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 ⅴ
역자 서문 = ⅷ
Ⅰ 이중언어의 다양한 모습들 = 1
이중언어 경험하기 = 2
누가 이중언어 사용자인가? = 6
방법론적 복잡성 = 8
어디에서 이러한 연구를 찾을 수 있나? = 13
숙달도, 충분하게 충분할 때는 언제인가? = 14
숙달도 측정 = 17
과정 중심 접근법 = 18
언어 숙달도의 인지적 차원 = 19
정의 구축 = 24
Ⅱ 한 가지 언어로 시작하기 = 27
언어 습득의 중요한 성과 = 31
어휘론 = 31
통사론 = 35
음운론 = 37
화용론 = 40
언어 습득 접근법 = 43
이론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 44
형식주의 이론 = 49
지배결속 이론 = 52
학습가능성 이론 = 52
최소이론 = 54
기능주의 이론 = 55
인지 문법 = 58
구성 문법 = 60
연결 주의 = 63
이분법에서 벗어나서 = 67
기여와 한계 = 69
분할과 정복 = 71
Ⅲ 그리고 다른 언어를 더하기 = 77
시스템 숙닥하기 = 81
어휘 = 85
통사 = 92
음운 = 97
언제 학습할 수 있는가? = 99
결정적 시기에 대한 이론적 해석 = 102
개념 정의 = 104
본질적 증거 = 106
무엇을 의미하는가? = 114
개념화 = 115
인지의 노화 = 119
범위를 제한하는 것 = 120
두 언어를 배우는 것 = 122
Ⅳ 머릿속의 언어 = 125
'표상'에 관한 연구 = 127
관찰된 사고 과정 = 127
행동적인 증거 = 133
방법론을 넘어서 = 136
성인과 개념의 문제 = 140
이중언어 유형 = 140
언어와 의미의 저장 = 142
복잡한 표상의 함의 = 144
아동, 언어 그리고 사고 = 147
하나의 언어, 하나의 마음 = 149
태생적인 분리 = 151
체계의 발달 = 157
두 언어를 표상하는 것 = 163
증거 해석 = 165
명확한 표상을 향해서 = 168
Ⅴ 언어에 대한 생각 = 171
'상위언어'의 정의 = 173
상위언어적 지식 = 174
상위언어적 능력 = 176
상위언어적 인식 = 178
제2언어 습득을 위한 '상위'의 적절성 = 179
상위언어: 그 처리 과정 = 182
처리구성요소의 정의 = 185
상위언어 과제의 요구 = 187
두 개의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가? = 190
단어 인식 = 192
통사 인식 = 196
음운 인식 = 200
연구들에 대한 해석 = 203
체계의 적용 = 206
왜 다른가? = 213
Ⅵ 문해력으로의 연결 = 217
첫 번째 단계 = 220
배경 준비 = 223
읽기의 사회적 상황 = 225
인지적 선행조건 = 227
상징 기호의 불변 = 228
활자 이해를 위한 대응 규칙 = 231
초기 읽기 = 236
음운 인식의 역할 = 236
이중언어 화자와 소리의 인식 = 240
음운 인식의 장점 = 240
언어의 결합 = 241
더 쉬운 것 = 243
유창한 읽기 = 246
제2언어 읽기에서의 요인 = 247
텍스트 해독 = 250
읽기에서의 차이점 = 255
Ⅶ 언어를 넘어서 = 259
이중언어와 지능 = 262
지능이란 무엇인가? = 262
지능의 처리과정 = 265
언어와 인지 = 269
상호작용을 위한 기초 작업 = 271
인지 스타일 = 274
장 의존 - 장 독립 = 275
수량의 상징 기초 = 277
숫자와 수사: 수량의 기초 = 280
계량과 수량 = 283
개념과 창의성 = 289
이중언어 아동의 문제 해결 = 290
정렬 과제에서의 개념화 = 294
종합 = 299
결과의 양상 = 300
설명을 위하여 = 304
억제의 원천 = 307
Ⅷ 이중언어에 대한 생각 확장 = 313
분류의 문제 = 314
사회경제학과 학습 = 315
이중언어의 약점 = 318
시간, 시기, 적시 = 321
한 번에 하나? = 322
학습의 지연 = 329
미래를 향해 = 332
아동 교육하기 = 335
이중언어 교육 = 336
숙달과의 관계 = 341
나는 누구인가? = 343
인지에 대한 가르침 = 348
언어 = 348
인지 = 352
뇌 = 354
끝으로 = 355
References = 357
찾아보기 =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