통해 어떻게 애국을 할 수 있는지, 음악분야에서 여성은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에 대한 내용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음악의 학문적 연구분야 = 7 Ⅰ. 체계적 음악학 = 10 제2장 음악구조의 이해 = 39 Ⅰ. 리듬 = 40 Ⅱ. 선율 = 45 Ⅲ. 화성 = 53 Ⅳ. 형식 = 57 Ⅴ. 음색 = 68 제3장 음악의 유형들 = 75 Ⅰ. 기독교음악 = 76 Ⅱ. 세속음악 = 89 Ⅲ. 20세기 음악 = 129 Ⅳ. 대중음악(popular music) = 143 제4장 음악의 사회적 기능 = 155 Ⅰ. 메리암의 음악의 사회적 기능 = 157 Ⅱ. 캐플란의 음악의 사회적 기능 = 161 Ⅲ. 개스턴의 음악의 사회적 기능 = 163 제5장 음악과 혁명 = 167 Ⅰ. 프랑스혁명과 음악 = 170 Ⅱ. 러시아혁명과 음악 = 196 Ⅲ. 중국의 혁명음악 = 212 제6장 정치와 음악 = 223 Ⅰ. 음악 통제와 금지 = 226 Ⅱ. 음악예술과 검열 = 236 Ⅲ. 북한의 주체사상과 음악 = 249 제7장 국민주의 및 민족주의 음악 = 259 Ⅰ. 러시아의 국민주의 = 262 Ⅱ. 체코의 국민주의 = 267 Ⅲ. 핀란드 : 얀 시벨리우스(Jean Siblius 1865∼1957) = 270 Ⅳ. 영국 = 272 Ⅴ. 스페인 : 마누엘 데 파야(Manuel de Falla 1876∼1946) = 275 Ⅵ. 노르웨이 : 에드워드 그리그(Edward Grieg. 1843∼1907) = 276 제8장 음악과 여성 = 277 Ⅰ. 악기와 성 = 279 Ⅱ. 음악으로 표현되는 성 = 283 Ⅲ. 여성의 음악교육과 음악활동 = 288 참고문헌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