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09camcc2200325 c 4500 | |
001 | 000045671342 | |
005 | 20111012152952 | |
007 | ta | |
008 | 111011s2011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58329817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2542568 | |
040 | ▼a 21103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150 ▼2 22 |
085 | ▼a 150 ▼2 DDCK | |
090 | ▼a 150 ▼b 2011z8 | |
100 | 1 | ▼a Myers, David G. ▼0 AUTH(211009)84859 |
245 | 2 0 | ▼a (마이어스의) 심리학 탐구 / ▼d David G. Myers 지음 ; ▼e 민윤기, ▼e 전우영, ▼e 권선중 옮김 |
246 | 1 9 | ▼a Exploring psychology ▼g (8th ed.)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1 | |
300 | ▼a xix, 666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8 cm | |
500 | ▼a 부록: 심리학과 진로, 비판적 사고 연습문제의 답 | |
504 | ▼a 참고문헌(p. 601-660)과 색인수록 | |
650 | 0 | ▼a Psychology |
700 | 1 | ▼a 민윤기, ▼d 1961-, ▼e 역 ▼0 AUTH(211009)99075 |
700 | 1 | ▼a 전우영, ▼d 1966-, ▼e 역 |
700 | 1 | ▼a 권선중, ▼d 1976-, ▼e 역 |
900 | 1 0 | ▼a 마이어스, 데이비드,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150 2011z8 | Accession No. 1410777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 2011z8 | Accession No. 11164416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 2011z8 | Accession No. 1410777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 2011z8 | Accession No. 13104976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150 2011z8 | Accession No. 1410777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 2011z8 | Accession No. 11164416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 2011z8 | Accession No. 1410777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0 2011z8 | Accession No. 13104976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최신 연구와 심리학의 다양한 주제들을 폭넓게 다루고 있는 심리학 개론서. 마치 심리학을 이야기해 주듯이 전개되는 내용과 사진이나 삽화를 포함한 생생한 시각정보가 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독일 등 현대의 과학적 심리학을 공부하고 있는 수많은 대학에서 교재로 사용하고 있다.
David G. Myers가 저술한 『마이어스의 심리학 탐구』 제8판은 2011년에 출간된 것으로 최신 연구와 심리학의 다양한 주제들을 폭넓게 다루고 있는 심리학 개론서이다. 마치 심리학을 이야기해 주듯이 전개되는 내용과 사진이나 삽화를 포함한 생생한 시각정보가 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책은 심리학 개론서 가운데 최고의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로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독일 등 현대의 과학적 심리학을 공부하고 있는 수많은 대학에서 교재로 사용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데이비드 G. 마이어스(지은이)
아이오와대학교에서 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지금까지 많은 심리학개론 강의를 담당해 오면서 대부분의 경력을 미시간에 있는 호프대학에서 보냈다. 호프대학 학생들은 마이어스 교수를 졸업식 축하 연사로 초청했을 뿐만 아니라 ‘뛰어난 교수’로도 선출해 왔다. 그는 연구논문, 심리학개론 및 사회심리학 교재를 집필하는 것 외에도 일반 대중을 위해 심리과학을 정리하고 알리는 일을 해왔다. 그는 Today’s Education에서 부터 Scientific American에 이르기까지 36종의 잡지에 글을 기고해 왔다. 또한 The Pursuit of Happiness and Intution: Its Powers and Perils 등 일반인을 위한 다섯 권의 책을 펴냈다. 마이어스는 시 인관관계위원회 위원장직을 맡으면서, 빈민 가정을 위한 지원센터 설립에 조력하였고, 여러 대학 및 지역사회 단체에서 강연을 해왔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청각장애에 관한 논문을 꾸준히 발표함은 물론 관련 책(A Quiet World)도 집필하였다. 또한 그는 미국의 청각보조기술 혁신을 주장하고 있다(hearingloop.org 참조).
권선중(옮긴이)
충남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받고 동 대학원에서 응용심리 전공으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에 재직 중이며, (사)한국심리학회 총무이사, 중독상담학회 부회장,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편집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및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1년 (사)한국심리학회로부터 ‘김재일 소장학자상’을 수상했고,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연속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자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중독 관련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민윤기(옮긴이)
충남대학교 심리학과와 중앙대학교 심리학과(대학원)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 심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등재지) 편집위원장, 한국자료분석학회 지역이사 및 편집위원, 한국인지 및 생물심리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대전보호관찰 심사위원이며, 충남대학교 심리학과장, 사회과학대학 부학장(학장역)을 수행하고 있다. 2009년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로부터 우수연구상, 2010년 한국자료분석학회로부터 학술상, 2015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otion and Sensibility에서 2건의 Best Poster Award를 수상했다. 2012~2013년 동안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편찬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전우영(옮긴이)
연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메릴랜드대학 심리학과에서 5년간 전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충남대학교 심리학과에서 사회심리학과 소비자심리학을 가르치고 있다. 2009년 소비자연구학회 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으며, 2009년 한림대학교에서 최우수 강의상을 수상했다. 현재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BK플러스 ‘자기조절과 중독’ 팀장으로 대학원의 연구역량과 특성화를 주도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심리과학의 비판적 사고 = 3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 4 심리학의 근원 = 4 현대 심리학 = 7 왜 심리학을 공부해야 하는가? = 13 직관과 상식 = 13 과학적 태도 = 15 비판적 사고 = 17 심리학자들은 어떤 식으로 묻고 답하는가? = 17 과학적 방법 = 18 기술 = 19 상관 = 22 실험법 = 26 심리학에서 자주하는 질문 = 29 제2장 마음의 생물학 = 37 신경의 소통 = 37 뉴런 = 37 뉴런의 소통 방법 = 39 신경전달물질의 영향 = 400 신경계 = 41 말초신경계 = 42 중추신경계 = 42 내분비계 = 44 뇌 = 46 구뇌의 구조 = 46 클로즈업 : 뇌를 들여다보는 도구들 = 47 대뇌피질 = 52 분리 뇌 = 60 온전한 뇌의 좌우 반구 차이 = 62 제3장 의식과 두 가지 트랙의 마음 = 67 뇌와 의식 = 68 이중처리 = 69 선택적 주의 = 70 수면과 꿈 = 73 생물학적 리듬과 수면 = 74 우리는 왜 잠을 자는가? = 79 수면 장애들 = 84 꿈 = 87 최면 = 91 최면에 관한 사실과 거짓 = 92 최면에 걸린 상태에 대한 설명 = 94 약물과 의식 = 96 약물 의존과 중독 = 97 향정신성 약물 = 99 약물 사용에 미치는 영향 = 109 제4장 본성, 양육, 인간의 다양성 = 115 행동 유전학 : 개인차 예측하기 = 116 유전자 : 우리 삶을 위한 코드 = 116 쌍생아와 입양 연구 = 117 기질, 유전, 그리고 성격 = 121 유전자-환경 상호작용 = 122 진화 심리학 : 인간 본성 이해하기 = 124 자연선택과 적응 = 124 유전적인 성공(결과)이 유사성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 = 125 인간의 성에 대한 진화적 설명 = 126 바판적 사고 : 인간의 성에 대한 진화론적 조망 = 128 부모와 동료 = 129 부모와 초기 경험 = 129 또래 영향 = 132 문화적 영향 = 133 문화 간 변화 = 134 시간에 따른 변동 = 135 문화와 자기 = 136 문화와 자녀 양육 = 138 집단 간의 발달 유사성 = 139 성별의 발달 = 140 성별 유사성과 차이 = 140 성별의 본성 = 143 성별 양육 = 144 본성과 양육에 대한 의견 = 146 제5장 전 생애 발달 = 151 태아기 발달과 신생아 = 151 임신 = 151 태아기 발달 = 152 유능한 신생아 = 153 유아기와 아동기 = 154 신체적 발달 = 155 인지 발달 = 157 클로즈업 : 자페증과 '마음맹' = 162 사회적 발달 = 165 청년기 = 172 신체적 발달 = 172 인지 발달 = 175 사회성 발달 = 177 성인 진입기 = 181 성인기 = 182 신체 발달 = 182 인지 발달 = 185 사회성 발달 = 188 두 가지 중요한 발달 논쟁에 대한 조망 = 194 연속성과 단계들 = 194 안정성과 변화 = 195 제6장 감각과 지각 = 199 세상을 감지하기 : 몇 가지 기본 원리 = 200 역 = 201 감각 순응 = 203 시각 = 205 자극 입력 : 빛 에너지 = 205 눈 = 206 시각 정보 처리 = 208 색채시 = 212 기타 중요 감각 = 213 청각 = 214 촉각 = 217 통각 = 219 미각 = 223 후각 = 225 지각 조직화 = 227 형태 지각 = 227 깊이 지각 = 229 지각 항등성 = 232 지각적 해석 = 236 감각 박탈과 회복된 시각 = 236 지각적 순응 = 237 지각적 갖춤새 = 238 제7장 학습 = 243 우리는 어떻게 학습하는가? = 243 고전적 조건형성 = 245 Pavlov의 실험 = 246 Pavlov의 이해 확장 = 251 Pavlov의 유산 = 254 조작적 조건형성 = 255 Skinner의 실험 = 256 Skinner의 이해 확장 = 263 Skinner의 유산 = 264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 267 관찰학습 = 267 뇌 속 거울 = 268 Bandura의 실험 = 270 관찰학습의 응용 = 270 제8장 기억 = 277 기억현상 = 277 기억연구 : 정보 처리 모형 = 278 부호화 : 정보 입력하기 = 280 우리는 어떤 식으로 정보를 부호화하는가? : 처리 수준 = 280 우리는 무엇을 부호화하는가? = 283 저장 : 정보 파지 = 286 감각기억 = 286 작업/단기기억 = 287 장기기억 = 287 뇌에 정보 저장하기 = 288 인출 : 정보 꺼내기 = 294 인출단서 = 294 망각 = 297 부호화 실패 = 298 저장 소멸 = 298 인출 실패 = 299 기억 구성 = 302 오정보와 상상의 효과 = 302 출처 기억상실 = 304 아동의 목격자 회상 = 305 학대에 대한 억압된 혹은 구성된 기억 = 306 기억의 향상 = 307 제9장 사고, 언어, 그리고 지능 = 311 사고 = 311 개념 = 312 문제해결 = 313 결정 내리기와 판단하기 = 315 언어 = 322 언어 발달 = 322 사고와 언어 = 326 동물이 사고와 언어 = 331 지능 = 335 지능은 무엇일까? = 336 지능 평가하기 = 343 유전과 환경이 지능에 미치는 영향 = 347 지능검사 점수에서의 집단 차이 = 352 제10장 동기 = 363 동기에 관한 개념들 = 364 본능과 진화 심리학 = 364 추동과 유인가 = 364 최적 각성 상태 = 365 동기의 위계 = 366 배고픔 = 367 배고픔의 생리학 = 367 배고픔의 심리학 = 370 비만과 체중 조절 = 371 클로즈업 : 섭식장애 = 372 클로즈업 : 복부비만 관리 = 377 성적 동기 = 377 성의 생리학 = 378 성의 심리학 = 380 청소년의 성 = 381 성적 지향성 = 383 성과 인간의 가치 = 386 소속의 욕구 = 386 제11장 정서, 스트레스, 그리고 건강 = 391 정서 이론 = 391 체화된 정서 = 394 정서와 자율신경계 = 394 뇌와 정서의 생리적 지표 = 395 인지와 정서 = 395 바판적 사고 : 거짓말 탐지기 = 396 표현된 정서 = 399 정서 탐지하기 = 399 성별, 정서, 그리고 비언어적 행동 = 400 문화와 정서 표현 = 402 얼굴 표정의 효과 = 403 경험된 정서 = 404 분노 = 404 행복 = 406 스트레스와 건강 = 410 스트레스와 질병 = 410 스트레스와 심장 = 413 스트레스와 질병에 대한 취약성 = 414 건강 증진시키기 = 417 스트레스 대처 = 417 스트레스 관리 = 418 제12장 성격 = 423 정신분석적 조망 = 424 무의식의 탐구 = 424 신 Freud학파와 정신역동 이론가들 = 428 무의식적 과정의 평가 = 429 정신분석 관점의 평가 = 430 인본주의적 조망 = 432 Abraham Maslow의 자아실현한 사람 = 432 Carl Rogers의 개인중심 조망 = 432 자기 평가 = 433 인본주의적 조망의 평가 = 433 특질 조망 = 434 특질의 탐색 = 435 특질의 평가 = 435 5요인 성격 = 436 바판적 사고 : 어떻게 하면 '성공적인' 점성거나 손금 읽는 사람이 될 수 있는가? = 437 특질 조망의 평가 = 438 사회인지 조망 = 439 호혜적 영향 = 439 자기통제 = 441 클로즈업 : 긍정심리학에 대한 관심의 증가 = 443 상황 속에서 행동을 평가하기 = 444 사회인지 조망의 평가 = 445 자기의 탐구 = 445 자존감의 가치 = 446 자기중심적 편향 = 446 제13장 심리적 장애 = 451 심리적 장애에 대한 조망 = 452 심리적 장애에 대한 정의 = 452 심리적 장애의 이해 = 453 심리적 장애의 분류 = 455 심리적 장애에 이름 붙이기 = 456 불안장애 = 457 범불안장애 = 458 공황장애 = 458 공포증 = 459 강박장애 = 460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460 불안장애 이해하기 = 462 신체형 장애 = 464 해리장애 = 465 해리성 정체감 장애 = 465 기분장애 = 466 주요우울장애 = 466 양극성 장애 = 467 기분장애 이해하기 = 467 클로즈업 : 자살 = 469 정신분열증 = 473 정신분열증의 증상 = 473 정신분열증의 발생과 발달 = 475 정신분열증 이해하기 = 475 성격장애 = 478 반사회적 성격장애 = 479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이해 = 479 심리적 장애의 발병률 = 481 제14장 치료 = 485 심리치료 = 486 정신분석 = 486 인본주의적 치료 = 487 행동 치료 = 489 인지치료 = 494 집단치료와 가족치료 = 497 심리치료의 평가 = 497 심리치료는 효과적인가? = 498 심리치료의 상대적 효과 = 499 대체 치료법에 대한 평가 = 500 심리치료의 공통점 = 502 심리치료에서 문화와 가치의 역할 = 503 생의학적 치료 = 504 약물치료 = 505 뇌 자극하기 = 508 치료적 생활양식 변화 = 509 심리적 장애의 예방 = 510 제15장 사회심리학 = 515 사회적 사고 = 515 행동의 원인을 사람 혹은 상황에 귀인하기 = 516 태도와 행동 = 518 클로즈업 : 아부 그라이브 죄수 : '포악함을 유발하는 상황'? = 522 사회적 영향력 = 523 동조와 복종 = 524 집단 영향 = 531 개인의 힘 = 535 사회적 관계 = 536 편견 = 537 클로즈업 : 자동적 편경 = 538 공격성 = 544 클로즈업 : 비디오 게임은 폭력을 가르치거나 표출시키는가? = 549 매력 = 550 클로즈업 : 온라인 결혼 중매 = 552 이타주의 = 558 갈등과 화해 = 561 부록 A : 심리학과 진로 = 569 심리학 전공으로 진로 준비하기 = 569 심리학의 하위 분야 = 574 심리학 대학원 진학을 위한 사전 준비 = 578 더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한 출처 = 579 부록 B : 비판적 사고 연습문제의 답 = 581 참고문헌 = 601 찾아보기 = 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