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58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670840 | |
005 | 20111013200900 | |
007 | ta | |
008 | 111010s2011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65239598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2537577 | |
040 | ▼a 211032 ▼d 211009 | |
082 | 0 4 | ▼a 338.9581 ▼2 22 |
085 | ▼a 338.9581 ▼2 DDCK | |
090 | ▼a 338.9581 ▼b 2011 | |
100 | 1 | ▼a 박정동, ▼d 1960- ▼0 AUTH(211009)57916 |
245 | 1 0 | ▼a 아프가니스탄을 가다 / ▼d 박정동, ▼e 박혜영 |
260 | ▼a 서울 : ▼b 기파랑, ▼c 2011 | |
300 | ▼a 522 p. : ▼b 천연색삽화, 도표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516-522 | |
700 | 1 | ▼a 박혜영,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8.9581 2011 | 등록번호 11164374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아프가니스탄은 독특한 정치·경제·사회·문화·지리적 여건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지정학적으로 매우 특수한 입지 여건으로부터 비롯되는 특성은 물론, 종족의 다양성 및 종족간의 우위 다툼, 종교의 분파적인 성향에서 파생된 문제점 등이 극히 복잡하게 혼재되어 있다.
현재 아프간의 상황은 오랜 기간 동안의 외세 개입 이후 내전을 거치는 과정에서 정치와 경제사회 전반의 인프라와 조직 역량이 크게 위축된 상태다. 이 같은 현실에서 여러 나라에서 파견된 지방재건단의 안간힘에도 불구하고 아직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안타까운 실정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들은 한국이 미국 등 아프간 각지에서 재건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여타의 국가들과는 크게 차별화되는 개발 경험을 축적해왔음에 착목했다. 온갖 난관을 뚫고 경제발전과 정치사회적 진보를 이룩한 생생한 우리의 경험, 그것을 아프간의 여건과 실정에 알맞은 내용으로 발전시켜 활용한다면 매우 유용한 개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판단을 내렸던 것이다.
다시 말해 아프간의 발전은 물적·인적 자본의 투자에만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도전적인 거시경제와 구조개혁, 정부 개혁을 추구하는 정부의 능력에 달려있음을 중시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에서 우러나온 교훈들을 아프가니스탄의 미래 경제발전을 위한 적절한 모범으로 제시한 것은 이 책의 가장 값진 수확이다.
안식년을 이용하여 전쟁터로 달려가다
이 책의 주(主) 저자인 박정동은 인천대학 무역학부 교수이다. 일본 국립 도쿄(東京)대학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치고, 중국 베이징(北京)대학과 미국 하버드대학 동아시아 연구센터의 교환교수를 지낸 그의 이력에서 알 수 있듯이 그는 손꼽히는 중국 전문가이자 동아시아 지역에도 큰 관심을 가진 학자이다. 그런 그가 안식년 휴가를 얻자마자 엉뚱하게 아프가니스탄으로 달려갔다. 남들 같았으면 편안하게 재충전의 시간을 보냈을 텐데 말이다.
박 교수는 아프가니스탄에 파견된 한국 지방재건팀(KOR-PRT)의 일원으로 밤낮 가리지 않고 총성과 포성이 울려 퍼지는 비극의 전장(戰場)을 ‘목숨을 걸고’ 스스로 찾아간 것이다. 뉴스를 통해 부분적으로 알려지기도 했지만, KOR-PRT는 아프간 주정부의 행정역량을 키우고 이 지역의 안정화를 돕는 한국의 민·군 통합조직을 가리킨다. 350명 이내의 군 병력으로부터 보호를 받는 PRT는 100여명의 민간인, 40여명의 경찰로 구성된다.
이들의 주된 임무는 아프간 파르완 주(州)의 행정역량 강화, 보건. 의료, 농업, 교육. 직업훈련과 경찰 훈련 등을 지원하는 것이다. 파르완은 아프간 내전 당시 반(反)탈레반 연합세력의 주요 거점 가운데 한 곳이었다. 주민 대부분이 탈레반에 적대적인 타지크족과 하자라족이라고 한다. 면적은 5천974㎢로, 서울시 약 10배에 달하면 인구는 약 70만 명이다. 현재 아프간에는 국제안보지원군(ISAF) 통제 하에 한국과 미국 등 15개국의 26개 PRT가 활동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3년 2월에 파견한 건설공병지원단(=다산부대)을 중심으로 KOR-PRT를 운용한다.
독특하고 복잡한 아프간의 역사와 현실
아프가니스탄은 독특한 정치·경제·사회·문화·지리적 여건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지정학적으로 매우 특수한 입지 여건으로부터 비롯되는 특성은 물론, 종족의 다양성 및 종족간의 우위 다툼, 종교의 분파적인 성향에서 파생된 문제점 등이 극히 복잡하게 혼재되어 있다.
현재 아프간의 상황은 오랜 기간 동안의 외세 개입 이후 내전을 거치는 과정에서 정치와 경제사회 전반의 인프라와 조직 역량이 크게 위축된 상태다. 이 같은 현실에서 여러 나라에서 파견된 지방재건단의 안간힘에도 불구하고 아직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안타까운 실정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들은 한국이 미국 등 아프간 각지에서 재건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여타의 국가들과는 크게 차별화되는 개발 경험을 축적해왔음에 착목했다. 온갖 난관을 뚫고 경제발전과 정치사회적 진보를 이룩한 생생한 우리의 경험, 그것을 아프간의 여건과 실정에 알맞은 내용으로 발전시켜 활용한다면 매우 유용한 개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판단을 내렸던 것이다.
다시 말해 아프간의 발전은 물적 인적 자본의 투자에만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도전적인 거시경제와 구조개혁, 정부 개혁을 추구하는 정부의 능력에 달려있음을 중시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에서 우러나온 교훈들을 아프가니스탄의 미래 경제발전을 위한 적절한 모범으로 제시한 것을 이 책의 가장 값진 수확으로 꼽을 만하다.
이 책에 담긴 내용과 메시지
제1 PART에서는 아프간의 정치 및 경제사회현황에 대하여 상술했다. 또 한국 지방재건팀이 주둔하고 있는 파르완의 경제 및 사회현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에 덧붙여 박정희 대통령의 국가정책에 대한 리더십, 경제기획원 설립, 새마을운동 등 제3공화국 당시 우리나라 경제정책을 덧붙임으로써 지지부진한 아프간 발전을 위한 하나의 해결책을 제시했다.
제2 PART에서는 파르완의 지역개발계획 PDP프로그램, 개발연대시대의 한국의 주요경제관련 규정 및 법규, 그리고 이해를 돕기 위해 아프간 현지에서 방영한 ROK-PRT 홍보 동영상에 대한 소개도 잊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2천800만 아프가니스탄 민족이 그동안 흘린 눈물에 대한 굳건한 재건의 의지에 바치고자 한다”는 저자의 말에 담긴 간절한 소망이 진한 감동을 불러일으킨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박정동(지은이)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경대학교에서 경제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북경대학교 경제학원 연구교수, 하버드대학교 동아시아연구센터 교환교수, 캄보디아 왕국 경제자문관을 지냈으며, 현재 KDI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책에
박혜영(지은이)
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보스턴대학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영컨설팅 전문기업에서 근무했으며, 현재는 보스턴대학 인적자원 정책연구원 교환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전자적 성과지원시스템 기반 직원포탈 설계 및 개발. 상업교육연구』(2011) 『중국에서 기업하기』(공저,2011), 『작은 기업이 살아남는 인재경영전략』(공저, 2004)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시작하면서 = 5 PART 1 1 아프가니스탄의 정치 및 경제ㆍ사회현황 01. 30년 전쟁 및 정치체제 = 19 공산당 통치와 소련의 점령(1979∼1992) 내전(1992∼1996) 탈레반 통치(1996∼2001) 최근의 분쟁(2001∼2009) 현재의 상태(2010∼현재) 02. 사회적 배경 = 49 정부의 구조 보안 가난 통치 부패 아프가니스탄의 성 문제 민족분쟁 교육 건강 03. 경제상황 = 85 경제구조 경제정책 2 파르완 주의 경제 및 사회 현황 01. 파르완주의 약사(略史), 인구 및 자연환경 = 111 파르완주의 약사(略史) 인구 위치 기후 02. 파르완주의 정치 및 사회구조 = 119 파르완주 정치 지역정부 교육 보건 파르완주의 부족 현황 및 종교 UN 및 NGO의 파르완 지원활동 외국 정부의 경제적 지원활동 03. 파르완주의 경제ㆍ산업 및 인프라개황 = 139 경제 개황 산업 생산과 사업 구조 농업, 목축헝 현황 상업, 건설업, 금융 등 서비스업 인프라 04. 파르완주의 10개 지구(地區)별 경제현황 = 153 챠리카르 지구 바그람 지구 자불 사라즈 지구 살랑 지구 코히사피 지구 사이드 켈 지구 고르반드 지구 쉐크 알리 지구 산와리 지구 수르키파르사 지구 3 개발연대의 한국의 경제정책 01. 지도자의 리더십 = 173 목표 지향적 리더십 포용의 리더십 이용후생의 리더십 박정희 대통령의 리더십 평가 02. 경제기획원 설립 = 181 설립배경 경제기획원의 조직구성 경제기획원의 위상과 특징 경제기획원의 예산확보 03. 새마을 운동 = 191 새마을 운동의 배경 새마을 운동의 단계별 내용 새마을 운동의 조직 새마을 운동의 재원조달 새마을 운동의 인력 배치 및 운영 새마을 운동의 주요 성공요인 04. 외환정책 및 통화금융정책 = 203 1960년대 외환정책과 통화금융정책 1970년대의 외환정책과 통화금융정책 1961∼1962년 1월의 주요 사항 1962∼1966년의 주요사항 1967∼1971년의 주요사항 05. 교육 및 직업훈련정책 = 217 1963년 산업교육진흥법 제정 1967년 과학기술진흥법 제정 1973년 기술교육 개혁 1975년 국가기술자격제도 시행 06. 중소기업정책 = 227 1961년 : 중소기업은행(중소기업은행법) 1966년 : 중소기업 기본법 중소기업 인력지원 직업훈련법(1967) 산업기능요원제도(1973) 1974년 : 중소기업 신용보증 기금법 1975년 : 중소기업 계열화 촉진법안 1976년 : 중소기업형 전문기계공장 선정 07. 공기업제도 = 241 지방공기업제도 08. 기업가 정신 = 245 60년대 70년대 4 지속가능한 파르완 주의 경제개발 전략 01. 경제개발을 위한 중요한 가정 = 251 02. 경제개발을 위한 사전 전략 = 255 중앙 경제 계획부의 신설(한국의 EPB 프로그램에 해당) 국유 기업의 설립 소규모 및 중간 규모 기업(중소기업)의 지원 기업가 정신의 양성 03. 경제개발의 목표 = 259 04.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략 = 261 농촌 개발과 농촌 주민 생활수준 향상 : 새로운 지역 사회 운동 교육 및 직업 훈련 : 인적 자원 개발 도시 지역 개발 : 경제 특구 5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KEY 프로젝트 개요 01. 새마을 운동 방식에 의한 농촌개발 시범사업 프로그램 = 277 개요 도입목적 및 추진분야 추진개념 단계별 사업추진 02.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을 위한 시범사업 프로그램 = 295 기술교육센터설립 운영방법 및 절차 과정별 교육내용 기술교육센터 운영 성과 03. 아프가니스탄 파르완주의 경제특구 개발을 위한 시범사업 프로그램 = 307 A. 수출가공구 및 물류단지 개발의 선행전략 B. 수출가공구 및 물류단지 개발의 모델 C. 파르완주에서의 개발 예시(복합형 자유무역지역) D. 수출가공구 및 국제물류단지 관련 법률(국내) E. 수출가공구(경제특구)개발의 실천과제 04. 마치면서 - 경제개혁의 길 = 327 PART 2 01. 아프가니스탄 파르완 주의 지역개발계획PDP프로그램 = 331 02. 개발연대 시대의 한국의 주요경제관련 규정 및 법규 = 349 경제기획원의 관련 규정 및 법규 새마을운동 관련 규정 외환정책 및 통화금융정채관련 주요 법령 교육 및 직업훈련관련 주요 법령 중소기업 정책 관련 법령 공기업정책관련 주요 법령 03. 아프가니스탄 현지에 방영한 KOR-PRT 홍보 동영상 = 465 04. 세기의 개발사 박정희와 덩샤오핑 = 477 빈농의 아들에서 권력의 정상까지 근대화의 시발은 농촌개혁부터 근대화의 완성은 공업화 총설계사 박정희와 지휘자 덩 샤오핑 05. 인용문헌 = 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