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51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673908 | |
005 | 20111027150544 | |
007 | ta | |
008 | 111026s2011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64061848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2556565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659.109519 ▼2 22 |
085 | ▼a 659.10953 ▼2 DDCK | |
090 | ▼a 659.10953 ▼b 2011z1 | |
100 | 1 | ▼a 김병희 ▼0 AUTH(211009)3724 |
245 | 1 0 | ▼a 한국 광고회사의 형성 : ▼b 구술사로 고쳐 쓴 광고의 역사 / ▼d 김병희, ▼e 윤태일 |
260 | ▼a 서울 : ▼b 커뮤니케이션북스, ▼c 2011 | |
300 | ▼a viii, 280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커뮤니케이션북스= ▼x CB ; ▼v 1494 |
504 | ▼a 참고문헌: p. 276-280 | |
700 | 1 | ▼a 윤태일, ▼e 저 ▼0 AUTH(211009)7881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9.10953 2011z1 | Accession No. 11164558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한국 광고계의 산증인을 인터뷰해 광고회사의 창립과 형성 과정을 재구성한다. 신인섭, 김석년, 이병인, 남상조, 윤석태, 이해걸. 6명의 원로들이 풀어 놓는 이야기는 한국 광고 역사의 이면을 생생하게 증언한다. 1967년 합동통신사 광고기획실의 출범부터 만보사, 제일기획, 연합광고, 오리콤의 창립까지 광고회사의 변천을 깊고, 촘촘하게 보여 준다.
그들이 없었다면 한국 광고도 있을 수 없다.
광고계 원로 6인이 들려주는 광고회사, 그 이면의 역사
한국 광고계의 산증인을 인터뷰해 광고회사의 창립과 형성 과정을 재구성한다. 신인섭, 김석년, 이병인, 남상조, 윤석태, 이해걸. 6명의 원로들이 풀어 놓는 이야기는 한국 광고 역사의 이면을 생생하게 증언한다. 1967년 합동통신사 광고기획실의 출범부터 만보사, 제일기획, 연합광고, 오리콤의 창립까지 광고회사의 변천을 깊고, 촘촘하게 보여 준다.
[책의 특징]
한국 광고회사의 창립과 형성 과정을 훤히 꿰뚫고 있는 광고계 원로 6인을 인터뷰했다. 신인섭, 김석년, 이병인, 남상조, 윤석태, 이해걸. 이들은 1967년 합동통신사 광고기획실의 출범부터 만보사, 제일기획, 연합광고, 오리콤의 창립에까지 깊숙이 관여한 한국 광고계의 산증인이다. 저자들은 그들의 구술을 채록하고 분석하여 광고회사, 그 이면의 역사로 독자를 초대한다.
그동안 광고사 연구는 주로 객관적 사실의 확인과 기술에 치중함으로써 당대의 미시적이고 생생한 경험을 다루지 못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실증주의적 광고사 연구에서는 초기 광고회사의 매출액이나 광고주 구성 같은 객관적 사실 위주로 기술하고 있는데, 그렇게 되면 그 시대를 살았던 광고인들이 광고 일을 하면서 어떤 생각을 했는지 세세하게 알 수 없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초창기 광고회사의 형성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이 책은 광고인들의 증언과 숨겨진 일화, 미시적 자료들을 제공함으로써 한국 광고사를 보다 풍성하게 보완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김병희(지은이)
현재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에서 광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광고학회 제24대 회장, 한국PR학회 제15대 회장, 정부광고자문위원회 초대 위원 장, 서울브랜드위원회 제4대 위원장으로 봉사했다. 그동안 『광고가 예술을 만났을 때 아트버타이징(학지사, 2021), 『광고로 배우는 경영 통찰력』(한울엠플러스, 2019)을 비롯한 60여 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또한 「광고 건전성의 구성요인과 광고 효과의 검증」(2022),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 ships among Uses Motivation of Social Media, Social Presence, and Consumer Attitudes inStrategic Communications”(2019)를 비롯한 11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발표했다. 한국갤럽학술상 대상(2011), 제1회 제일기획학술상 저술 부문 대상(2012), 교육부·한국연구재단의 우수 연구자 50인(2017) 등을 수상했고, 정부의 정책 소통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 (2019)을 받았다.
윤태일(지은이)
한림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광고대행사 한컴에서 카피라이터로 일하다가 SK텔레콤 홍보실로 옮겨 광고홍보 관리 업무를 수행했다. 그 후 미국으로 건너가 테네시대학교(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에서 석사학위를, 미주리대학교(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김석년과 그의 광고시대』(2015), 『신명 커뮤니케이션』(2014) 등의 저서와 『광고와 예술』(2009), 『플랫랜드』(2009)의 번역서를 포함해 10여 권의 책을 출간했고, “When old meets new”(2017), “The border-crossing of habitus”(2011) 등 40편이 넘는 논문을 발표했다. 한국의 대표적 문화 유전자로 꼽히는 ‘신명’을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천착하여 자기 준거적 이론으로 정립하려는 것이 주된 연구 관심사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기억의 재구성 = ⅴ 01 외국의 광고회사 형성 과정 서구의 광고회사 = 2 일본의 광고회사 = 4 02 한국의 광고회사 형성 과정 광고 환경의 변화 = 11 주요 광고주 현황 = 21 초창기의 광고회사들 = 25 합동통신사 광고기획실의 출범 = 33 만보사의 창립 = 45 제일기획의 창립 = 53 연합광고의 창립 = 58 오리콤의 창립 = 59 광고회사 트로이카 체제의 형성 = 65 코카콜라 광고를 비롯한 크리에이티브의 비약 = 66 광고 과학화를 위한 시도 = 72 03 구술사 연구방법과 구술자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으로서의 구술사 = 76 구술사의 연구 진행 절차 = 81 구술자 = 84 신인섭 = 85 김석년 = 86 이병인 = 88 남상조 = 90 윤석태 = 91 이해걸 = 93 04 광고회사 형성에 관한 이야기 광고회사 쌍두마차 체제의 성립 = 102 합동통신사 광고기획실의 출범 = 102 만보사의 창립 = 107 현대기획의 명멸 = 113 중소 광고회사들 = 118 광고회사 트로이카 체제의 성립 = 120 만보사 합병에서 오리콤까지 = 120 제일기획의 창립 = 130 연합광고의 창립 = 134 중소 광고회사의 부침 = 142 매체사에서 광고회사를 만든 배경 = 143 05 광고 전문성 향상에 관한 이야기 광고대행 수수료의 인정 = 148 광고회사와 광고주의 관계 = 162 광고제작 환경 = 168 광고 시스템의 선진화 = 177 06 한국 광고의 국제화에 관한 이야기 일본의 영향 = 191 미국과 유럽의 영향 = 195 국제회의 참가 경험 = 199 07 광고 크리에이티브에 관한 이야기 코카콜라의 광고기획 = 204 코카콜라의 광고 크리에이티브 = 211 그 밖의 광고제작과 캠페인 = 222 크리에이티브 향상을 위한 시도 = 230 08 광고인과 광고계 풍경에 관한 이야기 구술자의 광고계 투신 동기 = 240 기억나는 광고인과 광고계 풍경들 = 244 광고와 광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 253 09 이야기의 의의와 더 듣고 싶은 이야기들 남기고 싶은 이야기를 간추리며 = 258 이야기에서 주목해야 할 포인트 = 265 한국 광고회사 형성기의 특성과 의의 = 271 참고문헌 = 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