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676396 | |
005 | 20170822185311 | |
007 | ta | |
008 | 101018s2010 ulkag 001c kor | |
020 | ▼a 9788959163182 ▼g 93670 | |
035 | ▼a (KERIS)BIB000012183068 | |
040 | ▼a 211042 ▼c 211042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781.1 ▼2 22 |
085 | ▼a 781.1 ▼2 DDCK | |
090 | ▼a 781.1 ▼b 2010z2 | |
100 | 1 | ▼a 김유희 |
245 | 1 0 | ▼a 음악기초이론의 이해 : ▼b 기보에서 화성까지 / ▼d 김유희 지음 |
246 | 1 1 | ▼a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s of music |
260 | ▼a 서울 : ▼b 예솔, ▼c 2010 ▼g (2017 7쇄) | |
300 | ▼a 773 p. : ▼b 삽화, 악보 ; ▼c 27 cm | |
500 | ▼a 부록: 서양음악사 개요, 계명창의 유래, 이태리어 발음 외 | |
500 | ▼a 색인수록 | |
653 | ▼a 음악 ▼a 음악이론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781.1 2010z2 | Accession No. 121241264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1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1.1 2010z2 | Accession No. 1512964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781.1 2010z2 | Accession No. 121241264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01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1.1 2010z2 | Accession No. 1512964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음악기초이론의 기본부터 완성까지, 우리 주변에 들리는 (조성)음악의 이론적 부분을 일반화하여 설명함으로써 음악이라는 새로운 언어를 배우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기본적인 음악성을 기를 수 있도록 음악기초이론의 배경을 완벽히 소개한다.
저자는 클래식 레퍼토리 외에도 우리 주변의 동요나 가곡 혹은 재즈나 포크송, 광고 음악, 민요 등 쉬운 전달에 필요한 다양한 장르의 익숙한 곡들을 음악 예제로 삼아 이론을 이해하여 체화하는데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방대한 지면에 다향한 그림과 도표, 악보 등등 작은 것 단 하나라도 생략하지 않고 자세하고 쉽게 설명하며 원리를 풀어냈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 외래어로 되어 있는 음악 용어의 설명이나 이해를 돕기 위해 원어를 함께 표기했다.
음악기초이론의 기본부터 완성까지
이 책은 우리 주변에 들리는 (조성)음악의 이론적 부분을 일반화하여 설명함으로써 음악이라는 새로운 언어를 배우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기본적인 음악성을 기를 수 있도록 음악기초이론의 배경을 완벽히 소개한다.
일반적으로 기초이론이라 하면 “간추린 이론”으로 해석되어 공식화된 포뮬라(formular)를 기대하지만, 무슨 학문이건 간에 이론은 간추려지거나 이론 차체를 쉽게 할 수는 없다. 다만 그 이론의 기초를 다질 수 있는 개념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쉽게 전달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저자는 클래식 레퍼토리 외에도 우리 주변의 동요나 가곡 혹은 재즈나 포크송, 광고 음악, 민요 등 쉬운 전달에 필요한 다양한 장르의 익숙한 곡들을 음악 예제로 삼아 이론을 이해하여 체화하는데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내용적으로는 기보에 필요한 음표, 박자, 음계, 조표 등이 중심이 되는 기초편과 3화음의 발달 과정 및 근본 개념의 실제적 사용을 다룬 화성편으로 나누어져 있다. 특히 화성편은 음악 기초 이론의 완성편으로, 다음 단계인 고급화성학의 4성부 코랄스타일(SATB)을 공부하기 위해 반드시 습득해야 하는 준비 단계를 다룬 부분이다.
따라서 이 책은 다양한 목적을 갖고 음악 공부를 하는 다양한 음악학도들에게 음악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론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실질적인 지침서가 될 것이며, 이 책 한권으로만 제대로 공부한다면 마침내 음악이론을 마스터할 수 있을 것이다.
◎ 매우 친절하고 자세한 설명
지금까지 나온 음악이론 및 통론 관련 서적 중에 이 책만큼 크고 두꺼운 책은 없었다. 보통 주요 개념들만 간단하고 명료하게 담아내어 음악을 처음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이해가 충분히 가지 않는 부분들이 분명히 있었다. 이 책은 방대한 지면에 다향한 그림과 도표, 악보 등등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이용하여 작은 것 단 하나라도 생략하지 않고 자세하고 쉽게 설명하며 원리를 풀어낸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 외래어로 되어 있는 음악 용어의 설명이나 이해를 돕기 위해 원어를 함께 표기한다.
◎ 음원 제공
“소리”의 학문인 음악을, 습득된 이론에만 멈추지 않도록 소리로 확인하고, 연습을 통하여 재현할 수 있도록 예제를 모두 음원(audio resource)으로 제공하였다. 책 내지에 기재된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음원을 다운로드하거나 직접 들을 수 있다.
◎ 다양한 연습문제와 실습문제 수록
새로운 이론적 개념이 제시될 때마다 설명한 것을 완벽하게 이해했는지 확인하고 체크할 수 있도록 각 장마다 다양한 유형의 연습문제들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독자들이 단순히 악보를 읽고 배우는 단계에만 그치지 않고, 실제로 소리를 내고(시창), 받아 적고(청음), 연주하고, 더 나아가 작곡이나 편곡, 비평까지도 시도해 볼 수 있는 실습문제를 포함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유희(지은이)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일본 동경대학교 대학원 문학부 미학과에서 음악미학을 전공하였으며, 미국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s Angeles (CSULA)와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UCLA)에서 작곡과 이론으로 각각 석사 학위(MA) 및 박사 학위(Ph.D.)를 취득하였다. CSULA 재학 당시 음악대학 작곡/이론 분야 우수상(Award for Excellence in Theory/Composition)을 수상하였고 UCLA에서는 Music Theory 수업 조교(TA)로 학부수업을 강의하였으며, 박사논문 “A Postmodern Concept of Time in Western and Eastern Contemporary Music”으로 UC계열 졸업논문상(UC Dissertation Award)을 수상하였다. 2001년 귀국 이후 현재 연세대학교에서 음악의 기초이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이 강의는 전국 대학신문 “대학 내일”에 학생들이 뽑은 명강의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그 외 서울음악제, UCLA Philharmonia Orchestra, Korean Philharmonic Orchestra, 수원시립 교향악단, 안양시립합창단, 화음 project 및 Debussy Trio(USA), Oxford String Quartet(USA), Next Mushroom Promotion(Japan) 등 국내외 연주 단체를 통해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작품] -orchestra 곡- Puk-Sori(북소리) for Orchestra 비문(碑文: Epitaphium) for Orchestra -실내악 곡- Nach Bart?k: Three Pieces for String Quartet Three Scenes from the Seashore flute, viola, harp Three Images from the Mystic Place (황룡사터에서) flute and harp A Distant River (Piano Trio) Rothko Myth : Trio for Clarinet, Cello, and Piano [주요 논문] “An Analysis of Lutosławski's Venetian Games: With an Emphasis on His Aleatory Technique.” Words About Music (summer/Fall, 1999) 22-28쪽 “Three Case Study for Eastern Contemporary Music.“ 연세음악연구 (제10집: 1-24쪽) “An Analysis of Lutosławski's Venetian Games: With an Emphasis on His Aleatory Technique” 연세음악연구 (제11집: 23-36쪽) “Emancipation of Time(시간의 해방)”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주최 “현대음악과와의 만남”(강연)

Table of Contents
목차 이 책에 대하여 = 4 Ⅰ. 기초편 제1장 음악의 이해 = 17 01 서론 = 18 02 소리의 본질 = 19 1. 소리의 높낮이 = 20 2. 소리의 강도 = 21 3. 소리의 색깔 = 22 4. 소리의 길이 = 23 03 기보 = 24 04 음악의 요소 = 26 1. 리듬 = 26 2. 선율 = 29 3. 화성 = 30 4. 텍스추어 = 32 제2장 음악의 기보 = 37 01 음표와 쉼표 = 40 1. 음표의 빔 = 43 2. 붙임줄 = 46 3. 점음표와 점쉼표 = 46 4. 잇단음표 = 50 02 오선 = 52 1. 줄과 칸 = 52 2. 덧줄 = 52 3. 음표와 기둥 = 53 03 건반과 음이름 = 55 1. 옥타브 = 55 2. 반음과 온음 = 55 3. 음이름 = 56 4. 옥타브 위치의 번호 표기법 = 58 04 음자리표 = 60 1. 낮은음자리표 = 60 2. 가온음자리표 = 62 3. 높은음자리표 = 65 4. 그 외에 음자리표 = 67 5. 오선에서의 쉼표 위치 = 68 05 보표 = 69 1. 작은 보표 = 69 2. 큰 보표 = 70 3. 총보 = 71 4. 보표와 건반 = 72 06 임시표 = 74 1. 올림표 = 75 2. 내림표 = 76 3. 제자리표 = 76 4. 겹올림표와 겹내림표 = 77 5. 이명동음 = 78 6. 호의적 임시표 = 79 7. 악보에서 임시표를 포함한 음이름 읽기 = 80 (1) 올림표 및 겹올림표 (2) 내림표 및 겹내림표 (3) 계명창명 07 마디와 마디번호 = 88 1. 마디 = 88 2. 마디번호와 리허설 레터 = 89 08 반복표 = 91 1. 마디의 반복 = 91 (1) 도돌이표 (2) 제1마침과 제2마침 (3) 다 카포 (4) 달 세뇨 2. 음형의 반복 = 95 (1) 한 박자의 반복 (2) 한 마디의 반복 (3) 두 마디의 반복 (4) 두 마디 이상의 반복 09 연주 지시어 = 100 1. 셈여림 = 100 2. 나타냄말 = 102 3. 아티큘레이션 = 102 (1) 타법에 관한 아티큘레이션 (2) 음길이에 관한 아티큘레이션 (3) 그 외 타법과 길이에 관한 아티큘레이션 4. 이음줄과 프레이즈 = 106 5. 장식음 = 107 6. 현악기 주법 = 109 7. 피아노 지시어 = 111 8. 그 외 지시용어 = 113 제3장 박자 = 117 01 박자의 분류 = 119 1. 2박자 = 121 2. 3박자 = 122 3. 4박자 = 123 02 기본박과 박자표 = 124 03 박자의 종류 = 126 1. 홑박자 = 126 (1) 홑2박자와 컷타임 (2) 홑3박자 (3) 홑4박자 (4) 홑박자에서의 쉼표 표기 (5) 겹박자에서의 쉼표표기 2. 겹박자 = 140 (1) 겹2박자 (2) 겹3박자 (3) 겹4박자 (4) 못갖춘마디 3. 그 외의 박자 = 161 (1) 혼합박자 (2) 변박자 (3) 무박자 04 지휘 = 170 1. 지휘 패턴 = 170 2. 빠르기 = 171 (1) 빠르기 표기 (2) 빠르기 표기에 따른 지휘 패턴 제4장 리듬 = 183 01. 리듬과 악센트 = 185 1. 박자에 따른 악센트 = 185 2. 음가에 따른 악센트 = 187 3. 선율 유형에 따른 악센트 = 188 4. 인위적 악센트 = 189 5. 당김음 = 192 02 잇단음표 = 195 1. 홑박자에서의 잇단음표 = 195 2. 겹박자에서의 잇단음표 = 198 3. 잇단음표의 연주법 = 199 03 가사와 악센트 = 204 제5장 음계 = 211 01 반음계적 반음과 온음계적 반음 = 212 02 음계도수 = 214 03 온음계 = 216 1. 장음계 = 216 (1) 4음음계 (2) 장음계의 구조 (3) 장음계 만들기 (4) 장음계의 특징 (5) 장음계에서의 음계도수명 2. 단음계 = 227 (1) 음계에서의 경향음 (2) 단음계의 구조 (3) 단음계에서 음계도수명 (4) 단음계 만들기 (5) 단음계의 특성 04 그 외의 음계 = 242 1. 선법 = 242 2. 교회선법 = 245 3. 5음음계 = 247 (1) 우리나라 5음음계 (2) 일본 5음음계 4. 온음음계 = 250 5. 집시음계 = 251 (1) 헝가리 집시음계 (2) 스페인 집시음계 6. 블루음계 = 254 7. 8음음계 = 255 8. 반음음계 = 256 9. 12음렬 = 257 제6장 음계와 조표 = 259 01 조표의 효용 = 260 02 임시표와 조표 = 262 1. 음계의 임시표와 조표 = 262 2. 각 음자리표에서의 조표 = 262 3. 장음계에서의 임시표를 조표로 바꾸는 법 = 265 4. 단음계에서의 임시표를 조표로 바꾸는 법 = 269 (1) 자연 단음계 (2) 화성 단음계 (3) 선율 단음계 03 건반에서의 조표와 임시표 = 276 제7장 음정 = 279 01 배음 = 280 02 화성적 음정과 선율적 음정 = 282 03 음정의 종류 = 285 1. 홑음정 = 285 2. 겹음정 = 286 04 음정의 성질 = 288 1. 장음계에서의 음정의 성질 = 291 2. 단음계에서의 음정의 성질 = 292 3. 온음음계에서의 음정의 성질 = 293 4. 8음음계에서의 음정의 성질 = 295 5. 음정의 공식 = 298 6. 이명동음정 = 300 05 음정 계산법 = 301 1. 홑음정 계산법 = 302 2. 겹음정 계산법 = 307 06 음정의 자리바꿈 = 310 07 협화음정과 불협화음정 = 314 1. 완전협화음과 불완전협화음 = 315 2. 3전음 = 316 제8장 조표와 조성 = 327 01 조표에서 조성 유추하기 = 329 1. 장조에서 조성 유후방법 = 329 (1) 올림표(◆U266F◆)의 경우 (2) 내림표(♭)의 경우 2. 단조에서 조성 유추방법 = 335 (1) 올림표(◆U266F◆)의 경우 (2) 내림표(♭)의 경우 3. 조표와 관계 장/단조 = 338 02 5도권 = 342 1. 5도권에서의 장/단조 = 342 2. 조표의 완전5도 = 345 3. 악곡의 조성 파악 = 349 03 전조(혹은 조바꿈) = 356 1. 5도권 진행에 의한 전조 = 356 (1) 딸림조 (2) 버금딸림조 2. 관계 장/단조 진행에 의한 전조 = 360 3. 그 외의 전조 = 362 (1) 같은 으뜸음 전조 (2) 이명동음 전조 04 계명창 = 367 1. 고장-do법과 이동-do법 = 367 (1) 고정-do법 (2) 이동-do법 2. 온음계의 계명창 = 369 (1) 장음계의 계명창 (2) 단음계의 계명창 05 이조 = 377 1. 온음계의 이조 방법 = 378 (1) 장조의 이조 방법 (2) 단조의 이조 방법 2. 임시표를 포함한 온음계의 이조 방법 = 391 (1) 임시표를 포함한 장조의 이조 방법 (2) 임시표출 포함한 단조의 이조방법 3. 이조 악기의 기보와 실음 = 399 (1) 실음이 기보보다 한 옥타브가 낮은 악기 (2) 실음이 기보보다 한 옥타브가 높은 악기 (3) 실음이 기보보다 장2도 낮은 악기 (4) 실음이 기보보다 완전5도 낮은 악기 (5) 그 외의 이조 악기 06 총보 읽기와 피아노 리덕션 = 405 1. 현악 4중주 = 405 2. 목관 5중주 = 406 3. 오케스트라 = 407 4. 합창곡 = 410 Ⅱ. 화성편 제9장 화음 = 423 01 화음 = 424 1. 3도 화음과 비3도 화음 = 425 2. 블록화음과 분산화음 = 426 02 3화음 = 427 1. 3화음의 종류 = 427 (1) 장3화음 (2) 단3화음 (3) 감3화음 (4) 증3화음 2. 온음계의 3화음 = 434 (1) 장음계의 3화음 (2) 단음계의 3화음 3. 온음계 3화음의 로마 숫자 표기법 = 440 03 7화음 = 445 1. 7화음의 종류 = 445 (1) 장7화음 (2) 단7화음 (3) 딸림7화음(혹은 속7화음) (4) 반감7화음 (5) 감7화음 2. 온음계 7화음의 로마 숫자 표기 = 453 3. 온음계의 7화음 = 454 (1) 장음계의 7화음 (2) 단음계의 7화음 04 화음의 자리바꿈 = 459 1. 3화음의 자리바꿈 = 459 (1) 자리바꿈과 숫자 저음법 (2) 장음계의 3화음 자리바꿈과 로마 숫자 표기법 (3) 단음계의 3화음 자리바꿈과 로마 숫자 표기법 2. 7화음의 자리바꿈 = 466 (1) 자리바꿈과 숫자 저음법 (2) 장음계의 7화음 자리바꿈과 로마 숫자 표기법 (3) 단음계의 7화음 자리바꿈과 로마 숫자 표기법 05 화음의 밀집배치와 개리배치 = 471 06 Pop/Jazz에서의 코드 표기법 = 475 (1) 3화음의 Pop/Jazz 코드 표기법 (2) 7화음의 Pop/Jazz 코드 표기법 (3) 자리바꿈 회음의 Pop/Jazz 코드 표기법 제10장 화음의 연결법 = 483 01 3화음과 그 기능 = 484 1. 3화음의 기능화성명 = 484 (1) 장조의 3화음 기능화성명 (2) 단조의 3화음 기능화성명 2. 주3화음과 부3화음 = 487 3. 3화음의 대리기능 = 487 (1) 장조에서 부3화음의 대리기능 (2) 단조에서 부3화음의 대리기능 02 화성 진행법 = 495 1. 으뜸화음-딸림화음-으뜸화음(T-D-T)의 순진행 = 495 (1) 장조의 T-D-T의 순진행 (2) 단조의 T-D-T의 순진행 2. 으뜸화음-버금딸림화음-딸림화음-으뜸화음(T-SD- D-T)의 순진행 = 496 (1) 장조의 T-SD-D-T의 순진행 (2) 단조의 T-SD-D-T의 순진행 3. 으뜸화음-딸림화음-버금딸림화음-으뜸화음(T-D-SD-T)의 역진행 = 497 (1) 장조의 T-D-SD-T의 역진행 (2) 단조의 T-D-SD-T의 역진행 4. 조성음악의 화성 진행 = 499 (1) 장조의 화성 진행표 (2) 단조의 화성 진행표 03 베이스의 진행법 = 503 1. 근음의 4도 상행/5도 하행 진행 = 503 (1) 근음의 5도 하행 진행 (2) 근음의 4도 상행 진행 2. 근음의 2도 상행 진행 = 506 3. 근음의 3도 하행 진행 = 507 제11장 종지법 = 515 01 정격종지 = 517 1. 완전정격종지 = 517 2. 불완전정격종지 = 518 02 변격종지 = 521 03 반종지 = 524 04 허위종지 = 528 05 종지법과 선율의 프레이즈 = 533 제12장 선율 작곡법 = 543 01 선율 작곡법의 기본 요건 = 544 1. 리듬 = 544 2. 윤곽 = 546 (1) 아치형 (2) 전위적 아치형 (3) 파도형 (4) 상향 진행형 (5) 하향 진행형 (6) 중심음형 3. 음정 = 550 4. 선율의 연결 = 551 5. 음역 = 554 6. 바탕화성 = 555 02 화성의 선율화 = 559 03 선율에 화성 붙이기 = 563 1. 화성의 선택 = 563 2. 반주형의 선택 = 569 (1) 블록화음형 (2) 알베르티 베이스형 (3) 베이스 도약형 (4) 아르페지오형 3. 비화성음 = 574 (1) 경과음 (2) 보조음 (3) 계류음 (4) 지연음 (5) 전타음 (6) 이탈음과 도입음 (7) 이중보조음 (8) 선행음 (9) 지속음 4. 으뜸음화 = 588 (1) 음계의 차용 (2) 부속화음 제13장 코랄 스타일의 성부 진행법 = 601 01 각 성부의 배치 = 602 1. 내성과 외성 = 602 2. 코랄 스타일의 개리배치와 밀집배치 = 603 3. 각 성부의 음역 = 604 02 성부 간의 선율 진행법 = 606 1. 병진행 = 607 2. 유사진행 = 607 3. 반진행 = 608 4. 사진행 = 608 03 성부 작법의 과정 = 610 1. 병진행의 규칙 = 610 2. 성부 작법의 일반적 규칙 = 611 04 중복과 생략 = 613 (1) 생략할 수 없는 음 (2) 중복할 수 있는 음 (3) 중복할 수 없는 음 05 자리바꿈 화성의 사용법 = 618 1. 화음의 제1전위 = 619 2. 화음의 제2전위 = 620 (1) 종지적 4-6화음 (2) 경과적 4-6화음 (3) 지속적 4-6화음 3. 화음의 제3전위 = 622 부록 서양음악사 개요 = 628 계명창의 유래 = 629 이태리어 발음 = 631 악기의 음역 및 이조악기의 실음 도표 = 634 악보: (1) 슈베르트(Schubert)의〈들장미(Heidenr◆U00F6◆slein)〉 = 640 (2) 베르디(Verdi)의〈여자의 마음(La donna e mobile)〉 = 642 (3) 바흐(Bach)의〈아리오소(Arioso)〉 = 646 (4) 생상(Saint-Sa◆U00EB◆ns)의〈백조(The Swan)〉 = 649 (5) 포스터(Foster)의〈꿈길에서(Beautiful Dreamer)〉 = 652 (6) 벨리니(Bellini)의〈불 꺼진 창(Fenesta che Lucivi e mo non luci)〉 = 656 (7) 슈만(Schumann)의〈어린이 앨범(Album f◆U00FC◆r die Jugend) No. 1 멜로디〉 = 659 (8) 쇼팽(Chopin)〈전주곡(Prelude), Op. 28, No. 7〉 = 660 (9) 슈베르트(Schubert)〈자장가〉 = 661 (10) 슈만(Schumann)의〈어린이 앨범(Album f◆U00FC◆r die Jugend), Op. 68, No. 2 병사의 행진〉 = 662 (11) 슈만(Schumann)의〈어린이 앨범(Album f◆U00FC◆r die Jugend), Op. 68, No. 8 난폭한 기사〉 = 663 (12) 슈만(Schumann)의〈어린이 앨범(Album f◆U00FC◆r die Jugend), Op. 68, No. 10 즐거운 농부〉 = 664 (13) 슈만(Schumann)의〈어린이 정경(Kinderszenen) Op. 15, No. 7 트로이메라이(Tr◆U00E4◆umerei)〉 = 665 (14) 바흐(Bach)의〈미뉴엣(Minuet from the Notebook for Anna Magdalene Bach)〉 = 666 (15) 하이든(Haydn)의〈집시의 춤(Gypsy Dance)〉 = 668 (16) 카발레브스키(Kabalevsky)의〈어린이를 위한 24곡의 소품 중 행진곡(March from 24 Pieces for Children), Op. 39, No. 10〉 = 669 (17) 차이코프스키(Tchaikovsky)의〈호두까기 인형 중 행진곡(March from The Nutcracker Suite)〉 = 670 (18) 무소르크스키(Mussorgsky)의〈전람회의 그림 중 프로메네이드(Promenade from Pictures at an Exhibition)〉 = 672 실습 및 연습문제 정답 = 677 색인 = 7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