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이중언어 발달 : 언어와 문해력 그리고 인지

이중언어 발달 : 언어와 문해력 그리고 인지 (Loan 4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Bialystok, Ellen 김영주, 역 이정민, 역
Title Statement
이중언어 발달 : 언어와 문해력 그리고 인지 / Ellen Bialystok 저 ; 김영주, 이정민 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2011  
Physical Medium
xv, 418 p. ; 23 cm
Varied Title
Bilingualism in development : language, literacy, and cognition
ISBN
978895726899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57-406)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Bilingualism in children Language acquisition Language awareness in children Cognition in children
000 01026camcc2200325 c 4500
001 000045674271
005 20111031142411
007 ta
008 111027s2011 ulk b 001c kor
020 ▼a 9788957268995 ▼g 93700
035 ▼a (KERIS)BIB000012561562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401/.93 ▼2 22
085 ▼a 401.93 ▼2 DDCK
090 ▼a 401.93 ▼b 2011z3
100 1 ▼a Bialystok, Ellen ▼0 AUTH(211009)88466
245 1 0 ▼a 이중언어 발달 : ▼b 언어와 문해력 그리고 인지 / ▼d Ellen Bialystok 저 ; ▼e 김영주, ▼e 이정민 역
246 1 9 ▼a Bilingualism in development : ▼b language, literacy, and cognition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1
300 ▼a xv, 418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57-406)과 색인수록
650 0 ▼a Bilingualism in children
650 0 ▼a Language acquisition
650 0 ▼a Language awareness in children
650 0 ▼a Cognition in children
700 1 ▼a 김영주, ▼e
700 1 ▼a 이정민,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01.93 2011z3 Accession No. 11164574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저자 서문 = ⅴ
역자 서문 = ⅷ
Ⅰ 이중언어의 다양한 모습들 = 1
 이중언어 경험하기 = 2
 누가 이중언어 사용자인가? = 6
 방법론적 복잡성 = 8
 어디에서 이러한 연구를 찾을 수 있나? = 13
 숙달도, 충분하게 충분할 때는 언제인가? = 14
  숙달도 측정 = 17
  과정 중심 접근법 = 18
   언어 숙달도의 인지적 차원 = 19
   정의 구축 = 24
Ⅱ 한 가지 언어로 시작하기 = 27
 언어 습득의 중요한 성과 = 31
  어휘론 = 31
  통사론 = 35
  음운론 = 37
  화용론 = 40
 언어 습득 접근법 = 43
 이론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 44
 형식주의 이론 = 49
  지배결속 이론 = 52
  학습가능성 이론 = 52
  최소이론 = 54
 기능주의 이론 = 55
  인지 문법 = 58
  구성 문법 = 60
  연결 주의 = 63
 이분법에서 벗어나서 = 67
  기여와 한계 = 69
  분할과 정복 = 71
Ⅲ 그리고 다른 언어를 더하기 = 77
 시스템 숙닥하기 = 81
  어휘 = 85
  통사 = 92
  음운 = 97
 언제 학습할 수 있는가? = 99
  결정적 시기에 대한 이론적 해석 = 102
  개념 정의 = 104
  본질적 증거 = 106
  무엇을 의미하는가? = 114
   개념화 = 115
   인지의 노화 = 119
   범위를 제한하는 것 = 120
 두 언어를 배우는 것 = 122
Ⅳ 머릿속의 언어 = 125
 '표상'에 관한 연구 = 127
   관찰된 사고 과정 = 127
   행동적인 증거 = 133
   방법론을 넘어서 = 136
 성인과 개념의 문제 = 140
  이중언어 유형 = 140
  언어와 의미의 저장 = 142
  복잡한 표상의 함의 = 144
 아동, 언어 그리고 사고 = 147
  하나의 언어, 하나의 마음 = 149
  태생적인 분리 = 151
  체계의 발달 = 157
 두 언어를 표상하는 것 = 163
  증거 해석 = 165
  명확한 표상을 향해서 = 168
Ⅴ 언어에 대한 생각 = 171
 '상위언어'의 정의 = 173
   상위언어적 지식 = 174
   상위언어적 능력 = 176
   상위언어적 인식 = 178
   제2언어 습득을 위한 '상위'의 적절성 = 179
 상위언어: 그 처리 과정 = 182
  처리구성요소의 정의 = 185
  상위언어 과제의 요구 = 187
 두 개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가? = 190
  단어 인식 = 192
  통사 인식 = 196
  음운 인식 = 200
 연구들에 대한 해석 = 203
  체계의 적용 = 206
  왜 다른가? = 213
Ⅵ 문해력으로의 연결 = 217
 첫 번째 단계 = 220
  배경 준비 = 223
  읽기의 사회적 상황 = 225
  인지적 선행조건 = 227
   상징 기호의 불변 = 228
   활자 이해를 위한 대응 규칙 = 231
 초기 읽기 = 236
  음운 인식의 역할 = 236
  이중언어 화자와 소리의 인식 = 240
   음운 인식의 장점 = 240
   언어의 결합 = 241
   더 쉬운 것 = 243
 유창한 읽기 = 246
  제2언어 읽기에서의 요인 = 247
  텍스트 해독 = 250
 읽기에서의 차이점 = 255
Ⅶ 언어를 넘어서 = 259
 이중언어와 지능 = 262
  지능이란 무엇인가? = 262
  지능의 처리과정 = 265
 언어와 인지 = 269
 상호작용을 위한 기초 작업 = 271
 인지 스타일 = 274
  장 의존 - 장 독립 = 275
 수량의 상징 기초 = 277
  숫자와 수사: 수량의 기초 = 280
  계량과 수량 = 283
 개념과 창의성 = 289
  이중언어 아동의 문제 해결 = 290
  정렬 과제에서의 개념화 = 294
 종합 = 299
  결과의 양상 = 300
  설명을 위하여 = 304
  억제의 원천 = 307
Ⅷ 이중언어에 대한 생각 확장 = 313
 분류의 문제 = 314
  사회경제학과 학습 = 315
  이중언어의 약점 = 318
 시간, 시기, 적시 = 321
  한 번에 하나? = 322
  학습의 지연 = 329
  미래를 향해 = 332
 아동 교육하기 = 335
  이중언어 교육 = 336
  숙달과의 관계 = 341
 나는 누구인가? = 343
 인지에 대한 가르침 = 348
  언어 = 348
  인지 = 352
  뇌 = 354
 끝으로 = 355
References = 357
찾아보기 = 40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