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비교행정강의 제2판

비교행정강의 제2판 (Loan 2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임도빈 任道彬
Title Statement
비교행정강의 / 임도빈 저
판사항
제2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박영사,   2011  
Physical Medium
xv, 623 p. : 삽화, 도표 ; 26 cm
ISBN
978896454184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676camcc2200253 c 4500
001 000045670818
005 20111012193422
007 ta
008 111010s2011 ulkad b 001c kor
020 ▼a 9788964541845 ▼g 93350
035 ▼a (KERIS)REQ000020607393
040 ▼a 241044 ▼c 241044 ▼d 244002 ▼d 211009
082 0 4 ▼a 351 ▼2 22
085 ▼a 351 ▼2 DDCK
090 ▼a 351 ▼b 2011z5
100 1 ▼a 임도빈 ▼g 任道彬 ▼0 AUTH(211009)81600
245 1 0 ▼a 비교행정강의 / ▼d 임도빈 저
250 ▼a 제2판
260 ▼a 서울 : ▼b 박영사, ▼c 2011
300 ▼a xv, 623 p. : ▼b 삽화, 도표 ; ▼c 26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900 1 0 ▼a Im, Tobin,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 2011z5 Accession No. 11164375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임도빈(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를 나온 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그리고 파리 정치대학에서 사회박 박사를 취득하였다. 한국행정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정부 경쟁력 이론을 정립하고, 사람중심의 더 좋은 한국 사회를 만들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인적자원관리라는 측면에서 공공부분의 역할과 대학교육의 중요성에 관심을 갖고 있다. 한국정책학회, 한국행정학회 그리고 서울대학교에서 각각 학술상을 수여받았다. 40여 권의 저서와 주요 국내외 주요학술지에 200여 편 가량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국가와 좋은 행정, 왜 서번트 리더십인가, 행정학, 인사행정론, 한국행정조직론, 비교행정학, The Two Sides of Korean Administrative Culture(2019), The Experience of Democracy and Bureaucracy in South Korea(2017) 등이 있다. (tobin@snu.ac.kr)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편 비교행정연구의 기초
 제1장 기초적 이해 = 3
  Ⅰ. 비교행정론 무엇을, 왜 연구하는 학문인가 = 3
   1. 비교행정이란 = 3
   2. 비교행정연구의 필요성 = 4
   3. 비교행정론의 유형 = 5
  Ⅱ. 비교연구의 학문적 발달 = 7
   1. 비교연구의 발달과정 = 7
   2. 비교행정론의 연구경향 = 8
  Ⅲ. 비교행정의 연구대상: 국가의 분류 = 13
   1. 경제체제 기준 = 13
   2. 정치체제 기준 = 14
   3. 정치체세 유형론과 경제체제 유형론의 결합 = 15
  Ⅳ. 비교연구의 학문적 발달 = 16
   1. 발전행정론적 시각: 리그스의 프리즘모델 = 16
   2. 가치중립적 시각: 기관 간 통합성 기준 = 18
   3. 본서의 분석틀 = 25
 제2장 비교행정 연구방법론 = 37
  Ⅰ. 비교행정연구의 분석수준 = 37
   1. 국가수준 비교연구의 전제 = 37
   2. '국가' 단위 = 38
   3. 비교행정의 전형적 연구대상: 구조기능 = 40
   4. '공간'개념으로 국가 = 42
  Ⅱ. 비교연구의 논리 = 44
   1. 유형화 = 44
   2. 차이법과 일치법 = 45
  Ⅲ. 양적 방법 = 49
   1. 자료의 수집 = 49
   2. 양적 연구의 논리 = 51
  Ⅳ. 질적 연구방법 = 58
   1. 질적 연구의 필요성 = 58
   2. 사례연구 = 60
   3. 레긴의 질적 비교방법 = 63
  Ⅴ. 결론: 비교연구방법의 과학성 문제 = 65
 제3장 시장중심주의 모델: 미국 = 73
  Ⅰ. 개관 = 74
   1. 국가개황 = 74
   2. 거시환경 = 75
   3. 미국의 정신 = 76
  Ⅱ. 정치과정 = 78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 78
   2. 투입체제 - 정당과 로비 = 82
   3. 통제제도 = 92
  Ⅲ. 행정과정 = 96
   1. 행정조직구조 = 97
   2. 인사행정 = 107
   3. 재정분야 = 111
  Ⅳ. 거버넌스 = 113
   1. 지방자치와 참여 = 113
   2. 국가거버넌스와 행정개혁 = 115
  Ⅴ. 한국에의 시사점 = 120
 제4장 국가주의 모델: 프랑스 = 127
  Ⅰ. 개관 = 128
   1. 국가개황 = 128
   2. 거시환경 = 129
  Ⅱ. 정치과정 = 132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국가주의 모델 = 132
   2. 국민의사의 투입기구 = 136
   3. 의회 = 142
   4. 행정부와의 권력관계 = 147
   5. 입법과정에서 행정부가 차지하는 역할 = 150
   6. 국가수반: 대통령 = 152
   7. 통제계도 = 154
  Ⅲ. 행정과정 = 157
   1. 행정조직구조 = 158
   2. 공공서비스 제공기관 = 162
   3. 인사제도 = 164
   4. 예산 및 재무행정제도 = 170
  Ⅳ. 거버넌스 = 176
   1. 지방자치와 지방행정 = 176
   2. 국가거버넌스와 정부개혁 = 179
   3. 행정개혁의 실제 = 184
  Ⅴ. 결어: 한국과의 비교 = 186
제2편 상대적 통합모형
 제5장 관료국가: 일본 = 195
  Ⅰ. 개관 = 196
   1.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 196
   2. 거시환경 = 199
  Ⅱ. 정치과정 = 201
   1. 기본구조 = 201
   2. 공공부문의 규모 = 203
   3. 투입제도: 정당과 의회 = 204
   4. 일본의 천황 = 211
   5. 통제제도: 사법부 = 212
  Ⅲ. 행정과정 = 215
   1. 행정조직구조 = 215
   2. 인사행정제도 = 222
   3. 재무행정제도 = 224
  Ⅳ. 거버넌스체제 = 226
   1. 지방자치와 참여 = 226
   2. 국가거버넌스와 정부개혁 = 228
  Ⅴ. 한국과의 비교 = 237
 제6장 정당국가: 독일 = 247
  Ⅰ. 개관 = 248
   1. 국가개황 = 248
   2. 독일인의 특성 = 249
   3. 거시환정 = 251
  Ⅱ. 정치과정 = 253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 253
   2. 투입제도 = 257
   3. 통제제도 = 268
  Ⅲ. 행정과정 = 271
   1. 정부주도의 정책형성 = 272
   2. 부처조직 = 276
   3. 인사행정제도 = 281
   4. 재정 및 재무행정제도 = 286
  Ⅳ. 거버넌스 = 289
   1. 지방자치와 참여 = 290
   2. 거버넌스 = 292
   3. 행정개혁 = 295
  Ⅴ. 한국과의 비교 = 298
 제7장 의회주의 국가: 영국 = 307
  Ⅰ. 개관 = 308
   1. 국가개황 = 308
   2. 영국인 = 309
  Ⅱ. 정치과정 = 311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 312
   2. 공공부문의 규모 = 314
   3. 투입제도 = 316
   4. 통제제도 = 327
  Ⅲ. 행정과정 = 329
   1. 최고정책결정자: 수상 = 330
   2. 정부조직구조 = 336
   3. 인사행정체제 = 343
   4. 예산 및 재무행정제도 = 347
  Ⅳ. 거버넌스 = 349
   1. 지방자치 = 349
   2. 영국식 거버넌스 = 351
   3. 정부개혁 = 353
  Ⅴ. 한국과의 비교 = 359
제3편 완전통합모델
 제8장 공산주의 국가: 중국 = 367
  Ⅰ. 개관 = 368
   1. 국가개황 = 368
   2. 간추린 역사 = 369
   3. 문화적 특성: 이념적 성향 = 371
   4. 거시환경 = 374
  Ⅱ. 정치과정 = 376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 377
   2. 투입제도 = 385
   3. 통제제도 = 398
   4. 국가원수 = 401
  Ⅲ. 행정과정 = 403
   1. 중국공산당 우월체제 = 403
   2. 행정조직구조 = 404
   3. 인적자원 및 인사행정제도 = 413
   4. 예산 및 재무행정제도 = 420
  Ⅳ. 거버넌스 = 423
   1. 지방자치 = 424
   2. 거버넌스 = 433
  Ⅴ. 한국과의 비교 = 440
 제9장 종교국가: 사우디아라비아 = 449
  Ⅰ. 개관 = 450
   1. 국가개황 = 450
   2. 거시환경 = 451
  Ⅱ. 정치과정 = 455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 455
   2. 정치행위자 = 458
   3. 통제제도 = 464
  Ⅲ. 행정과정 = 467
   1. 왕실회의 = 467
   2. 내각회의 = 468
   3. 인사행정 = 472
   4. 예산 및 재무행정 = 475
  Ⅳ. 거버넌스 = 477
   1. 지방자치와 참여 = 477
   2. 거버넌스와 행정개혁 = 479
  Ⅴ. 한국과의 비교 = 481
제4편 비통합모델
 제10장 체제전환국: 러시아 = 491
  Ⅰ. 개관 = 492
   1. 국가개황 = 492
   2. 러시아 약사(略史) = 493
   3. 거시환경 = 495
  Ⅱ. 러시아의 정치과정 = 497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 497
   2. 투입제도 = 500
   3. 선거 = 502
   4. 입법부 = 504
   5. 통제제도 = 509
  Ⅲ. 행정과정 = 511
   1. 대통령 = 512
   2. 행정조직구조 = 517
  Ⅳ. 지방자치와 거버넌스 = 523
   1. 연방주체 종류 및 하부 행정단위 = 523
   2. 중앙ㆍ지방의 관계 변화 = 525
   3. 거버넌스 = 527
  Ⅴ. 국가체제의 전환 = 529
   1. 체제의 전환과 전환비용 = 529
   2. 민주주의 이행단계 = 530
   3. 러시아의 민주화 평가 = 531
  Ⅵ. 한국과의 비교 = 534
 제11장 정치실험국: 브라질 = 541
  Ⅰ. 개관 = 542
   1. 국가개황 = 542
   2. 브라질의 약사(略史) = 543
   3. 거시환경 = 544
  Ⅱ. 정치과정 = 546
   1. 정치행정체계의 기본구조 = 547
   2. 투입제도 = 551
   3. 통제제도 = 561
  Ⅲ. 행정과정 = 567
   1. 연방대통령 = 568
   2. 행정조직: 연방행정부 = 571
   3. 인사행정제도 = 574
   4. 예산 및 재무행정제도 = 577
  Ⅳ. 거버넌스체제 = 580
   1. 지방자치제도 = 580
   2. 브라질의 참여: 노동당과 참여예산제 = 581
   3. 거버넌스와 행정개혁 = 582
  Ⅴ. 한국과 브라질의 비교 = 586
 제12장 종합비교 = 593
  Ⅰ. 국가사회의 구성유형 = 593
  Ⅱ. 거시환경 = 596
  Ⅲ. 정치과정 = 598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 598
   2. 공공부문 비교 = 601
   3. 투입제도 = 603
   4. 통제제도 = 604
  Ⅳ. 행정과정 = 605
   1. 행정조직구조 = 605
   2. 인사행정제도 = 607
   3. 예산 및 재무행정제도 = 608
  Ⅴ. 거버넌스와 지방자치 = 609
   1. 지방자치와 참여 = 609
   2. 국가거버넌스 = 611
  Ⅵ. 비교행정학의 발전방향 = 613
   1. 기존 비교행정연구의 반성 = 613
   2. 우리의 과제 = 614
색인 = 61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