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학습과 기억 : 뇌에서 행동까지

학습과 기억 : 뇌에서 행동까지 (8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Gluck, Mark A. Mercado, Eduardo, 저 Myers, Catherine E., 저 최준식, 역 김현택, 역 신맹식, 역
서명 / 저자사항
학습과 기억 : 뇌에서 행동까지 / Mark A. Gluck, Eduardo Mercado, Catherine E. Myers 지음 ; 최준식, 김현택, 신맹식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11   (2012)  
형태사항
xx, 616 p. : 천연색삽화, 도표 ; 26 cm
원표제
Learning and memory : from brain to behavior
ISBN
9788958328889
서지주기
참고문헌(p.[569]-612)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Learning Memory Learning -- Physiological aspects Memory -- Physiological aspects
000 01272camcc2200385 c 4500
001 000045671014
005 20130227100706
007 ta
008 111010s2011 ulkad b 001c kor
020 ▼a 9788958328889 ▼g 93180
035 ▼a (KERIS)BIB000012354881
040 ▼a 247009 ▼c 247009 ▼d 211009
082 0 4 ▼a 612.82 ▼2 23
085 ▼a 612.82 ▼2 DDCK
090 ▼a 612.82 ▼b 2011z9
100 1 ▼a Gluck, Mark A. ▼0 AUTH(211009)23431
245 1 0 ▼a 학습과 기억 : ▼b 뇌에서 행동까지 / ▼d Mark A. Gluck, ▼e Eduardo Mercado, ▼e Catherine E. Myers 지음 ; ▼e 최준식, ▼e 김현택, ▼e 신맹식 옮김
246 1 9 ▼a Learning and memory : ▼b from brain to behavior
260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1 ▼g (2012)
300 ▼a xx, 616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6 cm
504 ▼a 참고문헌(p.[569]-612)과 색인수록
650 0 ▼a Learning
650 0 ▼a Memory
650 0 ▼a Learning ▼x Physiological aspects
650 0 ▼a Memory ▼x Physiological aspects
700 1 ▼a Mercado, Eduardo, ▼e▼0 AUTH(211009)59273
700 1 ▼a Myers, Catherine E., ▼e▼0 AUTH(211009)101466
700 1 ▼a 최준식, ▼e
700 1 ▼a 김현택, ▼e▼0 AUTH(211009)140203
700 1 ▼a 신맹식, ▼e▼0 AUTH(211009)114499
900 1 0 ▼a 글럭, 마크 A., ▼e
900 1 0 ▼a 마르카도, 에두아르도, ▼e
900 1 0 ▼a 마이어즈, 캐서린 E.,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2.82 2011z9 등록번호 11164439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12.82 2011z9 등록번호 11168951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인 마크 글럭 교수는 학습심리학의 응용 분야인 계산신경학 분야에서 훌륭한 논문을 많이 발표한 연구자이자 여러 권의 저서를 통해 필력을 과시한 작가이다. 머카도 교수와 마이어스 교수 역시 첨단의 연구와 저술을 병행하고 있는 학자들이다. 이 책이 교과서로서 비심리학자가 읽기에도 지루하지 않은 재미를 담고 있음은 이러한 저자들의 경험과 수준에 기인한 것이다.

바야흐로 뇌의 시대다. 생물학, 의학은 물론이고 경제학, 교육학 같은 사회과학 영역에서도 이미 뇌는 핵심 분야의 하나다. 신문, 방송을 비롯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뇌를 이야기한다. 이제 뇌는 늘 사용하는 일상용어가 되었다.
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편적인 구조나 국부적인 기능뿐 아니라 살아 움직이는 동물과 인간의 기능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지난 세기 학습심리학이 수립한 이론적 모델들과 실험 방법들로부터 도움을 받아야 함을 깨달은 것이다. 심리학도들이 모르는 사이에 많은 신경과학자들이 학습심리학을 공부해 왔고, 이제는 학습심리학이 뇌 연구의 기반을 제공해야 할 때다. 이 책은 이러한 내외부적 요구에 걸맞은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전통적인 학습심리학의 세부 범주들을 유지하면서 새로이 등장한 신경과학의 발견을 빠짐없이 싣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습의 이론들을 재해석하고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인 마크 글럭 교수는 학습심리학의 응용 분야인 계산신경학 분야에서 훌륭한 논문을 많이 발표한 연구자이자 여러 권의 저서를 통해 필력을 과시한 작가이다. 머카도 교수와 마이어스 교수 역시 첨단의 연구와 저술을 병행하고 있는 학자들이다. 이 책이 교과서로서 비심리학자가 읽기에도 지루하지 않은 재미를 담고 있음은 이러한 저자들의 경험과 수준에 기인한 것이다. 막연한 동경으로 심리학에 발을 디딘 새내기부터 이미 심리학 혹은 뇌과학 연구를 진행 중인 여러 분야의 중견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독자들에게 유용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Mark A. Gluck(지은이)

러트거스대학교 뉴어크 캠퍼스 신경과학 교수이자 러트거스-뉴어크 기억 이상 연구 프로젝트의 공동책임자이며, 대중을 위한 뉴스레터인 「기억 상실과 뇌(Memory loss and the Brain)」의 발행인이기도 하다. Gluck 교수의 연구는 계산과학적 및 실험적 접근을 이용한 학습과 기억의 신경 기반 이해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는 또한 노화, 외상 및 질환에 의해 생기는 기억상실의 결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Gateway to Memory: An Introduction to Neural Network Modeling of the Hippocampus and Learning』(MIT Press, 2001)을 공동으로 집필했고, 『Neuroscience and Connectionist Theory』(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0), 『Model Systems and the Neurobiology of Associative Learning: A Festschrift for Richard F. Thompson』(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0), 『Memory and Mind: A Festschrift for Gordon H. Bower』(Taylor & Francis, 2007)의 책들을 공동으로 편집하였다. 1996년에는 빌 클린턴 전 미국대통령으로부터 젊은 과학자 및 공학자에게 주어지는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또한 같은 해 미국 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학문적 공헌이 큰 이들에게 수여하는 젊은 우수 과학자상을 수상했다.

Catherine E. Myers(지은이)

러트거스대학교 뉴어크 캠퍼스의 연구교수이자 러트거스-뉴어크 기억 이상 연구 프로젝트의 공동책임자이며, 대중을 위한 뉴스레터인 「기억 상실과 뇌(Memory loss and the Brain)」의 편집장이기도 하다. Myers 교수의 연구는 계산신경과학 및 실험심리학 영역을 포괄하며 특히 해마와 주변 영역의 손상에 따른 인간 기억의 결함을 밝히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Gluck 교수와 『Gateway to Memory: An Introduction to Neural Network Modeling of the Hippocampus and Learning』(MIT Press, 2001)을 공동 집필했고, 『Delay Learning in Artificial Neural Network』(Chapman & Hall, 1992)를 저술했다.

Eduardo Mercado(지은이)

뉴욕주립대학교 버팔로 캠퍼스의 조교수이다. 그의 연구는 뇌의 여러 영역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해서 경험한 사건들의 표상을 만들어 내며, 이러한 표상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Mercado 교수는 실험심리학, 계산신경과학, 전기공학 및 행동신경과학의 다양한 방법론을 이용해서 설치류, 갑각류 그리고 인간에서 학습과 기억에 관한 주제들을 연구한다.

김현택(옮긴이)

고려대학교 심리학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생리심리학 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생리심리학 박사 현재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100여 편의 국내외 논문 및 다수의 심리학 교과서 집필

최준식(옮긴이)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행동신경과학 전공으로 학습과 기억, 정서 신경과학, 로봇심리학 영역에서 연구하고 있다. 다수의 논문과 함께 주요 저서로는 『신경과학자를 위한 뇌질환 동물 행동 검사』(2006, 공저), 『신경과학자를 위한 뇌기능 동물 행동 검사』(2006, 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역서로는 『느끼는 뇌』(2006), 『학습과 기억』(2019, 공역), 『브루스 맥쿠엔의 스트레스의 종말』(2010, 공역) 등이 있다.

신맹식(옮긴이)

고려대학교 심리학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생리심리학 석사 위스콘신주립대학교 대학원 실험심리학 박사 중앙대학교 교양학부 교수/심리학과 협력교원(임시 퇴직) 현재 위스콘신주립대학교(밀워키) 강사 및 연구원 20여 편의 국내외 논문 집필과 심리학 교과서 집필 및 번역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ⅴ
저자 서문 = ⅶ
제1장 학습과 기억의 심리학 = 3
제2장 학습과 기억의 신경과학 = 53
제3장 일화적 기억과 의미적 기억 : 사실의 기억과 사건의 기억 = 105
제4장 숙련기억 : 행위에 의한 학습 = 157 
제5장 작업기억과 집행통제 = 209
제6장 비연합 학습 : 반복되는 사건에 대한 학습 = 255
제7장 고전적 조건화 : 중요한 사건을 예측하게 해주는 학습 = 303
제8장 도구적 조건화 : 행동의 결과에 대한 학습 = 361
제9장 일반화, 변별 및 유사성 표상 = 417
제10장 정서 학습과 정서 기억 = 469
제11장 관찰학습 : 관찰, 경청 그리고 기억 = 519
참고문헌 = 569 
찾아보기 = 61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