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내가 아파보기 전에는) 절대 몰랐던 것들 : 인생의 크고 작은 상처에 대처하는 법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Salcher, Andreas 장혜경, 역
Title Statement
(내가 아파보기 전에는) 절대 몰랐던 것들 : 인생의 크고 작은 상처에 대처하는 법 / 안드레아스 잘허 지음 ; 장혜경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살림,   2011  
Physical Medium
272 p. ; 22 cm
Varied Title
(Der) verletzte Mensch
ISBN
9788952216311
비통제주제어
인생 , 상처 , 아픈상처 ,,
000 00808camcc2200265 c 4500
001 000045676527
005 20111220090351
007 ta
008 110831s2011 ggk 000c kor
020 ▼a 9788952216311 ▼g 13320
035 ▼a (KERIS)BIB000012526913
040 ▼a 241027 ▼c 241027 ▼d 244002
041 1 ▼a kor ▼h ger
082 0 4 ▼a 152.4 ▼2 22
085 ▼a 152.4 ▼2 DDCK
090 ▼a 152.4 ▼b 2011z6
100 1 ▼a Salcher, Andreas ▼0 AUTH(211009)29156
245 2 0 ▼a (내가 아파보기 전에는) 절대 몰랐던 것들 : ▼b 인생의 크고 작은 상처에 대처하는 법 / ▼d 안드레아스 잘허 지음 ; ▼e 장혜경 옮김
246 1 9 ▼a (Der) verletzte Mensch
260 ▼a 파주 : ▼b 살림, ▼c 2011
300 ▼a 272 p. ; ▼c 22 cm
653 ▼a 인생 ▼a 상처 ▼a 아픈상처
700 1 ▼a 장혜경, ▼e▼0 AUTH(211009)94000
900 1 0 ▼a 잘허, 안드레아스, ▼e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2.4 2011z6 Accession No. 11165888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152.4 2011z6 Accession No. 15130315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2.4 2011z6 Accession No. 11165888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152.4 2011z6 Accession No. 15130315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누구에게나 잊히지 않는 상처가 있다. 때로는 인생이 주먹을 휘두르는 것처럼 느껴질 정도로, 우리의 삶은 상처로 점철되어 있다. 이 책은 지금 이 시간에도 우리를 아프게 하는 상처에 제대로 대처하고 우리의 내면을 돌보는 법을 일러준다. 역사 속의 수많은 인물들과 저자가 인터뷰한 많은 사람들, 그리고 저자에게 온 수만 통의 이메일에서 엄선한 사례들과 심리학의 연구 결과를 엮어, 자신의 상처에 용기 있게 대면하고, 상처를 성장의 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들려준다.

가장 상처받고 여린 마음이 어떻게 아픔을 극복하고 성장할 수 있는가? 가장 큰 상처가 어떻게 성장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가? 어떻게 내게 상처 준 세상과 나 자신을 용서할 것인가? 자신과 타인에게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은 무엇인가? 이 책은 영혼의 고통을 간직한 우리들에게 상처의 강을 건너는 지혜를 들려주고 있다.


지난 2008년, 에이브러햄 빅스란 19세 젊은이의 죽음이 전 세계에 보도되었다. 평소 조울증을 앓던 빅스는 자살을 예고하는 글을 웹에 올린 뒤 약물을 투여하고 죽음에 이르기까지 12시간 동안 자신이 죽어가는 과정을 온라인으로 중계했다. 빅스는 자신의 휴대전화 번호를 공개했고 이 영상을 본 사람이 수천 명은 되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아무도 그 젊은이의 죽음을 막지 않았다. 그에게 돌아온 건 자살 실행을 재촉하는 시니컬한 댓글들뿐이었다(49-50쪽). 대체 우리는 지금 어떤 세상에서 살고 있는 것일까?

누구에게나 잊히지 않는 상처가 있다
타인에게 죽음에 이를 정도의 모욕과 상처를 주는 일은 익명의 인터넷 공간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상처를 주고, 또 받은 상처를 되돌려주는 것은 일상에서 만연해 있다. 따뜻한 어머니의 자궁을 떠나 세상에 내동댕이쳐진 날부터 죽음을 맞는 순간까지, 인생은 셀 수 없이 많은 모욕과 상처로 점철된다. 어린 시절부터 감당해야 하는 부모의 무관심과 폭력, 학교에서 교사와 친구들에게 받은 모욕과 따돌림, 애인 또는 배우자의 배신, 직장에서 상사와 동료가 날리는 무심한 말 한마디와 무시하는 태도가 우리의 영혼에 깊은 상처를 입힌다. 험난한 생을 헤쳐 나가 존경을 받아 마땅한 노인이 되어도 쓸모없는 사람 취급당하기가 일쑤다. 때로는 인생 자체가 주먹을 휘두르고 있는 것만 같다. 그리고 이렇게 입은 상처는 시간이 지난다고 사라지거나 쉬 잊히지 않는다. 그리고 다음에서 보듯 사소한 상처가 더 크고 무서운 상처로 이어지기도 한다.
1804년 당시 미합중국의 부통령이던 아론 버와 전직 재무부 장관 알렉산더 해밀턴은 서로에게 총을 쏘았다. 미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이 결투에서 해밀턴은 총상을 입어 사망했고, 버는 부통령 자리에서 쫓겨나 도망쳐야만 했다. 결투의 원인은 어처구니없다. 별로 유명하지도 않은 신문 「알바니 레기스터」에 실렸던 제3자의 편지 한 구절 때문이었다. “해밀턴이 미스터 버에 대해 늘어놓았던 언사보다 더 경멸적인 언사를 당신에게 해 댈 수도 있습니다.” 바로 이 ‘경멸적인’이라는 표현 때문에 두 사람의 인생이 파국으로 치달았던 것이다(79-80쪽).

일상의 크고 작은 상처에 대처하는 법
문제는 상처받았을 때, 우리가 이에 대처하는 방법을 잘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성인이 되도록 우리는 상처받았을 때 감정을 어떻게 다스려야 할지, 상처 준 사람에게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제대로 배워본 일이 없다. 자신이 받은 상처를 누군가에게 털어놓으면 상대는 듣기 부담스러워하고, 상처를 고백하는 사람은 유약한 사람으로, 뭔가 문제가 있는 사람으로 여겨지기 쉽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이 받은 상처를 부정하려 하거나, 누구와도 공유하지 못하고 혼자서 끙끙 앓는다. 심리치료나 정신과 상담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아직 낮은 우리나라의 경우, 그 정도는 더 심할 것이다. 과거에 받은 상처를 처리하는 데도, 앞으로 받게 될 상처에 대한 면역 체계를 갖추는 데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취약하기 이를 데 없다.
『내가 아파 보기 전에는 절대 몰랐던 것들』은 바로 우리가 부정하거나 쉬쉬하느라 바빴던 상처에 제대로 대처하고 우리의 내면을 돌보는 법을 일러준다. 공감 가는 수많은 사례들을 들어, 우리가 일상에서 어떤 상처를 받고 있는지, 그리고 그 상처가 적절히 다루어지지 않을 경우 얼마나 파괴적인 결과를 낳게 되는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상처에 제대로 대처하고 이를 넘어서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왜 어떤 사람은 상처에 넘어지고, 또 다른 사람은 상처를 넘어서는가?
별것 아닌 작은 상처에도 쉽게 무너지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상상하기도 힘든 고통도 무난히 이겨 내는 사람이 있다. 그 차이는 무엇 때문일까? 자신의 상처에 어느 정도의 의미를 부여하는가가 결정적 기준이다. 상처에 함몰되어 자신과 상처를 동일시하는 대신, 그 상처를 인생의 가치 있는 한 국면으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때 상처를 넘어설 가능성이 열리는 것이다. 물론 이때 우리는 우리에게 조언을 들려줄 수 있는 인물과 자신과 타인에 대한 책임감, 그리고 적절한 공동체가 있을 때 커다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이렇듯 이 책은 상처의 아픔과 분노를 다스리는 방법뿐 아니라, 어떻게 상처의 에너지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놀라운 성장의 계기로 삼을 수 있는지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저자는 그에게 답지한 4만 통의 이메일과, 자신이 만나고 연구한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들에서 엄선한 사례들에 회복탄력성 및 감성지능에 대한 연구, 긍정심리학의 최신 연구 결과를 엮어 이것이 가능함을 설득한다. 특히 역사 속에서 뚜렷한 성취를 이룬 인물들의 잘 알려지지 않은 에피소드들이 읽는 재미를 더한다. 예를 들어 독일의 문호 헤르만 헤세는 부모에 의해 ‘정신지체아 및 간질환자 요양시설’에 갇히기도 했다. 당시 열다섯 살이던 헤르만 헤세는 자신을 정신병원에 집어넣은 아버지에게 이런 편지를 보내 꺾이지 않는 의지를 밝혔다. “제가 태엽만 감으면 되는 기계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 마지막 남은 힘을 다 쏟아부을 것입니다. 그들은 절 억지로 기차에 앉혔고 슈테텐으로 데려왔지요. 그래서 지금 전 이곳에 있고 결코 세상을 귀찮게 하지 않습니다. 슈테텐은 세상 밖에 있으니까요. 하지만 이 4개의 벽 안에선 제가 제 주인이기에 절대 복종하지 않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것입니다…….”(45쪽) 게다가 그는 수도원 학교에서 보낸 학창시절에 대해서도 “여기서 나의 첫 꿈이 좌절당했다. 쉽게 아물지 않았던 그 상처로 인해 나는 한참을 아팠다.”고 고백하니, 헤르만 헤세처럼 다소 반항적이면서 강압적인 교육에 상처받은 사람들이라면 공감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가장 상처받고 여린 마음이 어떻게 고난을 극복하고 성장할 수 있는가? 가장 큰 아픔이 어떻게 성장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가? 어떻게 내게 상처 준 세상과 나 자신을 용서할 것인가? 이 책은 상처 많은 세상을 사는 우리들에게 상처의 강을 건너는 지혜를 들려주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안드레아스 잘허(지은이)

고대의 지혜와 첨단 경영이론을 접목한 컨설팅으로 미국과 유럽의 기업 및 정치인들에게 명망 높은 경영 컨설턴트이자 상담가, 교육운동가. 1960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나 1986년 빈 대학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하버드 대학 최고 경영자 과정을 마쳤다. 최연소 의원으로 선출된 1987년 이후 12년간 빈 의회 의원을 역임하는 등, 오랜 시간을 정치계의 제일선에서 보냈다. 철학자 카를 포퍼와 함께 오스트리아 최초의 영재 학교인 카를 포퍼 학교를 설립했고, 아이의 재능을 파괴하는 학교 교육 시스템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교육 운동에 투신하기도 했다. 교육 개혁 메시지를 담은 『영재 공화국』은 오스트리아 사회에 강한 충격을 안겨 주며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이 책으로 그는 2009년 오스트리아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했다. 2004년에는 이상적인 사회를 만들기 위해 이 시대 최고 지성과 지도자들이 의견을 나누는 발트젤 회의를 창설하여 달라이 라마를 비롯한 노벨상 수상자들과 파울로 코엘료, 저명한 건축가 프랭크 게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사람들과 뜻을 함께했고, 이 과정에서 인간의 삶이 어떤 방식으로 변화할 수 있는지를 깨달았다. 무엇보다도 그가 다양한 분야의 무수한 사람을 만나고 수만 통의 이메일을 읽으면서 발견한 것은 누구나 깊은 영혼의 상처를 지니고 있으며, 그 상처가 사람들의 인생행로를 바꾸어 놓았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사람마다 상처를 바라보고 대처하는 방법에 따라 작은 상처에 인생이 무너지기도, 상상하기 힘든 고통을 무난히 이겨 내기도 했다. 가장 상처받고 여린 마음이 어떻게 고난을 극복하고 성장할 수 있는가? 가장 큰 아픔이 어떻게 성장의 원동력이 될 수 있는가? 저자는 상처의 강을 건너는 지혜를 풍부한 사례와 함께 이 책에서 들려주고 있다.

장혜경(옮긴이)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했으며,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독일 학술교류처 장학생으로 하노버에서 공부했다. 현재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나는 왜 무기력을 되풀이 하는가》, 《우리는 여전히 삶을 사랑하는가》, 《설득의 법칙 》, 《가까운 사람이 경계성 성격 장애일 때》, 《오노 요코》,《처음 읽는 여성 세계사》, 《나는 이제 참지 않고 말하기로 했다》, 《변신》, 《사물의 심리학》, 《나무 수업》, 《우리는 어떻게 괴물이 되어가는가》 등 많은 도서를 우리말로 옮겼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6
Part One 무엇이 우리에게 상처를 주는가?
 1. 상처는 어디에나 있다 = 15
 2. 어린 시절의 상처는 우리 인생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 37
 3. 학교에서 나의 첫 꿈이 좌절당했다 = 55
 4. 배신과 모욕은 왜 용서하기 어려운 걸까? = 72
 5. 암사자와 늑대의 싸움은 오늘도 계속된다 = 92
 6. 노인들이 배제당하고 있다 = 113
 7. 자기계발과 여행도 답은 아니다 = 131
Part Two 어떻게 상처를 다룰 것인가?
 8. 가장 쓰라린 상처에 가장 커다란 재능이 숨어 있다 = 147
 9. 상처 속에 숨겨진 재능을 여는 열쇠 = 164
 10. 날아오를 것인가 추락할 것인가 = 175
 11. 손에 쥔 패가 나빠도 이길 수 있다 = 189
Part Three 나와 남에게 상처 주지 않는 기술
 12. 마음의 학교로 가자 = 209
 13. 몰입할 때 기쁨과 의미가 따라온다 = 227
 14. 한 몽상가의 용기가 어떻게 사람들을 변화시켰는가 = 240
감사의 말 = 26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용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