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초 록
2010년 한해는 군 조직에게 있어 6. 25전쟁이후 가장 긴박하고, 힘든 한해가 되었다. 천안함 침몰, 연평도 도발 등 실전을 방불케 하는 상황 속에서 어쩌면 안보 불감증이라고 할 만큼 안보에 신경을 안 쓰고 있던 세대들에게 경각심을 주고, 다시금 국가의 존재가치와 군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게 한 계기가 되었다. 그만큼 군에 대한 기대와 더불어, 질타의 목소리와 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게 되었으며, 군 스스로도 현 시대에 맞게끔 조직이 변화를 해야 하고, 전투임무 위주의 강한 군대를 육성해야 한다는 자성의 기회가 되었다. 어쩌면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서 아픈 상처와 기억들도 많지만 지지부진했던 군 개혁의 촉진제가 되는 긍정적인 기회가 되었다.
현재 군은 예전에도 그랬지만 일련의 사건들로 더욱 더 강한 군대 육성, 싸우면 이기는 군대를 만들기 위해서 많은 노력과 투자를 하고 있다. 진정한 군대의 전투력은 정신력에서 나타난다고 한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집단은 군 조직을 지휘 하는 장교도 아니고, 부대 관리를 하는 부사관도 아니다. 가장 많은 인원과 창끝에서 싸우는 병사들이 군의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전투력이 향상 되어질 때 비로소 강한 군대가 육성되고 싸우면 이기는 군대가 만들어 질 것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매년 군 생활 간에 적응을 하지 못하는 병사들이 늘어가고 있으며, 그로 인한 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금 복무중인 20대 병사들을 지칭하는 세대 론은 많지만 대통령이 2010년 신년사 연설에서 인용한 G세대만큼 이들의 특성을 잘 대변하는 단어도 없다.
이들 세대는 글로벌적 마인드를 자연히 가지고 커왔으며, 미래지향적이고 자유분방한 세대로 경제적인 풍요로움 속에서 부모님의 집중적인 관심과 투자를 받으며 성장해온 젊은이들이다. 그만큼 자신감도 크고 다양한 면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우수한 세대이다. 하지만 성실성과 친화력, 사회성 등의 부족한 면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히나, 특수한 환경의 군이라는 조직에 적응을 하기에는 문화적, 정서적, 물리적으로 힘든 면이 많을 수밖에 없다. 이들이 군이라는 조직에 적응을 원활히 하지 못한다면 곧 전투력 손실로 이어질 것이고 이는 강한 군대 육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것이다. 현재 군이 목표로 하고 국민들이 원하는 군의 모습으로 가기 위한 뒷받침에는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 향상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시대적 과제이자 의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G세대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보기 위해 분석을 하고 분석된 요인을 통해서 일선 지휘관(자)들이 이를 활용하여 그들의 군 생활 적응도를 향상시켜 강한 군대를 육성해 가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군 생활 요인 중에서 군 생활 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G세대 병사들에게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EQ(정서지수)가 군 생활 적응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나아가 EQ(정서지수)의 매개 작용의 작용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첫 번째로 군 생활 요인과 군 생활 적응도와의 관계에서는 계급, 야근 횟수, 포상 횟수, 체력등급, 건강상태, 의사소통 정도, 사회봉사활동 경험 등의 요인들이 군 생활 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EQ(정서지수)와 군 생활 적응도와의 관계에서는 EQ(정서지수)가 높음에 따라 군 생활 적응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 하였다.
세 번째로 군 생활 요인과 EQ(정서지수)와의 관계에서 징계 및 포상회수, 체력등급, 사회봉사활동 횟수, 건강상태, 의사소통의 정도와 진로에 대한 목적의 정도에 따라서 EQ(정서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군 생활 요인과 군 생활 적응도와의 관계에서 EQ(정서지수)의 매개 작용의 역할을 검증한 결과, 구타 및 가혹행위, 병사와의 의사소통, 가족 간의 의사소통에 대해서 완전 매개를, 건강상태, 간부와의 의사소통, 간부에 대한 신뢰도에 대해서는 부분 매개 효과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이 일선 지휘관(자)들에게 있어서 병력관리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어 전투력 손실을 막고 강한 군대 육성에 이바지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인해서 한명이라도 군 생활 적응 간 부적응으로 도태되거나 안타까운 일들을 겪지 않고 군 본연의 임무인 재사회화의 역할을 잘 수행하여, 국가와 국민들이 사랑하고 인정하는 군 조직이 되기를 바라는 데 소망이 있다. 나아가 국⋅내외 관련 연구자들이 보다 폭넓은 연구와 변수들을 찾아내고 검증하는데 도움이 되는 토대와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The Study of Primary Influence of G-generation soldiers
military adaption
- Focused on Soldiers in Army 2nd Operation Command -
Kwon, Se Ki
Major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Information,
Korea University
(Advised by Prof. Kim Moon Suk)
During this year, 2010, it must have been most tensive and hardest moment of my life as an army. Submerge of Cheonan vessel, provocation by attack in Yeonpyungdo brought us in situation frigidity of national security in real welfare. Also, this situation brought us an opportunity to remind us the importance of our nation and military force. To that extent, expectation increased, voice of scolding, and wanting a change, military itself needed a change of system to fit into current generation. This period was a chance to self examining of creating a strong, sturdy military force in combat task. Perhaps, chain of events that left painful wounds and memories was an positive opportunity brought early to reform our military force.
As before chain of events brought by North Korea helped military force in putting a lot of effort and investment for upbringing strong military force. real army's combat skill presents in spiritual strength. In creating a successful military force the most important group is not soldiers, commanders, neither noncommissioned officer that manages force. Soldiers fighting at the end of the spear against extreme number of persons is the very core of the subject. As these soldiers combat skill elevates, promotion of strong military force will bring victory in every battle. However, every year, maladjusted soldiers are extending which constantly cause accidents.
There are many generation theories that explains the 20's who are serving in the military but there is no other words that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generation better than G-generation which the president cited in the new year speech.
These generations were being raised under globalization, future-aiming and possessing a free lifestyle with abundant amount of support from their parents. Following that matter of fact, they do have a great confidence and are extremely competitive in many aspects. However, they also carry out problems like lack of diligence, harmonization, socialization and this provides a big time suffering for them to get used to the cultural, mental and physical customs in the military due to its peculiarity. This will influence the whole military's decline in fighting efficiency which whill eventually be a source of disturbance for the military to cultivate strong power-based military. An improvement of the soldiers perhaps might be the most controversial and contemporary issue in order to meet the military's goal to organize the outlooks as what they expect to be.
Thereupon, this research intends to be a help in raising a strong army by means of increasing the degree of which the G-generation adapts to the military life. In order to do so, this research is going to identify and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military lives of the G-generation. The commanding officers would be able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degree by making use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is study first fou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gree of adaptation, then how EQ, which is considered to be lacking from G-generation, affects the degree of adaptation. Furthermore, it also intended to figure out whether the degree of adaptation changes upon controlling EQ,
Observing the outcome, primari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adaption of the military. IT is confirmed that rank, number of night duties, amount of rewards, physical rank, physical condition, communication and community service experiences are the chief cause of adaption of militar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on of the military and EQ(emotional quotient). It is confirmed that attentive influence in adaption causes due to high EQ(emotional quotien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the military life and EQ (emotional quotient). It is confirmed that depending on number of disciplinary actions and rewards, level of physical ability, numbers of community service, physical condition, degree of communication and determination about their career influences EQ attentively.
Lastly, upon verifying whether EQ plays a vital role in between key factors of military life and degree of adaptation, both controlling and using EQ as a medium were proven to have effects.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using EQ as a medium has greater effect than controlling EQ.
This study purports to be a contribution in rearing strong armies by provid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to the commanding officers. They will be able to make use of the information in managing their troops thus preventing any loss in fighting efficiency. It intends to help those who fall behind due to failure to settle in military life in the hope of bringing the current military organizations to be trustworthy and acknowledged. Additionally, the researchers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come the foundation and motive for further domestic and foreig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