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671305 | |
005 | 20230828091623 | |
007 | ta | |
008 | 111011s2011 ggk 001c kor | |
020 | ▼a 9788935661886 ▼g 94300 | |
020 | 1 | ▼a 9788935661893 (세트) |
035 | ▼a (KERIS)BIB000012537886 | |
040 | ▼a 211040 ▼d 211040 ▼d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001.3 ▼2 22 |
085 | ▼a 001.3 ▼2 DDCK | |
090 | ▼a 001.3 ▼b 2011z16 | |
245 | 0 0 | ▼a 한국 인문학의 형성 : ▼b 대학 인문교육의 제도화 과정과 문제의식 / ▼d 김재현 [외] |
260 | ▼a 파주 : ▼b 한길사, ▼c 2011 | |
300 | ▼a 464 p. ; ▼c 22 cm | |
440 | 0 0 | ▼a 사회인문학총서 ; ▼v 2 |
500 | ▼a 공저자: 김현주, 나종석, 박광현, 박지영, 서은주, 신주백, 최기숙 | |
504 | ▼a 색인수록 | |
536 | ▼a 이 저서는 2008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학술연구조성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
700 | 1 | ▼a 김재현 ▼g 金載賢, ▼d 1955-, ▼e 저 ▼0 AUTH(211009)103687 |
700 | 1 | ▼a 최기숙 ▼g 崔基淑, ▼e 저 ▼0 AUTH(211009)9803 |
700 | 1 | ▼a 신주백, ▼g 辛珠柏, ▼d 1963-, ▼e 저 ▼0 AUTH(211009)134027 |
700 | 1 | ▼a 서은주 ▼g 徐銀珠, ▼e 저 ▼0 AUTH(211009)82216 |
700 | 1 | ▼a 박지영 ▼g 朴志英, ▼e 저 ▼0 AUTH(211009)141069 |
700 | 1 | ▼a 박광현 ▼g 朴光賢, ▼e 저 ▼0 AUTH(211009)76325 |
700 | 1 | ▼a 나종석 ▼g 羅從奭, ▼e 저 ▼0 AUTH(211009)107434 |
700 | 1 | ▼a 김현주 ▼g 金賢珠,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3 2011z16 | Accession No. 11164430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Call Number 001.3 2011z16 | Accession No. 192052865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01.3 2011z16 | Accession No. 15130342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3 2011z16 | Accession No. 11164430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Call Number 001.3 2011z16 | Accession No. 192052865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01.3 2011z16 | Accession No. 15130342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사회인문학 총서' 2권. 이 책은 한국의 국민국가 건설과 연동하여 대학 인문학 체제가 본격적으로 성립되는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까지의 시기에 초점을 맞춰 인문학의 역사적 출발과 기반을 탐색한다.
이 책은 한국의 국민국가 건설과 연동하여 대학 인문학 체제가 본격적으로 성립되는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까지의 시기에 초점을 맞춰 인문학의 역사적 출발과 기반을 탐색한다. 이 시기에 대한 그동안의 제도사적 접근은 최근 문학·문화 연구에서 어느 정도 성과를 내고 있지만, 전체 지형을 그려내기에는 아직 크게 부족하다. 분과학문의 제도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는 과정에서 한국 인문학의 초기 등장과 형성의 인식론적·제도적·사회적·학문적 맥락에 대한 총체적 조망은 간과되어왔다. 대학에 대한 연구도 거의가 식민지 시기나 해방 직후 미군정기에 집중되어 있고, 그것도 식민지 시기나 미군정기의 교육정책과 교과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런 사정을 고려할 때, 현대 한국 대학의 제도적 토대와 이념적 성향 등이 실질적으로 체계화되는 1950년대를 탐색하는 이 연구는, 식민지시기와 미군정, 국가건설, 분단, 한국전쟁을 관통하는 단절과 연속의 중층적 시각에서 학문 제도 및 담론을 통합적으로 분석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접근이다. 정직하게 말해 새로운 접근이라기보다는, 학문 내부로부터의 자기반성적 비판이요 성찰이라고 하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신주백(지은이)
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일본군의 한반도 침략과 일본의 제국운영』(동북아역사재단, 2021), 『한국 역사학의 전환』(휴머니스트, 2021), 『한국 역사학의 기원』(휴머니스트, 2016), 『역사화해와 동아시아형 미래 만들기』(선인, 2015), 『1920~30년대 중국지역 민족운동사』(선인, 2005), 『처음 읽는 동아시아사1』(공저, 휴머니스트, 2016),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근현대사』(공저, 휴머니스트, 2012) 등
최기숙(지은이)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교수.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전문학과 한국학, 젠더와 감성 연구를 한다. 영역을 횡단하며 글을 쓰는 창의활동가를 지향한다. 세계화 시대에 한국고전문학의 역할과 연결성을 탐구한다. 젠더, 연령, 신분 등의 차이가 규정하는 소수문화, 하위주체의 문화적 실천에 대해 성찰적 시각에서 아이디어 디자인을 한다. 저서로 『계류자들』(2022), Classic Korean Tales with Commentaries (2018), 『처녀귀신』(2011) 등이 있고, 『일곱 시선으로 들여다본 <기생충>의 미학』(2021), Bonjour Pansori! (2017), 『集體情感的譜系』(2018), 『韓國, 朝鮮の美を讀む』(2021), Impagination (2021) 등의 공저를 서울, 파리, 타이페이, 도쿄, 베를린에서 출간했다. 「조선시대(17세기-20세기 초) 壽序의 문예적 전통과 壽宴 문화」(2012), 「신자유주의와 마음의 고고학」(2014), 「고통의 감수성과 희망의 윤리」(2015), ?텍스트의 힘과 이야기의 형이상학?(2020), ?말한다는 것, 이른바 ‘왈(曰)’을 둘러싼 한글 소설 향유층의 의사소통 이해와 실천?(2021), 「여종의 젖과 눈물, 로봇-종의 팔다리: ‘사회적 신체’로서의 노비 정체성과 신분제의 역설」(2022) 외 다수의 논문을 썼다.
김재현(지은이)
서울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경남대학교 철학과 교수(1986-2018)로 재직했으며 현재 경남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저서로 <한국 근현대 사회철학의 모색>(2015), <한국 사회철학의 수용과 전개>(2002), <하버마스의 사상>(공저, 1996)이 있고, ?중국에서 ‘철학哲學’ 개념의 번역과 수용?(2016), ?철학의 제도화, 해방 전후의 연속성과 단절?(2011), ?하버마스의 해방론 연구?(박사논문,1995) 등의 논문이 있다.
박광현(지은이)
동국대학교 교수. 경성제국대학과 재조일본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오다, 일본의 ‘패전’ 이후에 관심을 가지고 재일조선인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역저서로는 『「현해탄」 트라우마』(저서), 『제국대학: 근대 일본의 엘리트 육성 장치』(역서), 『재일조선인 자기서사의 문화지리 1?2』(공저) 등이 있다.
나종석(지은이)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헤겔과 비코에 대한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회와철학연구회 회장과 한국헤겔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대한철학회 부회장으로 있으며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및 국학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독일 관념론, 현대 서구 정치철학, 동아시아 유학사상 그리고 한국 현대사상 등이다. 저서로 『차이와 연대: 현대 세계와 헤겔의 사회・정치철학』(2007), 『삶으로서의 철학: 소크라테스의 변론』(2007), 『헤겔 정치철학의 통찰과 맹목: 서구 현대성과 복수의 현대성 사이』(2012), 『대동민주 유학과 21세기 실학: 한국민주주의론의 재정립』(2017), 『사회인문학이란 무엇인가?』(공저, 2011), 『유학과 동아시아』(편저, 2018), 『한국 인문학의 형성』(공저, 2011), 『유교적 공공성과 타자』(공저, 2014), 『유학이 오늘의 문제에 답을 줄 수 있는가』(공저, 2014), 『디아스포라: 민족 정체성, 문학과 역사』(공저, 2016)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비토리오 회슬레의 『비토리오 회슬레, 21세기의 객관적 관념론』(2007), 미하엘 토이니센의 『존재와 가상: 헤겔 논리학의 비판적 기능』(2008), 카를 슈미트의 『현대 의회주의의 정신사적 상황』(2012), 기무라 에이이치의 『공자와 ≪논어≫』(2020) 등이 있다.
박지영(지은이)
1969년 서울 출생, 성균관대 국문학과에서 「김수영 시 연구-시론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2001)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번역의 시대, 번역의 문화정치 1945~1969-냉전 지의 형성과 저항담론의 재구축>, <신여성-매체로 본 근대 여성 풍속사>(공저), <작가의 탄생과 근대문학의 재생산 제도>(공저), <젠더와 번역-여성 지(知)의 형성과 변전>(공저), <냉전과 혁명의 시대 그리고 <사상계>>(공저), <동아시아 근대 지식과 번역의 지형>(공저)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본서로 묶어 낸 여러 논문들 이외에 「유기체적 세계관과 유토피아 의식-신동엽론」, 「김수영 문학과 번역」, 「혁명, 시, 여성(성)」, 「‘전향’의 윤리, ‘혁명’의 기억」, 「해방 후 전통적 지식인의 탈식민 민족(民族)(시문학(詩文學))사(史)의 기획」 등이 있다. 현재까지 연구의 주요 관심은 ‘김수영’, ‘번역’, ‘검열’, ‘젠더/섹슈얼리티’ 등의 키워드를 통해 해방 이후 지식/사상사가 어떠한 방식으로 전개되는가에 놓여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특히 현재는 1960∼1990년대 정치사회문화사 연구를 수행 중이다.
서은주(지은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현대문학 전공 용인대학교 교양과정부 교수 저서 『문학, 교양의 시간』, 『1960년대 문학과 문화의 정치』(공저), 『권력과 학술장: 1960~1980년대 초반』(공저), 『한국 인문학의 형성』(공저) 등
김현주(지은이)
한국근대문학을 전공했고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근대문학을 지식사, 담론사와 연계하여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근대 산문의 계보학>(2004), <이광수와 문화의 기획>(2005), <사회의 발견:식민지기 ‘사회’에 대한 이론과 상상, 그리고 실천(1910∼1925)>(2013)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사회인문학총서 발간에 부쳐 = 5 대학과 인문학의 미래를 향하여 = 7 제1부 인문학과 분과학문 체계 국어국문학 과목 편재와 고전강독 강좌 / 최기숙 = 21 역사학의 3분과제도 형성과 역사연구 / 신주백 = 61 철학의 제도화, 해방 전후의 연속성과 단절 / 김재현 = 109 제2부 인문교양의 지형과 구성 문학개론과 '지'(知)의 표준화 / 서은주 = 141 '문화사' 강의와 역사인식 / 신주백 = 193 교양으로서의 실존주의 / 나종석 = 235 대학생의 인문적 소양과 교양 '지'(知)의 형성 / 최기숙 = 279 제3부 인문학 장의 형성과 지식 유통 '문리과대학'의 출현과 탈식민의 욕망 / 박광현 = 339 대학 연구소의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학'의 형성사 / 김현주 = 391 인문서의 출판과 번역정책 / 박지영 = 421 찾아보기 = 457 필자 소개 =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