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켈리의 효과적인 팔로워십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초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중심으로

켈리의 효과적인 팔로워십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초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중심으로

자료유형
학위논문
개인저자
천형성 千炯成
서명 / 저자사항
켈리의 효과적인 팔로워십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초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중심으로 / 千炯成
발행사항
서울 :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2011  
형태사항
viii, 144 p. : 삽화 ; 26 cm
기타형태 저록
켈리의 효과적인 팔로어십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OLL211009)000000026817  
학위논문주기
學位論文(碩士)--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 組織管理專攻, 2011. 8
학과코드
0510   6K04   97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문석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23-131
이용가능한 다른형태자료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비통제주제어
효과적인 팔로워십 , 리더십유형 , 조직성과 , 경영성과인식 , 경영성과 ,,
000 01263namcc2200301 c 4500
001 000045670724
005 20111125152742
007 ta
008 110705s2011 ulka bmAC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041 0 ▼a kor ▼b eng
085 0 ▼a 0510 ▼2 KDCP
090 ▼a 0510 ▼b 6K04 ▼c 97
100 1 ▼a 천형성 ▼g 千炯成
245 1 0 ▼a 켈리의 효과적인 팔로워십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b 기초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중심으로 / ▼d 千炯成
246 3 ▼a 켈리의 효과적인 팔로어십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b 기초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중심으로
260 ▼a 서울 : ▼b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c 2011
300 ▼a viii, 144 p. : ▼b 삽화 ; ▼c 26 cm
500 ▼a 지도교수: 김문석
502 0 ▼a 學位論文(碩士)-- ▼b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 ▼c 組織管理專攻, ▼d 2011. 8
504 ▼a 참고문헌: p. 123-131
530 ▼a PDF 파일로도 이용가능; ▼c Requires PDF file reader(application/pdf)
653 ▼a 효과적인 팔로워십 ▼a 리더십유형 ▼a 조직성과 ▼a 경영성과인식 ▼a 경영성과
776 0 ▼t 켈리의 효과적인 팔로어십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w (DCOLL211009)000000026817
900 1 0 ▼a 김문석, ▼e 지도교수
900 1 0 ▼a Chun, Hyong Sung, ▼e
945 ▼a KLPA

전자정보

No. 원문명 서비스
1
켈리의 효과적인 팔로워십 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초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중심으로 (368회 열람)
PDF 초록 목차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97 등록번호 1630565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97 등록번호 1630565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위논문실/ 청구기호 0510 6K04 97 등록번호 1530626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97 등록번호 16305654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학위논문)/ 청구기호 0510 6K04 97 등록번호 16305654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학위논문실/ 청구기호 0510 6K04 97 등록번호 15306268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초록

초   록
당신은 어떤 팔로워입니까? “남을 따르는 법을 알지 못하는 사람은 좋은 지도자가 될 수 없다.” 옛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한 말이다. 좋은 팔로워(follower)가 좋은 리더가 된다는 뜻이다. 나쁜 리더는 과거에 나쁜 팔로워였다는 얘기도 된다. 그만큼 훌륭한 팔로워와 올바른 팔로워십(followership)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현실에서 온전히 리더인 사람은 거의 없다. 대다수가 팔로워이면서 리더이거나 순전히 팔로워라는 점에서 리더십보다 오히려 팔로워십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조직성공을 위해서 리더십과는 별도로 효과적인 팔로워십을 개발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켈리(Kelley)가 주장한 효과적인 팔로워십의 특성(자기관리, 조직과 동료에 대한 헌신, 자기계발, 용기)을 독립변수로, 리더십 유형은 바스(Bass)가 주장한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형, 개별적 배려형, 지적자극형)과 거래적 리더십(상황적 보상형과 예외적 관리)매개변수로, 조직성과(직무만족과 경영성과 인식과 경영성과 만족)를 종속변수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실증 연구를 위하여 5개 지방기초단체(서울3곳, 수도권1곳, 지방1) 조직에서 근무하는 300여명의 공무원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증을 위한 통계적 처리는 SPSS 18.0과 WrapPLS 2.0 프로그램을 사용했다. 기초통계분석은 SPSS 18.0을 사용했으며, WrapPLS를 사용하여 가설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효과적인 팔로워십의 특성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결과는 설문대상자들이 철저히 자기관리하에서만 직무만족 및 경영성과에 대한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조직과 동료에 대한 헌신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도 자신이 수행한 일과 같이 성과에 대한 만족을 느낀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것은 팀제로 운영되는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도 보인다. 그러나 경영성과인식은 모든 하위변수에서 기각되었다. 즉, 공무원 팔로워 조직의 특성이 대체로 자기중심적 사고가 지자체 전체에 대한 성과인식과는 거리가 멀다는 보편적 인식이 그대로 표현된 결과로 보인다. 한편 자기계발과 용기변수도 무관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효과적 팔로워십 특성이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가설1은 부분 채택되었다.
둘째, 효과적 팔로워십이 리더십유형(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으로 수립되었다. 이를 검증한 결과 자기관리와 조직 및 동료에 대한 헌신이 변혁적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자기계발과 용기는 기각되었다. 공무원 조직의 소극적 보수심리의 현상이 그대로 나타난 경우로 분석된다. 또한 자기관리, 조직 및 동료에 대한 헌신, 용기가 거래적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계발은 기각되었다. 한편 본 연구를 통틀어 유일하게 용기 변수가 거래적 리더십에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채택된 것으로 용기 있는 팔로어가 거래적 리더십과는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자기계발은 모든 가설에서 기각되어 지자체 공무원 조직의 효과적인 팔로워십 특성은 자기계발과 무관함을 명백히 하였다.
셋째, 효과적 팔로어십과 조직성과 간에 리더십유형이 매개효과가 존재하는가의 여부이다.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 자기관리와 직무만족의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성과인식의 경우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성과만족의 경우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 역시 자기관리가 경영성과만족에 직접적인 효과 및 변혁적 리더십을 통한 간접효과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 자기관리와 직무만족, 경영성과인식, 경영성과만족 등 결과만 살펴보면 변혁적 리더십과 큰 차이가 없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거래적 리더십이 경영성과인식에 유의하지 못한 영향을 주는 것은 자신의 직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자신의 성장과도 전혀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는 공무원 조직의 특성으로 실제 매개효과가 없다고 해석하는 것은 결과가 타당하다. 조직과 동료에 대한 헌신과 직무만족, 경영성과인식, 경영성과만족의 경우 경영성과만족에만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계발의 경우 모든 경로가 유의하지 않기 때문에 매개분석에서는 제외되었다. 용기의 경우 거래적 리더십에만 유의한 영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만 매개분석을 수행하였으나, 그 결과 모든 변수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기와 직무만족, 경영성과인식, 경영성과만족 매개효과분석의 결과 모든 독립변수와 성과 간 리더십유형의 매개효과는 일부변수들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으며, 완전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크게 3가지 특징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첫째는, 자기중심적이며 독립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으로 보수적인 사고와 관습, 공무원의 업무와 신분적 특성에서 나오는 자기 관리적 현상이 뚜렷했다. 
두 번째, 특징으로는 집단 전체의 성과와 관련한 경영성과인식에는 큰 관심이 없고 반면 업무 중심으로 팀 단위 조직관계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통의 하위직 팔로워 계층은 대체로 경쟁의식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은 자기계발 변수에 거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된 결과다.
 

주요어: 효과적인 팔로워십, 리더십유형, 조직성과, 경영성과인식, 경영성과 등

목차

목   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 배경	1
    제 2 절  연구 목적	3
    제 3 절  연구 방법 및 구성	4
            1. 연구 방법	4
            2. 논문 구성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6
    제 1 절  팔로워(Follower)와 팔로워십(Followership)에 대한 일반적 고찰	6
            1. 팔로어의 중요성	6
            2. 팔로어의 개념	7
            3. 팔로워십(followership)의 개념	9
            4. 켈리(Kelley)의 팔로워십의 유형	13
    제 2 절  효과적인 팔로워십의 특성과 전략	20
            1. 켈리(Kelley)의 특성과 데프트(Daft)의 전략	20
            2. 켈리(Kelley)의 효과적인 팔로워십의 특성	20
            3. 데프트(Daft)의 효과적인 팔로워의 전략	22
    제 3 절  팔로워십에 대한 선행연구	30
    제 4 절  조직유효성(Organizational Effectiveness)의 특징	34
            1. 조직 유효성의 개념	34
            2. 직무만족(Job Satisfaction)	35
            3. 경영성과 인식	40
            4. 경영성과 만족	43
    제 5 절  리더십(Leadership)의 이론적 배경	43  
            1. 리더십의 정의	43
            2. 리더십 이론의 발전	48
            3. 허시와 브랜차드의 리더십 상황이론(Situational Leadership Theory)	54
            4.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개념	66
            5. 리더십 귀인 이론(Attribution theory of leadership)	82

 제 3 장  연구모형 및 조사 설계	87
    제 1 절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87
            1. 연구모형 및 설계	87
            2. 가설 설정	88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의 구성	89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89
            2. 측정도구의 구성	94
    제 3 절  표본 추출 및 자료 분석 방법	95
            1. 표본 추출	95
            2. 자료 분석 방법	96

 제 4 장  실증분석	99
    제 1 절  기초통계분석	99
    제 2 절  신뢰성과 타당성분석	103
            1. 측정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103
            2. 측정모형의 검정	107
    제 3 절  가설 검증	109
            1. 모형의 적합성 평가	109
            2. 연구가설의 검정	109

제 5 장  결  론	117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117
            1. 연구결과의 요약	117
            2. 연구의 시사점	120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21

참고문헌	123

설 문 지	133

Abstract	13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