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예비·현직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4판

(예비·현직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4판 (Loan 2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재춘 金載春, 저 부재율 夫在律, 저 소경희 蘇京姬, 저 양길석 梁吉錫, 저
Title Statement
(예비·현직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 김재춘 [외]
판사항
4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교육과학사,   2010   (2011)  
Physical Medium
410 p. : 삽화 ; 25 cm
ISBN
9788925404110
General Note
저자: 부재율, 소경희, 양길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846camcc2200289 c 4500
001 000045674865
005 20111101204344
007 ta
008 111031s2010 ggka b 001c kor
020 ▼a 9788925404110 ▼g 93370
035 ▼a (KERIS)BIB000012148283
040 ▼a 241027 ▼c 241027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75 ▼2 22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10z1
245 2 0 ▼a (예비·현직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 ▼d 김재춘 [외]
250 ▼a 4판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0 ▼g (2011)
300 ▼a 410 p. : ▼b 삽화 ; ▼c 25 cm
500 ▼a 저자: 부재율, 소경희, 양길석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김재춘 ▼g 金載春, ▼e▼0 AUTH(211009)136248
700 1 ▼a 부재율 ▼g 夫在律, ▼e▼0 AUTH(211009)121517
700 1 ▼a 소경희 ▼g 蘇京姬, ▼e▼0 AUTH(211009)21768
700 1 ▼a 양길석 ▼g 梁吉錫, ▼e▼0 AUTH(211009)26621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10z1 Accession No. 11164623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교육과정과 교육평가'라는 교직과목의 강의 교재로 쓰일 것을 염두에 두고 간행된 후, 책의 수요자에 해당하는 교수·강사님들과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필요한 부분들을 여러 차례 개정한 것이다.

이 책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라는 교직과목의 강의 교재로 쓰일 것을 염두에 두고 간행된 후, 책의 수요자에 해당하는 교수·강사님들과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필요한 부분들을 여러 차례 개정한 것이다.
주요 수정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들어 두 차례 걸쳐 개정된 국가 교육과정의 내용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둘째, 사회 변혁을 위한 교육과정과 관련된 내용을 5장의 '교과활동(III)-사회 변혁과 교육'이라는 장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가톨릭대학교 양길석 교수가 새로운 집필진에 포함되면서 평가 관련 내용의 상당 부분을 수정하였다. 최근 평가 영역에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문항 제작'을 독립된 장(12장)으로 제시하였고, 이전에 독립된 장(11장)으로 제시된 '교육평가의 일반적 절차'는 8장의 '교육평가의 개관'에 통폐합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전 영역에 걸쳐서 수정이나 보충이 필요한 부분을 수정·보충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김재춘(지은이)

영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미국 UCLA에서 교육과정 및 교육정책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통령비서실 교육비서관, 교육부 차관,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영남대학교 교학부총장 등을 역임했다. OECD CERI(교육 분야) 운영이사, 세계교과서학회(IARTEM) 아시아 대표이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분과 위원장 등을 지내며 다양한 국제 학술 활동을 펼쳤다.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 싱가포르, 홍콩, 중국, 유네스코 등 여러 국가나 국제기구의 초청으로 논문을 발표하거나 자문했다. 니체와 들뢰즈 등 현대 사유가 지닌 교육적 의미를 찾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부재율(지은이)

<교육평가 전문가>입니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근무하면서 대학수학능력시험, 학업 성취도평가, 학습부진아 업무 등에 참여했습니다. 2001년부터 전주교육대학교에서 예비교사들에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평가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또한,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수업과 연계되는 교육평가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교육평가 이론과 교실에서의 실천 간극을 줄이기 위해 고민하고 있습니다. 『초등교실을 위한 교육평가』, 『컴퓨터활용검사』, 『예비·현직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평가(공저)』, 『효과적인 교수법(공역)』을 집필하였습니다. 그 밖에 <수행평가> <컴퓨터 기반 평가> <검사 동등화> <검사개발 및 문항분석> <과정중심평가>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소경희(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과정 전공(문학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과정 전공(문학박사) 미국 University of Pittsburgh, University of Wisconsin 객원 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박사후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현) -저서 및 논문 교육과정의 이해(교육과학사, 2017) 비교교육학: 접근과 방법(공역, 교육과학사, 2017) 미래교육, 교사가 디자인하다(공저, 교육과학사, 2016) 등 다수 -연구보고서 주요국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 연구 등 다수 -박사학위 논문 현대교육과정이론에 나타난 지식관의 문제(1996) E-Mail Address: sohee@snu.ac.kr

양길석(지은이)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평가 전공(문학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평가 전공(교육학박사)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CRESST 연구소) 객원연구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선임연구위원 가톨릭대학교 교수(현) -저서 및 논문 교육평가 -이해와 적용- (공저, 교육과학사, 2007) 노명완-한우리 독서종합검사(한우리, 2008) 200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체제(9등급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외 25개 -연구보고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외 40여 권 -박사학위 논문 준거지향평가의 기준 설정 방법 비교 -수행평가 논술형을 중심으로- (2000) E-Mail Address: ksyang@catholic.ac.kr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장 교육과정 영역 개관 = 13
 1. 전통적인 의미의 교육과정 영역 = 15
 2. 교육과정 개념의 다의성과 관점의 다양성 = 18
 3. 교육과정의 역사 개관 = 27
 4. 교육과정의 항구적인 쟁점들 = 33
제2장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 41
 1. 해방 전 교육과정 = 42
 2. 해방 직후 교육과정∼제5차 교육과정 = 44
 3. 제6차 교육과정 = 55
 4. 제7차 교육과정 = 61
 5. 2007 개정 교육과정 = 70
 6. 2009 개정 교육과정 = 76
제3장 교과 활동(Ⅰ) - 지식과 교육 = 85
 1. 지식 중심 교육의 역사 개관 = 86
 2. 지식 중심 교육과정 이론 = 91
제4장 교과 활동(Ⅱ) - 경험과 교육 = 113
 1. 경험 중심 교육의 역사 개관 = 114
 2. 경험 중심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 120
 3. 듀이의 경험과 교육과정 = 122
제5장 교과 활동(Ⅲ) - 사회 변혁과 교육 = 137
 1. 사회 재건ㆍ변혁을 위한 교육의 역사 개관 = 137
 2. 교육과정사회학의 전개와 재생산 이론 = 140
 3.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이데올로기 비판 및 생산이론 = 145
제6장 잠재적 교육과정 = 151
 1.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Ⅰ - 보수적 관점 = 153
 2. 잠재적 교육과정 논의Ⅱ - 급진적 관점 = 159
 3. 잠재적 교육과정 관련 쟁점 및 공과 분석 = 166
제7장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 173
 1. 교육과정 개발의 일반 원리 = 174
 2. 교육과정 설계의 일반 원리 = 185
 3.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의 실제 = 191
제8장 교육평가의 개관 = 203
 1. 교육평가의 개념 = 204
 2. 교육평가의 역사 = 208
 3. 교육평가의 절차 = 214
제9장 교육평가에 대한 다양한 관점 = 227
 1. 타일러(Tyler)의 목표 중심적 접근 = 228
 2. 스터플빔(Stufflebeam)의 경영적 접근(의사결정적 접근) = 231
 3. 크론박(Cronbach)의 연구적 접근 = 233
 4. 바이스(Weiss)의 정책분석적 접근(이해관계자 접근) = 234
 5. 울프(Wolf)의 배심원적 접근 = 235
 6. 판단적 접근 = 236
 7. 다원적ㆍ직관적 접근 = 240
 8. 하우스(House)의 사회정의적 접근(민주적 평가) = 243
제10장 교육평가의 유형 = 249
 1. 평가기능에 따른 유형 구분 = 249
 2. 평가기준에 따른 유형 구분 = 251
 3. 평가대상에 따른 유형 구분 = 252
 4. 평가영역에 다른 유형 구분 = 253
 5. 성취목표 수준에 따른 유형 구분 = 255
 6. 평가방법에 따른 유형 구분 = 256
 7. 시간 제한 여부에 따른 유형 구분 = 257
제11장 검사 개발, 수행평가, 컴퓨터이용평가 = 261
 1. 검사 개발 = 262
 2. 선택형 및 단답형 문항 = 275
 3. 수행평가 = 280
 4. 컴퓨터를 이용한 평가 = 290
제12장 문항 제작 = 309
 1. 문항 제작자의 요건 = 309
 2. 문항의 요건 = 312
 3. 선택형 문항 제작의 원리 = 314
 4. 서답형 문항 제작의 원리 = 331
제13장 평가도구(검사)의 양호도 = 343
 1. 평가도구의 사용 목적과 양호도 = 344
 2. 검사 점수의 신뢰도 = 345
 3. 검사 점수의 객관도 : 준거지향검사 결과의 일관성 = 355
 4. 검사의 타당도 = 358
 5. 검사의 실용성 = 365
제14장 평가 결과의 보고 및 분석 = 367
 1. 평가결과 해석을 위해 필요한 통계적 개념과 기법 = 368
 2. 고전검사이론을 이용한 검사 및 문항 분석 = 382
 3. 문항반응이론을 이용한 문항 분석 = 397
찾아보기 = 40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