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우리 음악 어디 있나 : K-팝의 뿌리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동식
서명 / 저자사항
우리 음악 어디 있나 : K-팝의 뿌리 / 이동식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북성재,   2011  
형태사항
320 p. ; 23 cm
ISBN
9788992162333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19-320
000 00605camcc2200217 c 4500
001 000045673463
005 20111026143623
007 ta
008 110727s2011 ulk b 000c kor
020 ▼a 9788992162333 ▼g 03670
035 ▼a (KERIS)BIB000012495768
040 ▼a 211044 ▼c 211044 ▼d 211044 ▼d 244002
082 0 4 ▼a 780.9519 ▼2 22
085 ▼a 780.953 ▼2 DDCK
090 ▼a 780.953 ▼b 2011z2
100 1 ▼a 이동식
245 1 0 ▼a 우리 음악 어디 있나 : ▼b K-팝의 뿌리 / ▼d 이동식 지음
260 ▼a 서울 : ▼b 북성재, ▼c 2011
300 ▼a 320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 p. 319-320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53 2011z2 등록번호 15130329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나라 최초로 방송에서 백남준을 소개했고, 이우환, 이응로, 윤이상 등 세계적인 예술가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한 문화전문 기자의 음악사랑 이야기다. 저자는 동양의 고전과 서양 철학 속에서 음악의 역할과 본질을 깊숙이 걸터듬어 내려온다. 런던과 북경에서의 기자생활은 저자에게 우리 문화, 그중에서도 우리 음악에 대해 한발 비껴나서 바라볼 수 있는 객관적 사유의 시간을 제공했으며 그것이 “우리 음악 어디에 있는가”라는 자문으로 이어진 것이다. 동양과 서양의 서로 다른 문화적 문법을 자신만의 해석 위에 우리 음악 사랑을 더하여 보여준다.

문화전문 이동식 기자의 K-팝의 뿌리 찾기

우리나라 최초로 방송에서 백남준을 소개했고, 이우환, 이응로, 윤이상 등 세계적인 예술가들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한 문화전문 기자의 음악사랑 이야기다. 저자는 동양의 고전과 서양 철학 속에서 음악의 역할과 본질을 깊숙이 걸터듬어 내려온다. 런던과 북경에서의 기자생활은 저자에게 우리 문화, 그중에서도 우리 음악에 대해 한발 비껴나서 바라볼 수 있는 객관적 사유의 시간을 제공했으며 그것이 “우리 음악 어디에 있는가”라는 자문으로 이어진 것이다. 동양과 서양의 서로 다른 문화적 문법을 자신만의 해석 위에 우리 음악 사랑을 더하여 보여준다.

공자의 음악에 대한 조예, 그리고 세종대왕이 발견한 기보법 ‘정간보’ 이야기에서 성인들의 통치철학에서의 음악의 역할을 잘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일례로, 기장이라는 곡식이 음가를 정하는 기본이 되는데, 풍년이 들었을 때에는 기장을 세로로 세우고 흉년이 들었을 때에는 기장을 가로로 눕혀 음의 높낮이는 물론 도량형의 단위로 조절했다고 한다. 풍년에는 사람들의 마음이 우쭐하고 들떠있기 쉬우니 음을 낮추어 평안하게 하고, 흉년에는 음을 높이어 사람들의 가라앉은 마음을 위로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파리나 런던, 뉴욕에서 소녀시대, 슈퍼주니어, 에프엑스(f(x) 등의 연장공연을 요구하는 플래시몹이 열렸다는 뉴스들이 심심치 않게 들려온다. 한류열풍의 발아시기라고 볼 수 있다. 이 새싹을 어떻게 가꾸느냐에 따라 한국음악이 세계에 튼튼히 뿌리 내릴 수도 있고 일년생 풀로 그냥 시들어버릴 수도 있다. ?D?A지금처럼 우리 음악의 가치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과거 유산을 부끄럽게 생각하는 한 우리의 미래는 뻔하다. 이제 서양인이 펼쳐놓은 판에서 놀 것이 아니라 우리가 우리의 판을 만들고 우리의 심성과 예술혼을 보여주는 그런 음악판을 펼쳐야 한다고 저자는 목소리를 높인다.

저자의 우리 음악에 대한 깊은 통찰을 읽어낸 대한민국예술원 황병기 부회장과 한국예술종합학교 이강숙 석좌교수는 <우리 음악 어디 있나>의 일독을 추천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동식(지은이)

언론인, 서울대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77년 3월 KBS에 들어가 방송기자로서 30년 이상 방송 보도와 제작 현장에서 활약. 93년초 첫 북경특파원 이후 국제부장, 런던지국장, 2002년부터는 취재주간, 보도제작국장, 방송문화연구소장, 부산방송총국장을 거쳐 해설위원실장과 정책기획본부장을 지냄. 세계적 예술가 백남준과 윤이상, 이응로, 이우환을 한국에 소개했고 실크로드와 북미대륙 문명루트의 최초취재. 한국방송대상 등 다수의 수상. 방송문화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2017년 9월 정부가 주는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저서로는 『천안문을 열고보니』, 『길이 멀어 못갈 곳 없네』, 『다시 쓰는 목근통신』, 『찔레꽃과 된장』, 『이동식의 걷기』, &#8203;『우리 음악 어디 있나?』, 『아니되옵니다』, 『숨 좀 쉬어요』&#8203; 등 20권의 저서에서 동서고금을 통해 역사와 문명, 철학과 미학을 탐색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추천의 말 1 / 황병기 = 4 
추천의 말 2 / 이강숙 = 6
제1장 진양조 : 느리게 그러나 깊은 울림이 있는 장중함으로 
〈풍경1〉생일 = 14
〈풍경2〉무대 = 19
〈풍경3〉객석 = 22
〈풍경4〉열광 = 25
〈풍경5〉질문 = 28
제2장 중모리 : 서서히 빨라져서 중간 정도의 빠르기에 이르는 과정이다 
 취향 서양음악에 대한 관념의 늪 = 32
 국악방송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 방송 = 36
 참국사 참으로 국악을 사랑하는 사람들 = 43
 빈 자리 우리 음악의 실종 현상 = 48
 첫사랑 배경음악 = 54
 반야심경 뜻도 모르는 외우기 = 59
 음악만 우리 목소리가 없네 = 66
 뜻도 모르고 남의 장단에 춤추네 = 71
 울밑의 봉선화 슬픈 시작 = 75
 의붓자식 상놈음악 콤플렉스 = 82
 뽕짝 엔카와 쌍둥이? = 91
제3장 중중모리 : 서서히 몰아쳐간다 
 가릉빈가 맑고 아름다운 소리 = 98
 바른 음악 음악을 통해 인격을 완성하라 = 103
 마음의 거울 거문고는 성인군자들의 악기 = 109
 우주음 세상을 다스리는 근본 = 119
 감동 혜강의 거문고곡,〈광릉산〉 = 130 
 자유 산조가 추구하는 음악 세계 = 134
 꺾는 소리 멋과 아름다움 = 138
 정간보 세종대왕이 해결한 기보법 = 142
 세종대왕 종묘제례악 = 146
 예전엔 우리 생일노래의 자취 = 155
 왕과 함께 신하와 함께 춤을 = 162
 시경 삶과 애환의 영원한 기록 = 171
 좋으니까 우리의 삶 속에서 즐겨야 = 177
제4장 자진모리 : 장단이 빨라지면서 흥도 최고조로 치닫는다 
 옥시토신 음악의 치유 효과 = 184
 선물 음악의 위대한 힘 = 189 
 축음기 음악사의 큰 전환점 = 192
 보편성 동양과 서양은 문화적 문법이 다르다 = 195
 서양음악 문화제국주의 = 199
 울렁증 문화적 질병 = 203
 숨겨진 교과 새로운 눈으로 해석하는 문화 = 209
 종속 서구 중심적인 오리엔탈리즘은 어떻게 극복하나 = 213
 새 물 문화는 흐르는 물과 같다 = 218
 민요부 민중적인 예술의 바탕 = 222
 코다이 음악교육법이 주는 가르침 = 224
 우리 음악 문제의 핵심 공교육의 정상화 = 235
제5장 휘모리 : 영어의 클라이맥스란 것일까? 
 한국음악 어떻게 우리음악을 살릴 것인가 = 244
 3박자 너울거리고 능청거리다 = 253
 동양의 보물 황병기 선생 = 257
 상처 입은 용 윤이상 선생 = 261
 공감 임동창, 장사익, 이생강 = 269
 우륵처럼 가야금 12줄 = 277
 산조 죄고 푸는 맛 = 282
 가슴 높이 한여름 밤의 음악회 = 289
 양축 중국판 춘향전을 음악으로 = 296
 얼후 전통악기를 뛰어넘어 = 299
 이제는 UN을 점령한 니나노와 아리랑 = 304
 인류의 유산 아리랑 = 309 
저자 후기 : 우리의 소원 = 314
참고문헌 = 31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