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완성될 수 없는 모던의 기획 :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담론으로서 문화적 이미지론

완성될 수 없는 모던의 기획 :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담론으로서 문화적 이미지론 (Loan 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윤상
Title Statement
완성될 수 없는 모던의 기획 :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담론으로서 문화적 이미지론 / 김윤상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서강대학교출판부,   2011  
Physical Medium
385 p. : 삽화 ; 24 cm
Series Statement
서강학술총서 ;031
ISBN
9788972731900 9788972731399(세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 365-385
000 00799camcc2200265 c 4500
001 000045674290
005 20111031210339
007 ta
008 111027s2011 ulka b AJ 000c kor
020 ▼a 9788972731900 ▼g 94100
020 1 ▼a 9788972731399(세트)
035 ▼a (KERIS)REW000000130745
040 ▼d 211009
082 0 4 ▼a 001.3 ▼2 22
085 ▼a 001.3 ▼2 DDCK
090 ▼a 001.3 ▼b 2011z19
100 1 ▼a 김윤상 ▼0 AUTH(211009)57901
245 1 0 ▼a 완성될 수 없는 모던의 기획 : ▼b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담론으로서 문화적 이미지론 / ▼d 김윤상 지음
260 ▼a 서울 : ▼b 서강대학교출판부, ▼c 2011
300 ▼a 385 p. : ▼b 삽화 ; ▼c 24 cm
440 0 0 ▼a 서강학술총서 ; ▼v 031
504 ▼a 참고문헌 : p. 365-385
536 ▼a '서강학술총서'는 SK SUPEX 기금의 후원으로 제작됨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01.3 2011z19 Accession No. 11164573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윤상(지은이)

현 동덕여자대학교 독일어과 교수 서강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독일문학을 공부하였다. 독일 브레멘 대학에서 『독일 관념론과 낭만주의 비교연구(System und Genesis: zur Theorie des Systematisch- Genetischen in der deutschen Romantik und im deutschen Idealismus)』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독일 관념론과 낭만주의 미학, 문화학적 방법론과 새로운 미학논의들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최근에는 18세기 독일 계몽주의 ‘인간학 이념’에 내재된 융합학문적 토대와 20세기 말까지 이어지고 있는 ‘인간학 이념’의 논의맥락에 주목하여 통합학문으로서 ‘인간학적 미학’의 가능성 조건을 마련하는 연구들을 수행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모던과 포스트모던의 교차
제1장 인문학의 지형 변화
제2장 근대의 이념적 지표들과 원칙적 의미
제3장 탈근대의 이념적 근간
제4장''전환''(turn)의 퍼레이드
제5장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제2부 ''포스트-포스트 담론들''의 조건
제1장 실재하는 유령과 유령학
제2장 신자유주의와 생체정치
제3장 지각의 패러다임
제4장 네트워크 문화
제5장 animal rationale?

제3부 완성될수 없는 기획: 문화적 이미지들의 그물망
제1장 악/법
제2장 욕망
제3장 이미지:플라톤적 이미지론
제4장 타나토-에로스적인 미
제5장 ''아키-텍토닉''으로서의 표현
제6장 형태: 실재를 향한 집착
제7장 주체/몸/예술: 정상적인 것과 비정상적인 것의 접점
제8장 베일의 효과

제4부 문화적 이미지의 창조적 공간
제1장 상실의 트라우마
제2장 문화적 이미지들의 작용 공간 : 기본원리와 양태 및 사유방식
제3장 계몽의 완성?

참고문헌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