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01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671299 | |
005 | 20111013110751 | |
007 | ta | |
008 | 111011s2011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3307336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534950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375 ▼2 22 |
085 | ▼a 375 ▼2 DDCK | |
090 | ▼a 375 ▼b 2011z3 | |
100 | 1 | ▼a 강현석 ▼0 AUTH(211009)94962 |
245 | 1 0 | ▼a 현대 교육과정 탐구 / ▼d 강현석 저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11 | |
300 | ▼a 710 p. : ▼b 삽화 ; ▼c 27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 부록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5 2011z3 | 등록번호 1116443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학교 교육체제의 실체를 규정하는 중요한 영역인 교육과정의 문제를 교사 혹은 예비 교사로서 이론과 실제의 측면에서 논의하는 데 관심을 둔다. 교과내용을 가르치고, 그 가르침을 확인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와 학생의 삶은 성장하며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간략하게나마 공부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교과내용을 잘 가르치고 교육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교육의 본래적 임무다.
교육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마도 ‘교과를 가르치고 배우는 일’일 것이다. 교과를 가르치고 배우는 일은 이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의 특별한 관심과 몰두를 필요로 한다.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사와 학습자는 교육내용(교과)을 매개로 하여 만난다.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는 여기에서 출발한다. 본서는 학교 교육체제의 실체를 규정하는 중요한 영역인 교육과정의 문제를 교사 혹은 예비 교사로서 이론과 실제의 측면에서 논의하는 데 관심을 둔다. 교과내용을 가르치고, 그 가르침을 확인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와 학생의 삶은 성장하며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간략하게나마 공부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교과내용을 잘 가르치고 교육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교육의 본래적 임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 = 17 1. 교사와 교육과정 = 18 1) 학교생활과 교육과정 = 18 2) 교육과 교육과정 = 20 2. 교육과정의 정의와 이미지 = 21 1) 교육과정의 어원과 의미 = 22 2) 다양한 이미지 = 23 3) 교육과정 의미의 분류 = 26 3. 교육과정의 유사 용어 = 28 1) 스코프와 시퀀스 = 29 2) 강의요목 = 29 3) 내용 개요 = 29 4) 교과서 = 29 5) 교수요목 = 31 6) 계획된 학습 경험 = 31 7) 모듈 = 32 8) 프로그램 = 32 4. 교육과정의 본질과 특성 = 32 1) 교육과정의 문서상 의미 = 32 2) 공통 속성 = 33 3) 본질적 의미 = 34 5. 교육과정의 영역 = 35 1) 교육과정의 기초 = 35 2) 교육과정 이론 = 35 3) 교육과정 설계 = 36 4) 교육과정 구성 = 37 5) 교육과정 개발 = 38 6) 교육과정 실행 = 39 7) 교육과정 공학 = 39 8) 교육과정 개선과 변화 = 39 9) 교육과정 정책 = 40 10) 교육과정 연구 = 40 제2장 교육과정의 역사 = 45 1. 외국 교육과정의 역사 = 46 1) 교육과정의 역사적 기초 = 46 2) 각종 위원회와 주요 보고서를 통해 읽는 교육과정의 역사 = 48 3) Bobbitt과 Charters의 교육과정 구성법 = 52 4) 교육과정 구성법의 발달사적 특징 = 53 5) 교과와 경험의 대립 속에서 탄생: Dewey의 교육과정 이론 = 57 6)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등장: 교과의 새로운 부활 = 58 7) 다양한 세력들의 등장 = 59 2. 한국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 59 1) 교육에 대한 긴급조치기 = 60 2) 교수요목기 = 61 3) 제1차 교육과정기 = 63 4) 제2차 교육과정기 = 64 5) 제3차 교육과정기 = 66 6) 제4차 교육과정기 = 67 7) 제5차 교육과정기 = 69 8) 제6차 교육과정기 = 71 9) 제7차 교육과정기 = 73 10)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제7차 개정 = 76 11) 2009 개정 교육과정 = 77 3. 특별활동과 재량활동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 = 78 제3장 교육과정의 유형 = 87 1. 현행 편제상의 유형 = 88 1) 교과 = 88 2) 특별활동 = 89 3) 재량활동 = 91 4) 창의적 체험활동 = 93 2. 교육과정의 다양한 유형 = 95 1) 유형의 분류 = 95 2) 개념상의 유형 = 96 3) 학교에서 작용하는 유형 = 100 4) 의사결정 수준상의 유형 = 101 5) 내용 조직상의 유형 = 103 제4장 교육과정 이론과 다양한 관점 = 121 1. 교육과정의 기초 이론 = 122 1) 형식도야이론 = 122 2) Tyler 이론 = 124 3) Dewey의 경험 교육과정 = 126 4) Bruner의 지식의 구조와 내러티브 = 128 5) Pinar의 재개념주의: 쿠레레로서의 교육과정 = 133 6) 교육과정의 포스트모던 이론 = 135 2. 교육과정의 핵심 이론 = 136 1) 내용 구성 이론 = 136 2) 교과 가치 이론 = 151 3) 교과 내면화 이론 = 152 4) 교과별 지식 이론 = 166 3. 교육과정의 다양한 관점 = 173 1) 교육과정 사회학 = 173 2) 교육과정 철학 = 174 3) 교육과정 정치경제학 = 175 4) 지식사회학적 접근 = 175 5) 현상학적 접근 = 176 6) 해석학적 접근 = 176 7) 미학적 접근 = 177 제5장 교육과정의 설계 = 187 1. 교육과정 설계의 개념 = 188 2. 교육과정 설계의 구조 = 190 1) 스코프 = 190 2) 계열 = 190 3) 계속성 = 191 4) 통합성 = 192 5) 연계성 = 193 6) 균형성 = 193 3. 대표적 설계 모형 = 194 1) 목표모형 = 194 2) 내용 및 과정모형 = 196 3) 활동모형 = 202 4. 대포적 교육과정 설계 유형 = 202 1) 교과중심 설계 = 202 2) 학습자중심 설계 = 204 3) 문제중심 설계 = 205 5. 최신 설계 동향 = 206 1) 다차원적 설계 = 206 2) 초학문적 설계 = 208 3) 래티스 모형 설계 = 210 4) 의도된 학습 성과(IOLs)중심 설계 = 214 5) 내용 적정화 설계 = 216 6) Foshay의 교육과정 매트릭스 모형 = 220 제6장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입장 = 229 1.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과 기초 = 230 2. 교육과정 개발 모형 = 231 1) 합리적 목표모형 = 232 2) 실제적 개발 모형 = 236 3) 지식의 구조론적 개발 모형 = 240 4) 예술적 개발 모형 = 245 5) 해방적 개발모형과 생성적 개발 모형 = 247 6) 절충적 개발 모형 = 251 3. 교육과정 개발의 입장 = 253 제7장 요구조사 및 교육목표의 설정 = 259 1. 요구조사 및 상황분석 = 260 1) 요구조사 = 261 2) 상황분석 = 265 2. 교육목표의 설정과 진술 = 271 1) 교육목표의 개념과 수준 = 271 2) 교육모?의 설정과정 = 278 3) 교육목표의 진술 = 283 4) 행동목표 진술과 그 대안적 목표 진술 = 290 5) 개정된 신 교육목표분류학 = 293 제8장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 299 1. 교육내용과 지식 = 300 1) 교육내용의 의미 = 300 2) 내용과 지식의 차이 = 303 3) 교육내용으로서 지식 = 303 2. 내용의 선정과 조직의 제 문제 = 306 1) 교육내용의 선정 = 306 2) 교육내용의 조직 = 310 제9장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 = 323 1. 학습경험의 의미 = 324 1) 학습경험의 의미와 중요성 = 324 2. 학습경험의 선정 = 326 1) 학습경험 선정의 제 문제 = 326 2) 학습경험 선정의 일반적 원리 = 332 3) 목표 달성에 유용한 학습경험의 예 = 334 3. 학습경험의 조직 = 341 1) 학습경험 조직의 주요 문제 = 341 2) 조직 단위의 계획 과정 = 348 3) 단원의 구성 = 350 제10장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개발 수준과 학교 교육과정 개발 = 361 1.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 362 1) 국가 수준 교육과정 = 362 2) 지역 수준 교육과정 = 371 3) 학교 수준 교육과정 = 374 4) 교실 수준 교육과정 = 374 2.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375 1)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 375 2)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절차와 실제 = 377 제11장 교육과정 실행 및 운영 = 387 1. 교육과정 실행 = 388 1) 교육과정 실행의 개념 = 388 2) 교육과정 실행의 성격 = 389 3) 교육과정 실행의 입장 = 391 4)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92 5)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과 접근방법 = 392 2. 교수모형 = 399 1) 기술공학적 관점 = 400 2) 인지과정 = 401 3) 교수행동의 관찰 및 기술 = 401 3. 교육과정의 운영 = 402 1) 운영의 의미 = 402 2) 교육과정 운영과 교사 = 403 3) 교육과정 운영의 지원 모형 = 404 4. 교사의 역할과 운영 수준 = 406 1) 실행의 관점에 따른 역할 = 406 2) 교사의 관심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수준 = 407 3) 교사의 개인적ㆍ실천적 지식: 내러티브 = 409 5. 교육과정과 수업 = 411 1)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 = 411 2)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에 대한 오해 = 414 6. 학교 교육과정 컨설팅 = 416 1) 학교 교육과정 컨설팅의 개념 = 416 2) 학교 교육과정 컨설팅의 구성요소 = 416 3) 학교 교육과정 컨설팅의 절차와 유형 = 418 제12장 교과서 및 교육과정 재구성 = 425 1. 교과서 = 426 1) 교과서 제도 = 416 2) 교과서 편찬 기준 = 428 2. 교육과정 재구성 = 430 1)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의와 근거 = 430 2) 교육과정 재구성의 전략: 교육과정 해석 = 433 3.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 436 1) 내러티브와 교과 수업의 관계 = 436 2) 내러티브 활용을 통한 교과 재구성의 방향 = 439 4. 교과 수업 재구성 전략으로서 PCK의 이해 = 445 1) 교과 수업에서 PCK 등장 배경과 개념 = 445 2) PCK의 특징 = 449 제13장 교육과정 평가 = 455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456 2. 교육과정 평가의 쟁점과 성격 = 458 1) 교육과정 평가의 쟁점 = 458 2) 교육과정 평가의 성격 = 459 3. 교육과정 평가의 ?여 = 460 1) 목표지향 모형 = 460 2) 판단지향 모형 = 462 3) 의사결정지향 모형 = 464 4) 자연주의 모형 = 466 제14장 교육과정 연구 = 471 1. 연구 패러다임 = 472 1) 실증주의적 패러다임 = 472 2) 해석적 패러다임 = 473 3) 비판적 패러다임 = 474 2. 연구방법 = 475 1) 탐구 형식 = 475 2) 내러티브 탐구 = 477 3) 실행연구 = 480 4) 근거이론 = 482 5) 숙의적 연구 = 485 6) 교육과정 비평 = 486 7) 내용분석 = 487 8) 양적 연구 = 490 9)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495 제15장 교육과정의 최근 동향 = 501 1. 교육과정 차별화 = 501 1) 수준별 교육과정과 고교 다양화 = 501 2) 교육과정 차별화 요소 = 504 3) 영재 교육과정 = 511 4) 특수아 교육과정 = 519 2. 다문화 교육과정 = 528 1) 다문화 교육 = 528 2) 다문화 교육과정 = 530 3. 이해중심 교육과정: 백워드 설계 = 533 1) 백워드 설계의 특징 = 534 2) 백워드 설계의 단계 = 535 3) McTighe와 Wiggins의 설계 템플릿 = 537 4. 내러티브 교육과정 = 539 5. 통합교육과정 = 545 1) 교육과정 통합의 개념 = 545 2) 교육과정 통합의 접근법 = 546 3) KDB 중심의 간학문적 통합 = 552 6. 역량중심 교육과정 = 559 1) 등장 배경과 중요성 = 559 2) 교육내용으로서의 역량 = 563 7. 교과교육 이론의 동향 = 565 1) 일반 교육학 이론: 일반 교육적 접근법 = 565 2) 교육방법 중심의 응용적 접근법: 방법 우위의 이론 = 566 3) 학문 토대 이론(내용 우위 이론) = 567 4) 교과 정당화 이론 = 568 5) 교과교육의 개념분석 이론: 개별적 교과교육학 성립의 전제 조건 = 569 제16장 한국 교육과정의 발전 과제 = 583 1.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심화, 발전 = 583 1) HPL 이론 = 585 2) 설계를 통한 이해: 백워드 설계 = 587 3) 학습자 공동체 개발(FCL) = 593 4) 이해를 위한 교수 = 594 5) 개념 기반의 주제 중심 통합교육과정 설계 = 597 2. 교과 교육과정 개발 = 607 1) 교과 교육과정 기준의 적합성 제고 = 607 2) 교과 교육과정 기준의 연계성 증진 = 609 3) 교과 교육과정 기준의 기능 개선 = 611 4) 초ㆍ중학교 공통 교과 교육과정 기준 개선 = 612 3. 창의성과 고급 사고력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 613 1) 시대적 과제 = 613 2)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 = 614 4. 교육과정 일치도: 성취 기준 명세화 = 619 1) 일치도 = 619 2) 성취 기준의 명세화 = 620 3) 내용 지식 = 622 5. 신 교육목표분류학의 적용 및 발전 = 624 1) Bloom의 개정된 분류학을 교실수업에 활용하기 = 624 2) Marzano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 628 6. Bruner의 문화 구성주의 탐구 = 628 1) 새로운 관점으로서의 문화 구성주의 = 628 2) 문화 구성주의의 특징 = 636 7. 교과교육에 대한 체계적 연구 = 639 1) 교과교육의 학문적 가능성 탐색 = 639 2)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의 연계성 강화 = 640 3) 내용과 방법의 결합 = 641 4) 교수방법적 지식의 확보 = 642 5) 교육방법 중심 접근의 한계: 응용 중심적 접근 = 643 6) 교육내용으로서 교과의 이해방식 결여 = 644 7) 내용 범주의 빈약성 = 645 8) 교과내용의 이해에 관한 단편성: 삶과 교육적 가치와의 관련성 결여 = 646 부록 Ⅰ. 제6차 유치원ㆍ초등학교ㆍ중학교ㆍ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학지사 홈페이지 참고) Ⅱ. 제7차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학지사 홈페이지 참고) Ⅲ. 제7차 개정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 655 Ⅳ. 2009 개정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 681 찾아보기 = 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