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평생교육경영론

평생교육경영론 (Loan 1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권인탁 임영희, 저
Title Statement
평생교육경영론 / 권인탁, 임영희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11  
Physical Medium
429 p. : 삽화 ; 25 cm
ISBN
9788963307343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11-420)과 색인수록
000 00723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671329
005 20111014100509
007 ta
008 111011s2011 ulka b 001c kor
020 ▼a 9788963307343 ▼g 93370
035 ▼a (KERIS)REQ000020640137
040 ▼a 211040 ▼c 211040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74 ▼2 22
085 ▼a 374 ▼2 DDCK
090 ▼a 374 ▼b 2011z3
100 1 ▼a 권인탁 ▼0 AUTH(211009)133415
245 1 0 ▼a 평생교육경영론 / ▼d 권인탁, ▼e 임영희 공저
246 1 1 ▼a Lifelong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1
300 ▼a 429 p. : ▼b 삽화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411-420)과 색인수록
700 1 ▼a 임영희, ▼e▼0 AUTH(211009)10472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2011z3 Accession No. 111644288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9-27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평생교육사 자격취득 과목이면서 동시에 평생교육기관이 경영 전략에 관심을 두는 관계로 평생교육경영론에 관한 서적이 저술되고 있다. 물론 비영리기관의 경영적 접근이라는 측면에서 평생교육경영론이 필요하지만, 경영이 능률과 효율을 강조한다 할지라도 평생교육은 공공의 선(common good)을 추구하기 때문에 효과와 능률보다는 공익성과 형평성을 중시하는 경영학적 접근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간된 평생교육경영론 서적은 몇 권에 불과하며 이러한 측면을 반영한 서적은 거의 없다. 미국에서도 역시 평생교육경영에 관한 단행본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행정 또는 경영적 접근방법을 부분적으로 다루는 서적만 일부 출간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저자들은 한국에서의 오랜 실무현장 경험, 미국에서의 연구 경험을 살려 이 책을 저술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권인탁(지은이)

전북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The University of Georgia에서 Post Doctor(1997~1998),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초빙교수(2007~2009) 및 The University of Oklahoma 객원교수(2015~2016)를 역임하였다. 그리고 주요활동으로는 한국평생교육학회 부회장, 교육부 평생교육정책자문위원, 전북대학교 평생교육원 설립(1996) 및 교학부장, 교육연수원장 및 교원양성지원센터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부회장, 한국평생교육/HRD진흥협회 이사장, 전북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주요 연구 및 저서로는 『예비퇴직자의 은퇴 후 재무설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콘텐츠 탐색(열린교육연구, 2015)』, 『대학평생교육 참여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프로그램 만족도와의 관계: 프로그램 마케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평생교육학연구, 2014)』, 『페미니즘 관점에서의 여성 성인교육프로그램 분석(평생학습사회, 2013)』, 『Towards a learning society: lifelong learning policies and practises of South Korea since the 1997 IMF crisis(Widening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2011)』, 『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을 활용한 평생학습도시 발전 전략(평생교육연구, 2008)』, 『북미 평생교육 정책 동향(평생교육진흥원, 2008)』, 『평생교육경영론(학지사, 2013)』,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공저, 학지사, 2008)』, 『교육학의 이해(공저, 양서원, 2013)』 외 다수가 있다. 국제학술대회논문은 『Becoming a Lifelong Learning City: Lessons from a Provincial City in South Korea(AAACE, 2015)』, 『Critical Review of Credit Bank System in South Korea: A New Mediator for Lifelong Learning?(AERC, 2014)』, 『Basis of Learning in Urban Communities: CHAT and the Limits of Contemporary Adult Learning Theories(AERC, 2011)』, 『Building Communities into Lifelong Learning Cities: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AERC, 2009)』, 『From the Margins to the Mainstream and Back Again: A Comparison of Lifelong Learning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AERC, 2008)』 등 10여 편 이상이고, 2008년부터 매년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되었다.

임영희(지은이)

전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Ph. D.) 전) 전북평생교육정보센터 연구원 전라북도교육청 평생교육사업 심의위원 현) 광주 남부대학교 교수 시.군 평생학습도시 협의회 위원 평생교육진흥원 사업심의 및 평가위원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장 평생교육경영의 기초 = 13
 1. 평생교육행정의 의미 = 13
  1) 평생교육행정의 의의와 특성 = 13
  2) 평생교육행정의 개념과 성격 = 16
  3) 평생교육행정의 원리 = 21
 2. 평생교육경영의 기능 = 25
  1) 평생교육경영의 영역 = 25
  2) 평생교육경영의 과정 = 27
  3) 평생교육경영 기능의 모형 = 32
 3. 평생교육 행정가 및 경영자 = 39
  1) 평생교육 행정가 및 경영자의 지위 = 39
  2) 평생교육 행정가 및 경영자의 계층과 업무량 = 41
제2장 평생교육의 법규체계와 조직 = 43
 1. 평생교육의 법규체계 = 43
  1) 교육 관련법의 구조 = 43
  2) 평생교육법령 = 46
  3) 시ㆍ도 평생교육의 조례 = 51
  4) 평생교육 관계 법령 = 58
 2. 평생교육행정 조직 및 지원체계 = 65
  1) 평생교육행정 조직 = 65
  2) 국가 및 지방의 평생교육 전담기구 = 71
  3) 평생학습관과 주민자치센터 = 77
제3장 평생교육기관 분류 = 81
 1. 평생교육기관의 개념 = 81
 2. 평생교육기관의 분류기준 = 82
  1) 다양한 준거에 의한 평생교육기관의 분류 = 83
  2) 평생교육법에 의한 평생교육기관의 분류 = 88
  3) 분류체계에 의한 평생교육기관의 분류 = 91
 3. 평생교육시설의 유형 = 93
  1) 학교 형태의 평생교육시설 = 93
  2) 초ㆍ중등학교에서의 평생교육 = 95
  3) 대학에서의 평생교육 = 96
  4) 문화시설에서의 평생교육 = 98
  5) 기업체의 평생교육시설 = 100
  6) 청소년 수련시설에서의 평생교육 = 102
제4장 평생교육경영의 기획 = 105
 1. 평생교육기획의 의미 = 105
  1) 평생교육기획의 개념 = 105
  2) 평생교육기획의 원리 = 106
  3) 평생교육기획의 유형 = 107
  4) 평생교육기획의 효과성 = 109
 2. 평생교육의 전략적 기획과정 = 110
  1) 일반적 교육의 기획과정 = 110
  2) 평생교육의 전략적 기획과정 = 112
 3. 평생교육기관의 경영진단 = 120
  1) 평생교육기관 경영진단의 의미 = 120
  2) 평생교육기관의 외부 환경 분석 = 121
  3) 평생교육기관의 내부 자원 분석 = 126
  4) 평생교육기관의 외부 환경 및 내부 자원 분석 : SWOT 분석 = 128
  5) 평생교육조직의 SWOT 분석 사례 = 135
제5장 평생교육 네트워크와 학습동아리 운영 = 141
 1. 평생교육기관의 네트워크 = 141
  1) 평생교육 네트워크의 의미 = 141
  2) 평생교육 네트워크의 절차 = 150
 2. 평생학습동아리 운영 = 166
  1) 학습동아리의 의미 = 166
  2) 학습동아리의 조직과정 = 171
  3) 학습동아리의 토의활동 전개과정 = 173
  4) 학습동아리 촉진자와 참여자의 역할 = 175
제6장 평생교육기관의 마케팅, 홍보 및 광고 = 185
 1. 평생교육기관의 마케팅 = 185
  1) 마케팅의 필요성과 개념 = 185
  2) 평생교육기관 마케팅의 성격 = 189
  3) 평생교육 마케팅의 전략 = 193
 2. 평생교육기관의 홍보 = 207
  1) 홍보의 중요성 = 207
  2) 홍보의 원칙 = 209
  3) 홍보내용 = 210
  4) 홍보지 작성 = 213
  5) 홍보매체 = 214
 3. 평생교육기관의 광고 = 221
  1) 광고목표의 설정 = 222
  2) 광고예산의 결정 = 224
  3) 메시지 결정 = 225
  4) 매체의 선택 = 227
  5) 광고효과의 평가 = 229
제7장 평생교육 프로그램 및 기관의 평가 = 233
 1. 평생교육 평가의 의미 = 233
 2. 평생교육 기획단계 평가 = 235
 3.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 237
  1)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 237
  2) 프로그램 평가의 기획 = 239
  3) 프로그램의 고객 평가 = 252
  4) 평가의 대상 = 254
  5) 평가결과의 활용 = 255
 4. 평생교육의 평가모형 = 256
  1) Kirkpatrick의 평가모형 = 256
  2) CIRO 평가모형 = 257
  3) CIPP 평가모형 = 258
  4) Caffarella의 다양한 평가모형 = 260
제8장 평생교육조직론과 의사소통 = 263
 1. 평생교육조직론 = 263
  1) 조직에서의 인간 = 263
  2) 조직의 개념 = 264
  3) 조직의 원리 = 265
  4) 평생교육기관의 조직 형태 = 268
  5) 평생교육조직의 구조 = 273
 2. 의사소통 = 278
  1) 의사소통의 본질 = 278
  2) 의사소통의 유형 = 282
  3) 의사소통망의 형태 = 286
  4) 의사소통이론 = 289
  5) 의사소통과정 = 292
  6) 의사소통의 장애요인과 개선 = 294
  7) 평생교육기관에서의 의사소통 = 298
제9장 평생교육지도성 = 301
 1. 평생교육지도성의 개념 = 301
 2. 일반적 지도성 이론 = 302
  1) 특성이론 = 303
  2) 행동이론 = 304
  3) 상황이론 = 309
  4) 카리스마적 지도성 = 313
  5) 변화 지향적 지도성 = 315
 3. 평생교육지도자의 자질과 역할 = 317
  1) 평생교육지도자의 자질 = 317 
  2) 평생교육지도성의 유형 = 319
  3) 평생교육지도자로서 평생교육사의 역할과 직무 = 326
제10장 평생교육기관 인사관리 = 333
 1. 인사관리의 의미 = 333
  1) 인사관리의 개념 = 333
  2) 인사관리의 원리 = 335
  3) 인사관리의 유형 = 336
 2. 평생교육사의 개념과 전문성 = 338
  1) 평생교육사의 개념과 책무 = 338
  2) 평생교육사의 전문화와 자격 = 339
  3) 계약직 공무원으로서 평생교육사 = 340
 3. 평생교육사의 인력관리 실제 = 341
  1) 평생교육사의 양성 = 341 
  2) 평생교육사의 배치 및 채용 = 343
  3) 평생교육사의 능력개발 = 344
  4) 평생교육사의 근무조건 = 348
제11장 평생교육기관 사무관리 = 351
 1. 사무관리 = 351
  1) 사무관리의 개념 = 351
  2) 사무관리의 용어 = 352
  3) 사무관리의 원칙 = 353
  4) 사무의 분장 및 인계ㆍ인수 = 354
 2. 문서관리 = 355
  1) 문서관리의 의미 = 355
  2) 문서의 종류 = 358
  3) 문서의 성립과 효력 발생 = 361
  4) 문서 작성의 일반사항 = 363
  5) 문서의 기안 및 시행 = 367
제12장 평생교육기관의 재무관리 = 373
 1. 재무관리의 개념 = 373
 2. 재무관리의 절차 = 375
  1) 예산관리 = 375
  2) 수입관리 = 379
  3) 지출관리 = 381
  4) 손익계산 = 382
 3. 재무관리의 실제 = 384
  1) 기관의 통합적 재무관리 = 384
  2) 단위 프로그램의 재무관리 = 386
제13장 우리나라 평생교육정책 = 389
 1. 평생교육정책의 역사와 배경 = 389
 2. 평생학습도시 정책 = 393
 3. 평생학습과 대학학력취득제도 = 396
  1) 학점은행제 = 396
  2) 독학학위제 = 397
  3) 원격대학 = 397
  4) 시간제등록제 = 398
  5) 청강생제도(명예학생제도) = 398
 4. 대학평생교육 = 399
  1)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 399
  2) 대학평생교육 활성화 지원사업 = 401
 5. 금빛평생교육봉사단 = 403
 6. 평생학습축제 = 406
 7. 평생학습계좌제 = 407
참고문헌 = 411
찾아보기 = 42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미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