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비교행정연구의 기초
제1장 기초적 이해 = 3
Ⅰ. 비교행정론 무엇을, 왜 연구하는 학문인가 = 3
1. 비교행정이란 = 3
2. 비교행정연구의 필요성 = 4
3. 비교행정론의 유형 = 5
Ⅱ. 비교연구의 학문적 발달 = 7
1. 비교연구의 발달과정 = 7
2. 비교행정론의 연구경향 = 8
Ⅲ. 비교행정의 연구대상: 국가의 분류 = 13
1. 경제체제 기준 = 13
2. 정치체제 기준 = 14
3. 정치체세 유형론과 경제체제 유형론의 결합 = 15
Ⅳ. 비교연구의 학문적 발달 = 16
1. 발전행정론적 시각: 리그스의 프리즘모델 = 16
2. 가치중립적 시각: 기관 간 통합성 기준 = 18
3. 본서의 분석틀 = 25
제2장 비교행정 연구방법론 = 37
Ⅰ. 비교행정연구의 분석수준 = 37
1. 국가수준 비교연구의 전제 = 37
2. '국가' 단위 = 38
3. 비교행정의 전형적 연구대상: 구조기능 = 40
4. '공간'개념으로 국가 = 42
Ⅱ. 비교연구의 논리 = 44
1. 유형화 = 44
2. 차이법과 일치법 = 45
Ⅲ. 양적 방법 = 49
1. 자료의 수집 = 49
2. 양적 연구의 논리 = 51
Ⅳ. 질적 연구방법 = 58
1. 질적 연구의 필요성 = 58
2. 사례연구 = 60
3. 레긴의 질적 비교방법 = 63
Ⅴ. 결론: 비교연구방법의 과학성 문제 = 65
제3장 시장중심주의 모델: 미국 = 73
Ⅰ. 개관 = 74
1. 국가개황 = 74
2. 거시환경 = 75
3. 미국의 정신 = 76
Ⅱ. 정치과정 = 78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 78
2. 투입체제 - 정당과 로비 = 82
3. 통제제도 = 92
Ⅲ. 행정과정 = 96
1. 행정조직구조 = 97
2. 인사행정 = 107
3. 재정분야 = 111
Ⅳ. 거버넌스 = 113
1. 지방자치와 참여 = 113
2. 국가거버넌스와 행정개혁 = 115
Ⅴ. 한국에의 시사점 = 120
제4장 국가주의 모델: 프랑스 = 127
Ⅰ. 개관 = 128
1. 국가개황 = 128
2. 거시환경 = 129
Ⅱ. 정치과정 = 132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국가주의 모델 = 132
2. 국민의사의 투입기구 = 136
3. 의회 = 142
4. 행정부와의 권력관계 = 147
5. 입법과정에서 행정부가 차지하는 역할 = 150
6. 국가수반: 대통령 = 152
7. 통제계도 = 154
Ⅲ. 행정과정 = 157
1. 행정조직구조 = 158
2. 공공서비스 제공기관 = 162
3. 인사제도 = 164
4. 예산 및 재무행정제도 = 170
Ⅳ. 거버넌스 = 176
1. 지방자치와 지방행정 = 176
2. 국가거버넌스와 정부개혁 = 179
3. 행정개혁의 실제 = 184
Ⅴ. 결어: 한국과의 비교 = 186
제2편 상대적 통합모형
제5장 관료국가: 일본 = 195
Ⅰ. 개관 = 196
1.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 196
2. 거시환경 = 199
Ⅱ. 정치과정 = 201
1. 기본구조 = 201
2. 공공부문의 규모 = 203
3. 투입제도: 정당과 의회 = 204
4. 일본의 천황 = 211
5. 통제제도: 사법부 = 212
Ⅲ. 행정과정 = 215
1. 행정조직구조 = 215
2. 인사행정제도 = 222
3. 재무행정제도 = 224
Ⅳ. 거버넌스체제 = 226
1. 지방자치와 참여 = 226
2. 국가거버넌스와 정부개혁 = 228
Ⅴ. 한국과의 비교 = 237
제6장 정당국가: 독일 = 247
Ⅰ. 개관 = 248
1. 국가개황 = 248
2. 독일인의 특성 = 249
3. 거시환정 = 251
Ⅱ. 정치과정 = 253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 253
2. 투입제도 = 257
3. 통제제도 = 268
Ⅲ. 행정과정 = 271
1. 정부주도의 정책형성 = 272
2. 부처조직 = 276
3. 인사행정제도 = 281
4. 재정 및 재무행정제도 = 286
Ⅳ. 거버넌스 = 289
1. 지방자치와 참여 = 290
2. 거버넌스 = 292
3. 행정개혁 = 295
Ⅴ. 한국과의 비교 = 298
제7장 의회주의 국가: 영국 = 307
Ⅰ. 개관 = 308
1. 국가개황 = 308
2. 영국인 = 309
Ⅱ. 정치과정 = 311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 312
2. 공공부문의 규모 = 314
3. 투입제도 = 316
4. 통제제도 = 327
Ⅲ. 행정과정 = 329
1. 최고정책결정자: 수상 = 330
2. 정부조직구조 = 336
3. 인사행정체제 = 343
4. 예산 및 재무행정제도 = 347
Ⅳ. 거버넌스 = 349
1. 지방자치 = 349
2. 영국식 거버넌스 = 351
3. 정부개혁 = 353
Ⅴ. 한국과의 비교 = 359
제3편 완전통합모델
제8장 공산주의 국가: 중국 = 367
Ⅰ. 개관 = 368
1. 국가개황 = 368
2. 간추린 역사 = 369
3. 문화적 특성: 이념적 성향 = 371
4. 거시환경 = 374
Ⅱ. 정치과정 = 376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 377
2. 투입제도 = 385
3. 통제제도 = 398
4. 국가원수 = 401
Ⅲ. 행정과정 = 403
1. 중국공산당 우월체제 = 403
2. 행정조직구조 = 404
3. 인적자원 및 인사행정제도 = 413
4. 예산 및 재무행정제도 = 420
Ⅳ. 거버넌스 = 423
1. 지방자치 = 424
2. 거버넌스 = 433
Ⅴ. 한국과의 비교 = 440
제9장 종교국가: 사우디아라비아 = 449
Ⅰ. 개관 = 450
1. 국가개황 = 450
2. 거시환경 = 451
Ⅱ. 정치과정 = 455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 455
2. 정치행위자 = 458
3. 통제제도 = 464
Ⅲ. 행정과정 = 467
1. 왕실회의 = 467
2. 내각회의 = 468
3. 인사행정 = 472
4. 예산 및 재무행정 = 475
Ⅳ. 거버넌스 = 477
1. 지방자치와 참여 = 477
2. 거버넌스와 행정개혁 = 479
Ⅴ. 한국과의 비교 = 481
제4편 비통합모델
제10장 체제전환국: 러시아 = 491
Ⅰ. 개관 = 492
1. 국가개황 = 492
2. 러시아 약사(略史) = 493
3. 거시환경 = 495
Ⅱ. 러시아의 정치과정 = 497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 497
2. 투입제도 = 500
3. 선거 = 502
4. 입법부 = 504
5. 통제제도 = 509
Ⅲ. 행정과정 = 511
1. 대통령 = 512
2. 행정조직구조 = 517
Ⅳ. 지방자치와 거버넌스 = 523
1. 연방주체 종류 및 하부 행정단위 = 523
2. 중앙ㆍ지방의 관계 변화 = 525
3. 거버넌스 = 527
Ⅴ. 국가체제의 전환 = 529
1. 체제의 전환과 전환비용 = 529
2. 민주주의 이행단계 = 530
3. 러시아의 민주화 평가 = 531
Ⅵ. 한국과의 비교 = 534
제11장 정치실험국: 브라질 = 541
Ⅰ. 개관 = 542
1. 국가개황 = 542
2. 브라질의 약사(略史) = 543
3. 거시환경 = 544
Ⅱ. 정치과정 = 546
1. 정치행정체계의 기본구조 = 547
2. 투입제도 = 551
3. 통제제도 = 561
Ⅲ. 행정과정 = 567
1. 연방대통령 = 568
2. 행정조직: 연방행정부 = 571
3. 인사행정제도 = 574
4. 예산 및 재무행정제도 = 577
Ⅳ. 거버넌스체제 = 580
1. 지방자치제도 = 580
2. 브라질의 참여: 노동당과 참여예산제 = 581
3. 거버넌스와 행정개혁 = 582
Ⅴ. 한국과 브라질의 비교 = 586
제12장 종합비교 = 593
Ⅰ. 국가사회의 구성유형 = 593
Ⅱ. 거시환경 = 596
Ⅲ. 정치과정 = 598
1. 정치행정체제의 기본구조 = 598
2. 공공부문 비교 = 601
3. 투입제도 = 603
4. 통제제도 = 604
Ⅳ. 행정과정 = 605
1. 행정조직구조 = 605
2. 인사행정제도 = 607
3. 예산 및 재무행정제도 = 608
Ⅴ. 거버넌스와 지방자치 = 609
1. 지방자치와 참여 = 609
2. 국가거버넌스 = 611
Ⅵ. 비교행정학의 발전방향 = 613
1. 기존 비교행정연구의 반성 = 613
2. 우리의 과제 = 614
색인 = 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