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풀잎을 따서 가락을 빚다 : 한국 풀피리 음악 문화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진원 李晉源
서명 / 저자사항
풀잎을 따서 가락을 빚다 : 한국 풀피리 음악 문화 / 이진원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채륜,   2010  
형태사항
301 p. : 삽화, 악보 ; 21 cm + 전자 광디스크 (CD-ROM) 1매
ISBN
9788993799095
일반주기
부록: 풀피리 악보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89-301
비통제주제어
한국음악 , 풀피리음악 , 풀피리연주 ,,
000 00757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670438
005 20111121112258
007 ta
008 100730s2010 ulkag b 000c kor
020 ▼a 9788993799095 ▼g 93670
035 ▼a (KERIS)BIB000012118507
040 ▼a 241018 ▼c 241018 ▼d 244002
082 0 4 ▼a 780.9519 ▼2 22
085 ▼a 780.953 ▼2 DDCK
090 ▼a 780.953 ▼b 2010z3
100 1 ▼a 이진원 ▼g 李晉源 ▼0 AUTH(211009)136576
245 1 0 ▼a 풀잎을 따서 가락을 빚다 : ▼b 한국 풀피리 음악 문화 / ▼d 이진원 지음
260 ▼a 서울 : ▼b 채륜, ▼c 2010
300 ▼a 301 p. : ▼b 삽화, 악보 ; ▼c 21 cm + ▼e 전자 광디스크 (CD-ROM) 1매
500 ▼a 부록: 풀피리 악보
504 ▼a 참고문헌: p. 289-301
653 ▼a 한국음악 ▼a 풀피리음악 ▼a 풀피리연주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0z3 등록번호 1116505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0z3 등록번호 1116505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80.953 2010z3 등록번호 1212154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53 2010z3 등록번호 1513040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0z3 등록번호 1116505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0z3 등록번호 1116505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80.953 2010z3 등록번호 12121546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53 2010z3 등록번호 1513040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풀피리를 전통음악의 관점에서 바라본 책. 풀피리의 역사를 추적하면서 풀피리의 기원과 다양한 흔적을 찾아보고, 풀피리를 재료와 모양 등에 따라 분류 정리하였다. 그리고 풀피리의 제작법과 연주법도 살펴보았다. 마지막 글에서는 우리나라 풀피리의 이해를 돕기 위해 중국과 일본 두 나라의 풀피리 음악을 소개하였으며 부록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풀피리 음악을 담은 CD를 수록하였다.

피리와 함께 떠나는
우리의 음악이야기


누구나 어렸을 때 불러 보았던 풀피리를 전통음악의 관점에서 바라본 책이다.
이 책은 풀피리의 역사를 추적하면서 풀피리의 기원과 다양한 흔적을 찾았으며, 풀피리를 재료와 모양 등에 따라 분류 정리하였다. 그리고 풀피리의 제작법과 연주법도 살펴보았다.
마지막 글에서는 우리나라 풀피리의 이해를 돕기 위해 중국과 일본 두 나라의 풀피리 음악을 소개하였으며 부록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풀피리 음악을 담은 CD를 수록하였다.

풀피리 역사를 엮다
흔히들 풀피리하면 어린이들이 유희 삼아 가지고 노는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한국 전통음악의 역사를 더듬어 올라가면 하찮게 생각만 되었던 풀피리는 당당히 그 이름을 한국음악사에 올리고 있다. 저자는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풀피리의 기원을 집요하게 추적했다. 조선 성종시 편찬된 “악학궤범”에 향악기로 소개된 풀피리 즉, 초적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풀피리의 역사를 앞뒤로 추적하면서, 풀피리 전승의 궤적을 그려보았다. 우리나라 문헌을 비롯하여 중국 문헌을 참조하여 삼국시대 기록 속에서 담겨 있는 풀피리의 전통을 비롯하여,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에 사용된 다양한 풀피리들의 흔적을 찾아 정리하였다.

다양한 풀피리를 정리하다
어린 원추리 잎, 사철푸른 사철나무 잎을 비롯하여 냇가에 물오른 버드나무 가지, 축 늘어진 수양버들의 가지, 심지어 커다란 물고기 비늘까지 모두 풀피리의 재료가 된다. 풀피리는 풀이라는 그 재료의 한계를 뛰어넘어 천연의 재료를 사용해서 소리 내는 악기 모두를 포괄하는 말이 되었다. 풀피리가 이러한 넓은 범위의 악기 용어가 된 것은 우리나라 최고 악서인 “악학궤범” 초적항에 나뭇잎으로 연주하는 풀피리와 나무껍질을 말아부는 도피필률을 모두 초적이라 한 것과 맥을 같이한다. 풀피리에 풍부한 재료가 있는 것처럼, 소리 내는 방법도 재료에 따라 다양한데, 이 책에서는 우리나라 풀피리를 재료, 모양, 연주 방법 등에 따라 분류하고 정리하였다.

풀피리 제작법과 연주법을 살피다
우리나라 풀피리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 초금이라고도 하는 초적과 호들기라고 하는 버들피리가 있다. 초적은 나뭇잎을 양손으로 잡은 후 아랫입술에 대고 연주하는 풀피리이고, 버들피리는 버드나무 껍집을 벗긴 후 한쪽 끝에 겹서(리드)를 만들어 연주하는 풀피리이다. 이러한 대표적인 풀피리 이외에도 다양한 식물 및 인공 재료로 만들어 연주하는 풀피리의 제작법과 연주법을 상세히 다루고자 하였다.

귀로 듣는 풀피리 책으로 꾸몄다
우리나라의 풀피리의 전통을 역사로 살펴보는 한편, 실제로 감상할 수는 음악을 이 책에서는 제공하였다. 일제강점기 풀피리 명인 강춘섭이 남긴 대표적인 풀피리 음악을 CD 음반으로 수록하였다. 강춘섭 명인은 판소리와 풀피리 음악을 유성기음반에 취입하였던 명인으로 풀피리 산조에 견줄 수 있는 ‘인생칠십고래희’ ‘부세’ ‘휘모리’ ‘굿거리’ 등의 음악을 남겼다. 깨끗한 음질로 강춘섭 명인의 풀피리 음악을 수록하여 앞으로 이들 음악의 복원을 기대해 본다. 이외에도 경기도 무형문화재 오세철 명인의 풀피리 음악 및 일제강점기 풀피리를 소재로 창작된 동요와 유행가요의 음원을 수록하여 귀로 즐기는 풀피리 책이 되도록 하였다.

이웃 나라 풀피리 음악을 소개하였다
풀피리는 전 세계인이 연주하는 악기인데, 이웃 나라인 중국과 일본에서도 풀피리를 오랜 전통을 가지고 계승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은 우리보다도 먼저 풀피리 음악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연구 및 연주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우리나라 풀피리의 상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중국과 일본 두 나라의 풀피리 음악을 정리하여 보았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진원(지은이)

카이스트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우리 음악을 공부하였다. 중국 중앙음악학원에서 중국전통음악이론을 공부하여 문학박사가 되었다. 우연히 듣게 된 풀피리 소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였고, 이 책을 쓰게 되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과 교수로 있다. “한국고대음악사의 재조명” “대금산조창시자 박종기평전” “한국영화음악사 연구”, “대금산조”, “한국무협소설사” 등의 책을 펴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5
1부 우리나라 풀피리 음악 문화
 1 여러 가지 풀피리 = 17
  1. 우리나라 풀피리의 종류 = 17
  2. 여러 풀피리 이야기 = 23
 2 풀피리의 옛 기록을 더듬어 = 59
 3 풀피리 만들기와 불기 = 95
  1. 초적 혹은 초금 = 95
  2. 호들기 = 104
  3. 보리피리 = 119
  4. 기타 풀피리 = 123
 4 풀피리 음악 = 128
  1. 강춘섭 연주 음악 = 129
  2. 기타 초적 연주자들의 음악 = 144
 5 풀피리의 전승과 명인 = 165
  1. 일제강점기 풀피리 명인들 = 165
  2. 오늘날의 초적 연주자들 = 179
  3. 버들피리의 연주자 = 188
 6 문학 속의 풀피리 = 199
  1. 시(詩) 속에 녹아있는 우리의 풀피리 = 200
  2. 수필 및 소설 속에 보이는 풀피리 = 220
  3. 노래 속에 보이는 풀피리 = 221
2부 이웃나라 풀피리
 1 중국의 풀피리 = 235
  1. 머리말 = 235
  2. 중국 내 취엽의 분포 상황 = 236
  3. 취엽의 역사 = 238
  4. 취엽의 여러 가지 기능 = 245
  5. 취엽의 재료와 연주방법 = 250
  6. 중국 내 각 소수민족의 취엽 음악 문화 = 252
  7. 맺음말 = 259
 2 일본의 풀피리 = 261
  1. 머리말 = 261
  2. 일본 풀피리의 역사 = 264
  3. 일본 풀피리의 종류 = 265
  4. 맺음말 = 269
〈부록〉풀피리 악보 = 271
참고 문헌 = 28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