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신문광고와 텔레비전광고 효과 비교 : 신문광고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신문광고와 텔레비전광고 효과 비교 : 신문광고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강미선, 연구책임 이혜갑, 연구
서명 / 저자사항
신문광고와 텔레비전광고 효과 비교 : 신문광고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 강미선 책임연구 ; 이혜갑 공동연구
발행사항
서울 :   한국언론재단,   2001  
형태사항
210 p. : 도표 ; 22 cm
총서사항
연구서 ;2001-02
ISBN
8985788612
서지주기
참고문헌(p. 159-162)과 부록수록
000 00937camcc2200289 c 4500
001 000045672862
005 20111102203852
007 ta
008 111021s2001 ulkd b 000c kor
020 ▼a 8985788612 ▼g 93300
035 ▼a (KERIS)BIB000008477233
040 ▼a 211004 ▼d 211009
082 0 4 ▼a 659.132 ▼2 22
085 ▼a 659.132 ▼2 DDCK
090 ▼a 659.132 ▼b 2001z1
245 0 0 ▼a 신문광고와 텔레비전광고 효과 비교 : ▼b 신문광고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 ▼d 강미선 책임연구 ; ▼e 이혜갑 공동연구
260 ▼a 서울 : ▼b 한국언론재단, ▼c 2001
300 ▼a 210 p. : ▼b 도표 ; ▼c 22 cm
490 1 0 ▼a 연구서 ; ▼v 2001-02
504 ▼a 참고문헌(p. 159-162)과 부록수록
536 ▼a 이 책은 방송위원회의 방송발전자금을 지원받아 발간함
700 1 ▼a 강미선, ▼e 연구책임
700 1 ▼a 이혜갑, ▼e 연구
830 0 ▼a 연구서 (한국언론재단) ; ▼v 2001-02
945 ▼a KLPA
949 ▼a 한국언론재단 연구서 ; ▼v 2001-02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59.132 2001z1 등록번호 11164490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강미선(지은이)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2002∼현재).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석사 취득 후에는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광고연구소에서 근무했고(1990∼1997), 박사 취득 후에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연구위원으로 재직했다(2001∼2002). 주요 저서로는 『세상에서 가장 쉬운 마케팅』(2022), 『4차 산업혁명과 마케팅』(2020), 『커뮤니케이션 능력』(2017), 『사례 중심의 광고기획론』(2014), 『신문광고론』(2010)』 등이 있다. 연구 관심 분야는 광고 기획, 소비자 행동, 소통 능력이며 이런 주제로 학술논문을 다수 게재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연구서를 내면서 = 3
제1장. 서론 = 11
 1. 문제 제기 = 11
 2. 연구 목적 및 연구 의의 = 14
제2장. 기존 문헌 검토 = 16
 1. 광고 환경 변화 = 16
 2. 신문 광고와 텔레비전 광고 효과 = 33
 3. 수용자의 매체 이용 행동 = 40
제3장. 연구문제 = 49
제4장. 연구 방법 = 54
 1. 사전 조사 = 54
 2. 본 조사 = 55
 3. 응답자 특성 = 58
 4. 설문 구성 = 60
제5장. 심층 인터뷰 결과 = 62
 1. 광고 매체로서 신문과 텔레비전의 비교 = 64
 2. 신문 광고비와 광고 효과 = 69
 3. 신문 광고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74
제6장. 설문 조사 결과 = 79
 1. 광고 매체로서 텔레비전과 신문의 속성 비교 = 79
 2. 매체 선택 기준에 대한 평가 비교 = 87
 3. 광고 효과에 대한 평가 = 94
 4. 광고 매체 비히클의 선택 = 99
제7장. 요약 및 결론 = 138
 1. 요약 = 138
 2. 결론 및 제언 = 152
참고문헌 = 159
부록 1. 심층 인터뷰 전문 = 163
부록 2-1. 전문가 대상 설문지 : 광고주용 설문지 = 189
부록 2-2. 전문가 대상 설문지 : 광고 회사용 설문지 = 200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