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57camcc2200397 c 4500 | |
001 | 000045670794 | |
005 | 20140327215548 | |
007 | ta | |
008 | 111010s2011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58329862 ▼g 93320 | |
035 | ▼a (KERIS)REQ000020640252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36 ▼2 23 |
085 | ▼a 336 ▼2 DDCK | |
090 | ▼a 336 ▼b 2011z5 | |
100 | 1 | ▼a Gruber, Jonathan ▼0 AUTH(211009)101032 |
245 | 1 0 | ▼a 재정학과 공공정책 / ▼d Jonathan Gruber 지음 ; ▼e 김홍균 [외] 옮김 |
246 | 1 9 | ▼a Public finance and public policy ▼g (3rd ed.) |
250 | ▼a 제3판 |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1 | |
300 | ▼a xxv, 851 p. : ▼b 삽화, 도표 ; ▼c 26 cm | |
500 | ▼a 공역자: 명재일, 문형표, 이인실, 김상겸 | |
504 | ▼a 참고문헌(p. 846-851)과 색인수록 | |
650 | 0 | ▼a Finance, Public |
650 | 0 | ▼a Fiscal policy |
650 | 0 | ▼a Public welfare ▼x Finance |
650 | 0 | ▼a Taxation |
700 | 1 | ▼a 김홍균, ▼e 역 ▼0 AUTH(211009)99079 |
700 | 1 | ▼a 명재일, ▼e 역 ▼0 AUTH(211009)2744 |
700 | 1 | ▼a 문형표, ▼e 역 |
700 | 1 | ▼a 이인실, ▼e 역 |
700 | 1 | ▼a 김상겸, ▼e 역 ▼0 AUTH(211009)62902 |
900 | 1 0 | ▼a 그루버, 조나단,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6 2011z5 | Accession No. 111643662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15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36 2011z5 | Accession No. 12122929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1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36 2011z5 | Accession No. 111643662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15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36 2011z5 | Accession No. 12122929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16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MIT 경제학과 교수 조나단 그루버의 <재정학과 공공정책> 제3판. 저자는 이 책에서 재정학이 무엇인지 질문하면서, 재정학이 네 가지 질문, 즉 정부는 언제 시장에 개입해야 하는지,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지, 이러한 정부의 개입이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그리고 정부는 왜 특정한 개입 수단을 선택하는지에 대한 답을 구하는 문제로 귀결된다고 말한다.
엄밀한 이론, 최신의 실증적 증거, 풍부한 정책적 응용을 제시한다. 아울러 주요 이론적 개념이 논의될 때마다 해당 개념의 정책적 의미를 보여 주는 사례를 예시하였고, 이론에서 강조하는 핵심적 관계에 대한 증거자료도 가능한 충실히 제시하였다. 덧붙여,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역자들은 책 뒷부분에 부록으로 국내 사례를 소개하였다.
2007년 시작된 글로벌 경제위기는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각국 정부들은 글로벌 경제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정부 주도의 강도 높은 공공정책을 계속해서 시행하고 있다. 저자인 Gruber는 이 책에서 재정학이 무엇인지 질문하면서, 재정학이 네 가지 질문, 즉 정부는 언제 시장에 개입해야 하는지,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지, 이러한 정부의 개입이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그리고 정부는 왜 특정한 개입 수단을 선택하는지에 대한 답을 구하는 문제로 귀결된다고 말한다. 이 책은 엄밀한 이론, 최신의 실증적 증거, 풍부한 정책적 응용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재정학의 주요 연구 결과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재정학의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주요 이론적 개념이 논의될 때마다 해당 개념의 정책적 의미를 보여 주는 사례를 예시하였고, 이론에서 강조하는 핵심적 관계에 대한 증거자료도 가능한 충실히 제시하였다. 덧붙여,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역자들은 책 뒷부분에 부록으로 국내 사례를 소개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조나단 그루버(지은이)
1992년도부터 현재까지 MIT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미경제연구연구소(NBER) 보건 프로그램의 책임자 겸 미국보건경제학 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미국의학연구소, 미국예술과학회, 사회보험학회, 계량경제 학회 등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Gruber 박사는 그동안 180편 이상의 연구논문 을 발표했고 6권의 연구논문집을 편집하였다. 아울러 학부 재정학 교재의 세계적 베스트셀러인 재정학과 공공정책의 저자이며, 그래픽 소설인 Health Care Reform, Jump-Starting America: How Breakthrough Science Can Revive Economic Growth and the American Dream(Simon Johnson과 공저)을 집필하였다. 2006년에는 40세 이하 경제학자에게 수여하는 최고 보건경제학자로 선정되었다. 1997~1998년에는 경제정책 담당 차관보로 미국 재무부에서 복무하였고 2003~2006년에는 매사추세츠주가 야심 차게 추진했던 보건개혁 정책의 핵심 역 할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2006년에는 보건개혁 정책의 실무기관인 보건커넥터 위원회(Health Connector Board)의 창립위원이 되었다. 2009~2010년에는 오바마 행정부의 기술자문위원을 역임하였고 ‘환자보호 및 진료비 적정부담법(ACA, 일명 오바마 케어)’의 입법에도 참여하였다. 2011년에는 온라인 저널인 Slate에서 ‘우리 시대의 가장 혁신적이고 실용적인 25인’으로, 2006년과 2012년에는 Modern Healthcare Magazine에서 선정하는 미국 보건관리 분야의 권위자 100인에 선정된 바 있다. 2020년에는 탁월한 학자들에게 수여되는 구겐하임 펠로십(Guggenheim Fellowship)을 수상하였다.
문형표(옮긴이)
연세대학교 경제학 학사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경제학 박사 KDI 선임연구위원 한국사회보장학회 회장 보건복지부장관 등 역임 『인구고령화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대응과제』, 『노후소득보장체계구축에 관한 종합연구』, 『재정지출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연구』 등 재정·사회복지분야 다수 연구 이메일:moonhp@kdi.re.kr
이인실(옮긴이)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교수이자 한국경제학회 제49대 회장이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를 취득한 후 하나경제연구소 금융조사팀장, 한국경제연구 조세재정연구센터장, 국회예산정책처 초대경제분석실장, 제12대 통계청장을 지냈다. 한국경제신문과 동아일보에 정기적으로 칼럼을 게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2030 한국경제론』(2017) 등이 있다.
명재일(옮긴이)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경제학 석사 미국 뉴욕시립대학교 대학원(CUNY-GSUC) 경제학 박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책임연구원 및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 책임연구위원 역임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초빙교수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및 상경대학 강사 의료전달체계, 의료재정 및 의료자원, 국민의료비, 질병부담 관련 논문 및 보고서 다수 이메일:bluejay5627@ewha.ac.kr
김홍균(옮긴이)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경제학 박사 국회예산정책처 자문위원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학장 및 경제대학원 원장 역임 국민경제자문위원회 민생분과 의장 역임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산업분과 위원장 역임 현재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김상겸(옮긴이)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경제학 박사 한 국개발연구원(KDI), 한국경제연구원(KERI) 연구위원 기 획재정부 세제발전심의위원, 조세특례심의위원, 입법고시2차, 공인회계사, 세무사 시험 출제위원, 한국재정학회 이사, Journal of Korea Trade 편집위 원 등 역임 현재 단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부 서론 및 배경지식 제1장 재정학 연구의 목적 1.1 재정학의 4대 질문 = 5 정부는 언제 시장에 개입해야 하는가? = 5 응용사례 _ 1989∼1991년의 홍역 창궐 = 7 정부는 어떤 방식으로 개입하는가? = 9 대안적인 개입 수단의 효과는 무엇인가? = 10 응용 사례 _ 의회예산국 : 정부의 점수기록원 = 11 정부가 특정 정책을 수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12 1.2 왜 재정학을 연구하는가? 미국 및 전 세계 국가의 정부에 관한 사실 = 13 정부 규모의 확대 = 13 분권화 = 15 지출, 조세, 적자 및 채무 = 15 정부부채 = 15 재정 지출의 분포 = 17 조세수입원의 분포 = 20 규제자로서의 정부 역할 = 21 1.3 재정학의 쟁점: 공적연금제도, 의료보장제도와 교육제도에 관한 정책 논쟁 = 22 사회보장연금 = 23 의료보장 = 24 교육 = 24 1.4 결론 = 25 요약 = 26 연습문제 = 26 심화 연습문제 = 27 제2장 재정학의 이론적 도구 2.1 예산제약하의 효용극대화 과제 = 30 선호와 무차별곡선 = 31 선호체계와 효용함수 = 33 예산제약 = 36 효용함수와 예산제약선의 결합 : 제약하에서의 선택 = 37 가격 변화의 효과 : 대체효과 및 소득효과 = 39 2.2 분석도구의 적용 : TANF와 여성가구주의 노동공급행태 = 42 예산제약선의 식별 = 43 예산제약에 대한 TANF의 효과 = 43 2.3 균형과 사회후생 = 49 수요곡선 = 49 공급곡선 = 51 균형 = 53 사회적 효율 = 54 경쟁적 균형과 사회적 효율의 극대화 = 56 사회적 효율에서 사회적 후생으로 : 형평의 역할 = 58 형평성 기준의 선택 = 60 2.4 TANF의 급여감축이 후생에 미치는 효과 = 61 2.5 결론 = 63 요약 = 63 연습문제 = 64 심화 연습문제 = 65 부록 : 효용극대화의 수학 = 66 제3장 재정학의 실증적 도구 3.1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 = 70 문제점 = 71 3.2 임의시행을 통한 인과성의 추정 = 72 해결책 : 임의시행 = 73 편의의 문제 = 74 ERT에 대한 임의시행 = 75 TANF에 대한 임의시행 = 76 임의시행은 완전한가? = 76 3.3 실제 자료를 통한 임의성 추정 : 관찰자료 = 77 시계열분석 = 78 횡단면 회귀분석 = 81 준실험 = 86 구조적 모형화 = 90 3.4 결론 = 91 요약 = 92 연습문제 = 92 심화 연습문제 = 93 부록 : 횡단면 회귀분석 = 95 제4장 예산분석과 적자재정 4.1 정부 예산 = 101 최근의 재정적자 = 102 예산 과정 = 103 응용사례 _ 적자를 억제하려는 노력들 = 104 주정부 수준에서의 예산정책과 재정적자 = 106 4.2 정부 재정상태의 측정 : 대안적 접근 방법 = 106 실질 대 명목 = 106 표준화 재정수지 = 108 현금 대 자본회계 = 110 정태적 대 동태적 예산회계제도 = 111 4.3 현재의 부채오 재정적자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장기적 관점 = 112 배경 : 현재할인가치 = 112 현재가치가 무의미할 수도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112 장기 정부 예산의 또 다른 측정법 = 114 미국 정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 119 응용사례 _ 2001년의 재무적 속임수들 = 121 4.4 왜 우리는 정부의 재정 상황에 대해 걱정하는가? = 122 정부 정책의 거시경제적 효과 : 단기 대 장기 = 122 배경 : 저축과 경제성장 = 123 연방예산, 이자율, 그리고 경제성장 = 124 세대 간 형평성 = 126 4.5 결론 = 127 요약 = 128 연습문제 = 128 심화 연습문제 = 129 제2부 외부효과와 공공재 제5장 외부효과 : 문제와 해결 방안 5.1 외부효과의 이론적 측면 = 135 생산의 부정적 외부효과 = 136 소비의 부정적 외부효과 = 138 응용사례 _ SUV 차량의 외부효과 = 139 긍정적 외부효과 = 140 5.2 부정적 외부효과에 대한 민간부문 해결 방안 = 142 해결 방안 = 142 코우즈 해결 방안의 문제점 = 145 5.3 외부효과의 공공부문 해결책 = 147 교정적 조세 = 148 보조금 = 149 규제 = 150 5.4 외부효과 문제에 대한 접근 방법으로서 가격과 양의 구분 = 150 기본 모형 = 151 모형 내에서의 가격규제(조세)와 수량규제 = 153 감축비용이 서로 다른 다수의 기업 = 153 감축비용의 불확실성 = 156 5.5 결론 = 159 요약 = 160 연습문제 = 160 심화 연습문제 = 161 제6장 외부효과 사례분석 : 환경과 건강 분야에서의 외부효과 6.1 산성비 = 164 산성비의 피해 = 164 산성비 규제의 역사 = 165 실증적 증거 _ 미립자가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의 추정 = 166 대기정화법의 시행은 성공적이었는가? = 169 6.2 지구온난화 = 169 응용사례 _ 몬트리올 의정서 = 171 교토협약 = 172 배출권 거래제로 인해 교토협약은 보다 비용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을 것인가? = 173 미래의 전망 = 176 응용사례 _ 의회, 지구온난화 문제와 씨름하다 = 177 6.3 흡연의 경제학 = 180 흡연의 외부효과 = 181 외부효과와 내부효과 = 185 6.4 다른 중독행위의 경제학 = 189 음주 = 189 불법마약 = 190 응용사례 _ 비만에 대한 공공정책 = 191 요약 = 193 6.5 결론 = 194 요약 = 194 연습문제 = 194 심화 연습문제 = 195 제7장 공공재 7.1 공공재의 최적공급 = 198 사유재의 최적공급 = 199 공공재의 최적공급 = 202 7.2 민간부문에서의 공공재 공급 = 204 민간부문의 과소공급 = 204 응용사례 _ 현실에서의 무임승차자 문제 = 205 민간부문 공급자는 무임승차자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까? = 206 응용사례 _ 상업개선지구 = 207 민간부문이 공공재를 제공할 때 어떤 경우에 무임승차자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까? = 208 7.3 공공재의 공공부문 생산 = 211 공공부문 제공에 대한 민간의 반응 : 구축의 문제 = 211 공공재의 비용과 편익의 측정 = 213 실증적 증거 _ 구축효과의 측정 = 214 공공재에 대한 선호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 215 7.4 결론 = 216 요약 = 216 연습문제 = 217 심화 연습문제 = 217 부록 : 공공재 제공의 수학 = 219 제8장 비용-편익분석 8.1 공공사업의 비용 측정 = 225 사례 = 225 현재 비용의 측정 = 226 미래 비용의 측정 = 227 8.2 공공사업의 편익 측정 = 229 통근시간 절감의 가치 평가 = 229 응용사례 _ 조건부가치 평가법의 문제점 = 231 실증적 증거 _ 시간 절약의 가치 측정 = 233 구조 가능한 생명의 가치 측정 = 233 응용사례 _ 생명의 가치 평가 = 234 미래 편익의 할인 = 239 비용-효과분석 = 239 8.3 비용과 편익의 비교 = 240 비용-편익분석의 다른 쟁점 = 241 8.4 결론 = 242 요약 = 243 연습문제 = 243 심화 연습문제 = 244 제9장 정치경제학 9.1 공공재 공급 수준에 대한 전원합의 = 249 린달가격 = 249 린달가격의 문제점 = 251 9.2 개인 선호 취합의 메커니즘 = 253 응용사례 _ 미국의 직접민주주의 = 253 다수결 투표제 : 적절히 작동하는 경우 = 254 다수결 투표제 : 적절히 작동하지 않는 경우 = 256 애로우의 불가능성 정리 = 257 선호 제약을 통한 불가능성 문?의 해결 = 258 중위투표자의 정리 = 260 중위투표자 결과의 잠재적 비효율성 = 260 요약 = 261 9.3 대의민주주의 = 262 득표를 극대화하려는 정치가들은 중위투표자를 대표한다 = 262 중위투표자 모형의 가정 = 263 로비 = 265 응용사례 _ 미국의 농장정책 = 266 중위투표자 모형의 증거 : 대의 민주주의의 경우 = 268 실증적 증거 _ 중위투표자 모형에 대한 시험 = 269 9.4 공공선택이론 : 정부실패의 기초 = 270 규모를 극대화하려는 관료주의 = 270 민영화와 관련된 문제들 = 272 응용사례 _ 외부위탁의 문제 : 비경쟁적 입찰의 경우 = 273 전체주의 국가이론 : 리바이어던 이론 = 274 부패 = 275 응용사례 _ 정부의 부패 = 275 실증적 증거 _ 정부실패와 경제성장 = 278 정부실패의 함의 = 279 9.5 결론 = 279 요약 = 280 연습문제 = 280 심화 연습문제 = 281 제10장 주정부와 지방정부 지출 10.1 미국과 세계 각국의 재정연방주의 = 285 주정부 및 지방정부의 수입과 지출 = 286 세계 각국의 재정연방주의 = 287 10.2 최적 재정연방주의 = 288 티부 모형 = 289 티부 모형의 문제점 = 291 티부 모형의 증거 = 293 최적 재정연방주의 = 295 실증적 증거 _ 캘리포니아 주 발의안 13호에 나타난 주택 자본화의 증거 = 296 10.3 지역 간 재분배 = 297 도와주어야 하는가? = 298 재분배의 수단 : 교부금 = 299 시행 중인 재분배 정책 : 학교재정평준화 = 304 실증적 증거 _ 끈끈이 효과 = 305 응용사례 _ 학교재정평준화와 재산세의 제한 : 캘리포니아 주의 경우 = 307 10.4 결론 = 308 요약 = 308 연습문제 = 309 심화 연습문제 = 310 제11장 교육 11.1 정부는 교육에 왜 개입해야 하는가? = 316 생산성 = 316 시민권 = 317 신용시장의 실패 = 317 가계효용극대화 실패 = 318 분배 = 318 11.2 정부는 교육에 어떻게 개입하는가? = 318 무상 공교육과 구축효과 = 319 구축효과의 해결 방안 : 바우처 = 321 교육 바우처의 문제점 = 324 11.3 교육시장경쟁에 대한 증거 = 328 바우처의 직접 경험 = 328 공립학교 선택에 대한 경험 = 329 실증적 증거 _ 바우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추정 결과 = 329 공립학교에 있어서 유인정책에 대한 경험 = 330 바우처와 학교 선택의 하한선 = 331 11.4 교육수익 측정 = 332 교육 수준이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 332 다른 부문들에 대한 교육 수준의 효과 = 334 실증적 증거 _ 교육수익 추정과 선별 모형으로서의 증거 = 334 학교 질적 수준의 효과 = 335 11.5 고등교육에서 정부의 역할 = 336 실증적 증거 _ 학교의 질적 수준 효과에 대한 추정 결과 = 336 현재 정부의 역할 = 337 시장실패는 무엇이고 어떻게 해결되어야 하나? = 338 11.6 결론 = 339 요약 = 340 연습문제 = 340 심화 연습문제 = 341 제3부 사회보험과 소득재분배 제12장 사회보험 : 정부의 새로운 역할 12.1 사회보험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 347 보험이란? = 347 소비자들은 왜 보험을 필요로 하는가? = 348 기대효용 모형 = 349 12.2 왜 사회보험이 필요한가? 정보의 비대칭 및 역선택 = 352 정부의 비대칭 = 352 완전정보의 예 = 353 정보 비대칭의 예 = 353 역선택의 문제 = 355 정보 비대칭은 반드시 시장실패를 야기하는가? = 356 응용사례 _ 역선택과 의료보험의 '죽음의 악순환' = 357 정부는 역선택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는가? = 358 12.3 보험시장에 대한 정부 개입의 다른 이유 = 359 외부효과 = 359 관리비용 = 360 소득재분배 = 360 가부장적 정부 = 360 응용사례 _ 홍수보험과 선한 사마리아인의 딜레마 = 361 12.4 사회보험 대 자기보험 : 소비평탄화의 정도는? = 363 예 : 실업보험 = 364 사회보험의 소비평탄화 역할에 대한 교훈 = 367 12.5 보험의 문제 : 도덕적 해이 = 368 응용사례 _ 근로자 상해 평가의 문제점 = 369 도덕적 해이의 결정요인은? = 370 도덕적 해이는 다차원적이다 = 370 도덕적 해이의 결과 = 371 12.6 종합적 논의 : 적정 사회보험 = 372 12.7 결론 = 373 요약 = 373 연습문제 = 374 심화 연습문제 = 374 부록 : 기대효용의 수학적 모형 = 377 제13장 사회보장연금 13.1 사회보장연금은 무엇이며, 어떠한 기능을 하는가? = 383 세부 내용 = 383 응용사례 _ 왜 35년인가? = 384 사회보장연금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 387 응용사례 _ 이다 메이 풀러 = 388 사회보장연금의 소득재분배 기능은? = 390 13.2 사회보장연금의 소비평탄화 편익 = 392 사회보장연금의 이론적 근거 = 393 사회보장연금은 소비를 평탄화하는가? = 394 사회보장연금과 민간저축 = 394 노인의 생활 수준 = 395 13.3 사회보장연금과 은퇴 = 396 이론 = 396 실증적 증거 _ 사회보장연금의 저축에 대한 구축효과의 추정 = 397 증거 = 397 응용사례 _ 잠재적 사회보장세와 은퇴결정 = 401 시사점 = 402 13.4 사회보장연금의 개혁 = 403 1차 개혁 : 그린스펀 위원회 = 404 응용사례 _ 사회보장연금기금과 국민저축 = 404 점진적 개혁 = 405 근본적 개혁 = 408 응용사례 _ 401(K) 제도와 자사주식 = 411 응용사례 _ 사회보장연금의 혼합적 개혁 방안 = 413 13.5 결론 = 414 요약 = 414 연습문제 = 414 심화 연습문제 = 416 제14장 실업보험, 장애보험, 상해보상제도 14.1 실업보험, 장애보험 및 상해보상제도의 제도적 특성 = 421 실업보험의 제도적 특성 = 421 장애보험의 제도적 특성 = 423 근로자 상해보상제도의 제도적 특성 = 424 실업보험, 장애보험 및 상해보상제도의 비교 = 425 응용사례 : 사회보험급여의 지급기간에 대한 국제 비교 = 426 14.2 사회보험제도의 소비평탄화 효과 = 427 14.3 사회보험제도의 도덕적 해이 효과 = 428 실업보험의 도덕적 해이 효과 = 429 장애보험의 도덕적 해이에 대한 증거 = 431 실증적 증거 _ 실업보험의 도덕적 해이 효과 = 432 상해보상의 도덕적 해이에 대한 증거 = 433 실증적 증거 _ 장애보험의 도덕적 해이 효과 = 434 실증적 증거 _ 상해보상제도에 대한 Krueger의 연구 = 435 14.4 사회보험이 기업에 주는 편익과 비용 = 436 실업보험의 부분경험료율 제도의 해고에 대한 효과 = 436 부분경험료율 제도의 '편익' = 438 응용사례 _ 부분경험료율 제도의 남용사례 = 439 근로자 상해보상제도와 기업 = 440 14.5 제도개혁에 대한 시사점 = 440 급여 수준의 관대성 = 441 표적화 = 441 경험료율 제도 = 441 근로자의 자가보험 = 442 응용사례 _ 실업보험의 개혁 = 442 14.6 결론 = 443 요약 = 443 연습문제 = 444 심화 연습문제 = 445 부록 : 준실험분석 = 446 제15장 의료보험 Ⅰ : 의료경제학과 민영 의료보험 15.1 미국 의료체계의 개관 = 451 의료보험 작동원리에 대한 기초적 논의 = 451 민영보험 = 453 메디케어 = 457 메디케이드 = 157 TRICARE/CHAMPVA = 458 의료보험 미적용자 = 158 실증적 증거 _ 의료보험과 직장이동성 = 461 15.2 의료보험의 급여 범위 = 462 의료보험이 환자에게 제공하는 소비평탄화의 편익 = 463 소비자의 도덕적 해이 비용 = 464 응용사례 _ 텍사스 주 맥앨런 카운티에서 일어난 일 = 467 의료 수요는 얼마나 탄력적일까? RAND 의료보험 실험 = 469 실증적 증거 _ 의료 수요의 탄력성 추정 = 470 최적 의료보험 = 471 왜 미국의 의료보험은 지나치게 관대한 급여를 제공하는가? = 472 응용사례 _ 건강저축계좌 = 474 15.3 의료제공자에 대한 보상 수준은 얼마나 높아야 하는가? = 476 관리의료와 사전적 상환제도 = 477 관리의료의 영향 = 479 어떤 진료비 지불제도를 사용해야 하는가? = 480 15.4 결론 = 480 요약 = 481 연습문제 = 481 심화 연습문제 = 482 제16장 의료보험 Ⅱ : 메디케어, 메디케이드와 의료개혁 16.1 저소득층 모자를 위한 메디케이드 프로그램 = 487 메디케디케이드의 작동 방식 = 488 메디케이드의 자격 요건 = 488 메디케이드의 급여 범위 = 489 진료비 상환 수준 = 489 16.2 메디케이드 제도의 효과 = 489 메디케이드의 건강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틀 = 490 메디케이드가 건강 수준에 미친 효과에 관한 증거 = 491 실증적 증거 _ 주정부의 메디케이드 확대와 메디케이드 프로그램의 효과 추정 = 493 16.3 메디케어 프로그램 = 494 메디케어의 작동 방식 = 494 응용사례 _ 메디케어의 약제급여 논쟁 = 496 16.4 메디케어 프로그램의 효과 = 499 사전적 고정진료비 지불제도 = 499 pps로의 이행에 대한 경험적 증거 = 500 pps의 문제점 = 500 교훈 : 부분적 개혁의 어려움 = 501 메디케어 관리의료 = 502 메디케어는 완전선택으로 가야 하는가? 보험료 지원제도 = 505 응용사례 _ 메디케어의 보험료 지원제도 = 505 메디케어 보장 범위의 갭 = 507 16.5 장기요양 서비스 = 508 장기요양의 재원 조달 = 508 16.6 미국의 의료개혁으로부터 얻는 교훈 = 509 증가하는 의료비 = 510 의료보험 미적용자 문제 = 511 국민의료보험제도 = 512 응용사례 _ 점진적 보편주의에 관한 매사추세츠 주의 실험 = 514 2009년의 개혁 노력 = 516 16.7 결론 = 518 요약 = 518 연습문제 = 519 심화 연습문제 = 520 제17장 소득분배와 복지제도 17.1 미국의 소득분배 현황 = 525 상대적 소득불평등 = 525 절대적 결핍과 빈곤율 = 526 응용사례 _ 빈곤선 측정의 문제점 = 527 상대적 결핍과 절대적 결핍 중 어느 것이 중요한가? = 529 17.2 미국의 복지정책 = 530 현금복지제도 = 531 현물복지제도 = 532 17.3 복지정책의 도덕적 해이 비용 = 534 자산조사형 이전제도의 도덕적 해이 효과 = 535 급여 감액률 인하를 통한 도덕적 해이 문제의 해결 = 537 재분배제도의 '철의 삼각형' = 539 17.4 복지제도의 도덕적 해이의 감축 = 539 선별적 복지제도로의 전환 = 539 '식별 수단'의 활용 = 542 응용사례 _ 식별 수단의 예 = 544 외부 선택 기회의 확대 = 545 실증적 증거 _ 캐나다의 자활사업 = 547 17.5 복지개혁 = 551 복지개혁에 따른 변화 = 551 1996년 복지개혁의 효과 = 551 실증적 증거 _ 복지개혁의 효과에 대한 추정 = 552 17.6 결론 = 553 요약 = 554 연습문제 = 554 심화 연습문제 = 55 제4부 조세이론과 실제 제18장 미국과 세계 각국의 조세제도 18.1 세금의 종류 = 563 소득세 = 563 개인소득세 = 563 법인세 = 563 부유세 = 563 소비세 = 563 세계 각국의 조세 = 564 18.2 미국의 개인소득세 구조 = 566 과세소득의 계산 = 566 세율과 납세액 = 567 응용사례 _ 대체최소세(AMT) 시한폭탄의 도래 = 569 18.3 조세 공평성의 측정 = 570 평균세율과 한계세율 = 571 수직적 형평성과 수평적 형평성 = 571 수직적 형평의 측정 = 573 응용사례 _ 조세공평성 측정의 정치적 과정 = 573 18.4 소득세원의 정의 = 574 헤이그 - 사이먼의 포괄적 소득에 대한 정의 = 575 지불 능력의 고려에 대한 문제 = 576 소득 발생을 위한 비용의 문제 = 576 응용사례 _ 무엇이 적당한 사업공제에 해당하는가? = 577 18.5 헤이그-사이먼 이론 적용의 문제 : 외부성과 공공재 논리 = 579 자선기부금 = 579 지출구축 대 지출구인 : 조세보조금 = 580 소비자 주권 대 불완전정보 = 581 주택 = 582 실증적 증거 _ 주택 보유의 사회적 편익 = 584 소득공제 대 세액공제 = 585 응용사례 _ 조세환급 논쟁 = 587 핵심사항 : 조세 지출 = 588 18.6 적정 과세 단위 = 590 '결혼세'의 문제점 = 590 현실에서의 결혼세 = 592 18.7 결론 = 594 요약 = 594 연습문제 = 595 심화 연습문제 = 596 제19장 조세 형평성의 함의 : 조세귀착 19.1 조세귀착의 세 가지 원리 = 599 법적인 납세자와 실질적 조세부담자는 다를 수 있다 = 599 시장에서 보여지는 세금부과는 실제 세금부담의 분배와는 관계가 없다 = 602 비탄력적인 쪽은 세금을 부담하고, 탄력적인 쪽은 세금을 회피한다 = 604 재확인 : 조세귀착은 양이 아니라 가격에 대한 것 = 608 19.2 조세귀착의 확장 = 608 요소시장에서의 조세귀착 = 609 불완전경쟁시장에서의 조세귀착 = 612 균형예산 조세귀착 = 614 19.3 일반균형 조세귀착 = 615 식당세의 효과 : 일반균형의 예 = 615 일반균형 조세귀착에서 고려해야 할 이슈 = 617 19.4 미국에서의 조세귀착 = 620 의회예산국에서 적용한 가정 = 620 실증적 증거 _ 물품세 부담의 귀착 = 621 의회예산국의 귀착분석 결과 = 621 현재소득 대 평생소득에 대한 조세귀착 = 624 19.5 결론 = 625 요약 = 625 연습문제 = 625 심화 연습문제 = 626 부록 : 조세귀착의 공식들 = 628 제20장 조세의 비효율성과 최적조세의 의미 20.1 세제와 경제적 효율성 = 632 그림을 통한 접근 방법 = 632 조세의 비효율성은 탄력도에 의해 결정된다 = 634 응용사례 _ 조세회피(절세)의 실사례 = 635 사중손실의 결정요인 = 636 사중손실과 효율적 세제의 고안 = 638 응용사례 _ 무선정보통신에 대한 과세에 따른 사중손실 = 643 20.2 최적상품세 = 643 램지 조세 : 최적상품세 이론 = 644 역탄력성 법칙 = 645 램지 모형에서 형평성의 의미 = 645 응용사례 _ 파키스탄의 가격개혁 = 646 20.3 최적소득세 = 649 간단한 예 = 650 인지행위적 효과를 고려한 일반적인 모형 = 650 보기 = 653 20.4 조세-편익 연계와 사회보장 프로그램의 재원 조달 = 654 모형 = 654 조세-편익 연계 분석과 관련된 여러 가지 쟁점 = 656 실증적 증거 _ 특정집단 고용주 의무편익제도 = 658 20.5 결론 = 659 요약 = 659 연습문제 = 659 심화 연습문제 = 660 부록 : 최적과세의 수학적 도출 = 662 제21정 노동공급에 대한 세금 21.1 과세와 노동공급 : 이론 = 669 기본 이론 = 669 이론의 한계 : 노동시간에 대한 제약과 초과근무수당 규정 = 671 21.2 소득세와 노동공급 : 증거 = 672 실증적 증거 _ 노동공급탄력도 추정 = 673 기존 연구들의 한계 = 674 21.3 노동공급을 장려하는 조세정책 : 근로장려세액공제 제도 = 675 근로장려세액공제제도의 배경 = 675 근로장려세액공제제도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 : 이론 = 677 근로장려세액공제제도가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 : 증거 = 678 실증적 증거 _ 근로장려세액공제제도가 한부모 여성가구주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 = 681 증거의 요약 = 682 응용사례 _ 근로장려세액공제제도 개혁 = 682 21.4 자녀보육의 조세 우대와 노동공급에 대한 효과 = 684 자녀보육의 세금 우대 = 684 실증적 증거 _ 자녀보육비용이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효과 = 685 조세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조건 = 686 두 방법에 대한 비교 = 687 21.5 결론 = 688 요약 = 689 연습문제 = 689 심화 연습문제 = 690 제22장 저축에 대한 세금 22.1 과세와 저축 : 이론과 증거 = 694 전통적 이론 = 694 증거 : 세후이자율이 저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697 물가상승과 저축에 대한 과세 = 699 22.2 저축의 대안적인 모형 = 701 예비적 저축 모형 = 701 자기통제 모형 = 702 실증적 증거 _ 사회보장과 개인저축 = 703 22.3 은퇴계정에 대한 세금 우대 = 704 은퇴저축 장려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세금보조정책 = 704 세금보조는 왜 저축수익률을 증가시키는가? = 706 세금보조된 은퇴저축들의 이론적 효과 = 708 응용사례 _ Roth IRA = 710 대안적인 모형의 의미 = 714 개인 대 국가 저축 = 714 세금유인과 저축에 대한 증거 = 715 실증적 증거 _ 세금유인이 저축에 미치는 효과 추정 = 716 22.4 결론 = 717 요약 = 718 연습문제 = 718 심화 연습문제 = 719 제23장 위험 감수와 부에 대한 조세 23.1 과세와 위험 감수 = 723 기본적인 재정투자 모형 = 723 실세계의 복잡성 = 724 과세와 위험 감수에 대한 증거 = 726 노동투자사례 = 726 23.2 자본이득세 = 727 현행 세제하에서의 자본이득 = 727 자본이득에 대한 세금 우대 논쟁 = 729 자본이득의 세금 우대에 반한 논쟁 = 733 23.3 양도세 = 734 왜 부에 세금을 부과하는가? 유산세 찬성 논점 = 735 유산세 반대 논점 = 736 23.4 재산세 = 739 누가 재산세를 부담하는가? = 740 재산세 유형 = 742 응용사례 _ 기업에 대한 재산세 우대 = 742 23.5 결론 = 744 요약 = 745 연습문제 = 745 심화 연습문제 = 746 제24장 법인세 24.1 법인기업은 무엇이며 왜 과세하는가? = 749 소유 대 경영 = 750 응용사례 _ 경영자 보수와 대리인 문제 = 751 기업 재무조달 = 753 왜 법인세가 존재하는가? = 754 24.2 법인세의 구조 = 755 수입 = 756 비용 = 756 응용사례 : 경제적 감가상각은 무엇인가? PC의 사례 = 757 법인세율 = 758 투자세액공제 = 759 24.3 법인세 귀착 = 759 24.4 투자에 대한 법인세의 결과 = 760 법인세의 이론적 분석과 투자결정 = 760 음(-)의 실효세율 = 765 투자에 대한 법인세 효과의 정책적 의미 = 765 응용사례 _ 1981년과 1986년 세제개편안이 투자유인에 미친 효과 = 766 법인세와 투자에 대한 연구 = 767 24.5 재원 조달에 대한 법인세의 결과 = 767 재원 조달에 대한 법인세의 효과 = 768 왜 부채를 통해 필요재원을 모두 조달하지 않는가? = 769 배당금의 역설 = 772 배당금은 과세되어야 하는가? = 773 응용사례 _ 2003년 배당세 감소 = 774 법인세 통합 = 775 24.6 국제법인소득의 취급 = 776 해외소득에 대한 과세 방법 = 776 응용사례 _ 해외수익에 대한 세금 공휴일 = 777 24.7 결론 = 780 요약 = 780 연습문제 = 781 심화 연습문제 = 782 제25장 근본적인 세재개혁 25.1 왜 근본적인 세재개혁이 필요한가? = 785 조세순응을 높이는 것 = 785 응용사례 _ 탈세 = 785 응용사례 _ 1997년 미국 국세청 청문회와 청문회의 부산물 = 788 조세법 간소화 = 790 조세의 효율성 향상 = 791 요약 : 근본적인 세제개혁의 편익 = 794 25.2 세제개혁의 정치학과 경제학 = 794 복잡한 조세법에 대한 정치적 압력 = 795 세원을 넓히는 것에 반한 경제적 압력 = 795 응용사례 _ 버지니아 주의 기득권 인정 = 798 수수께끼 = 799 응용사례 _ 1986년 세제개혁안과 세금도피행위 = 799 25.3 소비세 = 800 소비는 왜 좋은 세원인가? = 800 소비는 왜 나쁜 세원인가? = 803 소비세 고안 = 806 소비세로의 회귀 : 현금흐름에 대한 과세 = 809 25.4 평률세 = 809 평률세의 장점 = 810 평률세의 문제점 = 811 응용사례 _ 2005년 세제개혁 위원단 = 812 25.5 결론 = 813 요약 = 814 연습문제 = 814 심화 연습문제 = 815 용어해설 = 817 참고문헌 = 829 찾아보기 = 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