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직장인의 평생학습 참여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직장인의 평생학습 참여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Material type
학위논문
Personal Author
박진
Title Statement
직장인의 평생학습 참여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박진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2011  
Physical Medium
iv, 87 p. : 도표 ; 26 cm
기타형태 저록
직장인의 평생학습 참여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DCOLL211009)000000026309  
학위논문주기
學位論文(碩士)--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 組織管理專攻, 2011. 8
학과코드
0510   6K04   92  
General Note
지도교수: 강수돌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71-78)과 부록수록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평생학습 , 자아존중감 , 조직유효성 , 조직몰입 , 조직시민행동 ,,
000 01266namcc2200313 c 4500
001 000045670729
005 20111010152935
007 ta
008 110629s2011 ulkd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K04 ▼c 92
100 1 ▼a 박진
245 1 0 ▼a 직장인의 평생학습 참여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b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d 박진
246 1 1 ▼a (The) effect of employees'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b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260 ▼a 서울 : ▼b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c 2011
300 ▼a iv, 87 p. : ▼b 도표 ; ▼c 26 cm
500 ▼a 지도교수: 강수돌
502 0 ▼a 學位論文(碩士)-- ▼b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 ▼c 組織管理專攻, ▼d 2011. 8
504 ▼a 참고문헌(p. 71-78)과 부록수록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평생학습 ▼a 자아존중감 ▼a 조직유효성 ▼a 조직몰입 ▼a 조직시민행동
776 0 ▼t 직장인의 평생학습 참여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w (DCOLL211009)000000026309
900 1 0 ▼a 강수돌, ▼e 지도교수
900 1 0 ▼a Kang, Su Do, ▼e 지도교수
900 1 0 ▼a Park, Jean, ▼e
945 ▼a KLPA

Electronic Information

No. Title Service
1
직장인의 평생학습 참여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549회 열람)
View PDF Abstract Table of Content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K04 92 Accession No. 1630565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K04 92 Accession No. 16305653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Thesis)/ Call Number 0510 6K04 92 Accession No. 1530626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K04 92 Accession No. 16305653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Centennial Digital Library/Thesis/ Call Number 0510 6K04 92 Accession No. 16305653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Thesis)/ Call Number 0510 6K04 92 Accession No. 1530626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참여도가 조직유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결과는 곧 조직유효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여  ‘직장인의 평생학습 참여도는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직장인의 평생학습 참여도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자아존중감은 조절효과를 가질 수 있는가’등을 가설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참여정도를 독립변수로, 조직유효성을 종속변수로, 자아존중감을 조절변수로 설정하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중소ㆍ벤처기업 근무자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적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참여정도는 조직유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학습참여도와 조직유효성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에서 먼저 조직유효성의 조직몰입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는 자아존중감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조절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처음부터 자아존중감이 낮은 집단의 경우가 높은 집단에 비해, 평생학습참여도가 높아질 때 조직몰입도는 더욱 가파르게 상승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자아존중감이 낮은 집단에게 더욱 평생학습의 기회를 많이 부여하고 적극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지원을 할 때 그들의 조직몰입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직유효성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는 기각되었다. 따라서 자아존중감과 관계없이 평생학습참여도가 높아질수록 조직시민행동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자아존중감 증진과 기업경영발전, 그리고 발전적 노사관계문화를 도모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평생학습에 대한 구성원과 기업의 긍정적 태도와 인식의 확산을 제안하고자 한다.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제 1 장 서론

   제 1 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구성	3
   제 3 절 연구문제	4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평생학습의 개념과 역량	5
      1. 평생학습(lifelong learning) 개념	5
      2. 기업 내 평생학습 역량강화와 평생학습 유형	11
   제 2 절 자아존중감(self-esteem)	13
      1. 자아존중감의 개념	13
      2. 자아존중감의 효과 	17
      3. 선행연구를 통해 본 평생학습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18
   제 3 절 조직유효성(Organizational Effectiveness)	19
      1. 조직유효성의 개념	19
      2. 선행연구로 본 조직유효성의 평가	20
      3. 조직몰입(Organizational Commitment)	22
         1) 조직몰입의 개념 	22
         2) 조직몰입의 구성요인 	27
         3)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선행연구 	31
      4.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33
         1) 조직시민행동의 개념 	33
         2) 조직시민행동의 구성요인 	37
         3) 선행연구에서의 평생학습과 조직시민행동	40

제 3 장 연구의 설계와 방법

   제 1 절 연구모형과 연구대상 	41
      1. 연구모형	41
      2. 연구대상	42
   제 2 절 가설 설정	42
      1. 평생학습 참여도와 조직유효성간의 관계	42
      2. 평생학습 참여도와 조직유효성간의 관계에 있어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44
   제 3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45
      1. 평생학습	46
      2. 조직유효성	46
      3. 자아존중감	47
   제 4 절 측정도구 및 표본의 선정	48
      1. 측정도구의 구성	48
      2.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49
      3. 표본의 선정과 자료수집 방법	50

제 4 장 연구결과 및 실증분석

   제 1 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확인적 요인 분석	5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1
      2.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53
   제 2 절 상관관계 분석	54
   제 3 절 가설검증 및 논의	55
      1. 평생학습참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56
      2. 평생학습참여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57
      3. 평생학습참여와 조직몰입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58
      4. 평생학습참여와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61

제 5 장 결론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65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66
      1. 이론적 시사점	66
      2. 실무적 시사점	68
   제 3 절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69


‖ 참고문헌 ‖	71
‖ 부록 : 설문지 ‖	79
‖ ABSTRACT ‖	8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