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91c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45674274 | |
005 | 20111031145359 | |
007 | ta | |
008 | 111027s2011 bnka b FM 001c kor | |
020 | ▼a 9788973142323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2558807 | |
040 | ▼a 211032 ▼d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700.9 ▼2 22 |
085 | ▼a 700.9 ▼2 DDCK | |
090 | ▼a 700.9 ▼b 2011z2 | |
100 | 1 | ▼a 이재희, ▼d 1956- ▼0 AUTH(211009)143595 |
245 | 1 0 | ▼a 이미지의 시대 : ▼b 경제적 접근 / ▼d 이재희, ▼e 이미혜 지음 |
260 | ▼a 부산 : ▼b 경성대학교 출판부, ▼c 2011 | |
300 | ▼a 354 p. : ▼b 천연색삽화 ; ▼c 24 cm | |
500 | ▼a 이 책은 2004년에 발간한 「예술의 역사」후속편임 | |
504 | ▼a 참고문헌(p. [335]-341)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이미혜, ▼e 저 ▼0 AUTH(211009)35590 |
740 | 2 | ▼a 예술의 역사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9 2011z2 | 등록번호 1116457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미혜(지은이)
울산대, 경성대, 부경대 등에서 불문학과 예술사회사를 강의했으며,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미술, 문학, 영화를 포함한 예술 현상 전반을 연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불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예술의 사회경제사》 《이미혜의 그림 읽기》 《사랑의 예술사》 《초상화: 오직 하나뿐인 그대》 등이 있다.
이재희(지은이)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파리 응용경제연구소와 미국 매사추세츠 주립대학에서 연구했다. 경성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이며, 예술경제와 기업경제를 전공하고 있다. 예술경제 분야에서는 ‘예술에 대한 경제학적 접근’. ‘17세기 네덜란드 미술시장’, ‘고전주의 음악의 경제적 기반’ 등 논문을 쓰고, 「공연예술경제학」을 저술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중산층의 시대 1870-1914년 = 11 1.1. 아름다운 시절 = 13 1.2. 풀밭 위의 점심 = 23 1.3. 에펠탑, 파리의 사랑받는 표지 = 37 1.4. 홈 스위트 홈 = 49 1.5. 그랑드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 63 1.6. 나다르의 사진관 = 77 제2부 신중산층의 시대 1914-1945년 = 87 2.1. 번영과 파국 = 89 2.2. 계단을 내려오는 누드 = 101 2.3. 마천루, 자본주의의 성당 = 113 2.4. 홈 클린 홈 = 125 2.5. 코코 샤넬 = 141 2.6. 병사의 죽음 = 153 제3부 젊은층의 시대 1945-1973년 = 165 3.1. 풍요의 30년 = 167 3.2. 이것이 내일이다 = 177 3.3. 모두를 위한 건축 = 189 3.4. 빨간 플라스틱 의자 = 203 3.5. 미니의 반란 = 219 3.6. 허드슨가의 십대 커플 = 233 제4부 여성의 시대 1973-2000년 = 245 4.1. 성장의 한계 = 247 4.2. 그녀들의 디너파티 = 259 4.3. 기호의 제국 = 271 4.4. 더 이상 살 것이 없다 = 283 4.5. 한 장의 네모난 천 = 295 4.6. 너는 너 자신이 아니다 = 309 맺음말 : 이미지는 어디로 가는가 = 323 참고문헌 = 335 찾아보기 = 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