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조선후기 실학자의 자주적 음악사상

조선후기 실학자의 자주적 음악사상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조유회 趙裕會, 1965-
서명 / 저자사항
조선후기 실학자의 자주적 음악사상 / 조유회 저
발행사항
서울 :   보고사,   2011   (2012)  
형태사항
359 p. ; 24 cm
ISBN
9788984339217
일반주기
부록 : 양금의 악보가 실려 있는 고악보  
서지주기
참고문헌(p. [263]-282)과 색인수록
000 00875camcc2200277 c 4500
001 000045669052
005 20121116150101
007 ta
008 110929s2011 ulk b 001c kor
020 ▼a 9788984339217 ▼g 93670
035 ▼a (KERIS)BIB000012534434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780.9519 ▼2 23
085 ▼a 780.953 ▼2 DDCK
090 ▼a 780.953 ▼b 2011z1
100 1 ▼a 조유회 ▼g 趙裕會, ▼d 1965-
245 1 0 ▼a 조선후기 실학자의 자주적 음악사상 / ▼d 조유회 저
246 1 1 ▼a (A)study on the musical view of Sil-Hak-Ja in the late Chosun dynasty
260 ▼a 서울 : ▼b 보고사, ▼c 2011 ▼g (2012)
300 ▼a 359 p. ; ▼c 24 cm
500 ▼a 부록 : 양금의 악보가 실려 있는 고악보
504 ▼a 참고문헌(p. [263]-282)과 색인수록
900 1 0 ▼a Cho, Yu-Hoe,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1z1 등록번호 1116429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1z1 등록번호 1116796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80.953 2011z1 등록번호 1212221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53 2011z1 등록번호 1513115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1z1 등록번호 1116429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11z1 등록번호 11167962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80.953 2011z1 등록번호 12122212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53 2011z1 등록번호 15131159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조유회()

가야금 연주자 학력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악과 졸업(음악학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동양철학과 졸업(철학박사) 사사 가야금 _ 서원숙, 최문진, 이재경, 김죽파, 김정자, 박현숙, 최충웅 양금 _ 김천흥 / 정가 _ 김호성 / 거문고 _ 이오규 / 판소리 _ 성창순 판소리고법 _ 김명환 / 설장구 _ 전수덕 / 중국양금 _ 오지영 / 한국무용 _ 유성옥 경력 경기대학교 국제산업정보학과 강사 / 경기도 군포시 군포중학교 국악반 강사 경원대학교 음악과 강사 / 국립국악원 문화학교 강사 / 국립국악원 외국인문화학교 강사 국악 실내악단 다스름 단원/단국대학교 국악과 강사 /미국 시카고 가나안한국학교 교사 전통공연예술문화학교 강사 / 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 강사 / 추계예술대학교 국악과 강사 충남예술고등학교 국악과 강사 / 충북 음성군 금왕여자중고등학교 가야금 강사 한양대학교 무용과 강사 / 협성대학교 음악과 강사 현재 국립국악원 정악단 단원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전수자 양금연구회 및 예악연구회 회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5 
Ⅰ 서론 = 17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7
 2. 선행연구검토 및 연구방법 = 23
Ⅱ 조선후기 실학자의 자주적 양악수용 = 53
 1. 양금(洋琴)의 유입 = 55
  1) 조선후기의 음악상황 = 55
  2) 실학자들의 양금유입과 전파 = 60
 2. 양금의 연행(演行) = 72
  1) 양금의 정착과정 = 72
  2) 양금 풍류악보의 편찬 = 79
 3. 양악이론의 도입과 적용 = 90
  1) 실학자들의 양악이론의 이해 = 90
  2) 서양음악의 국내 유입 시기 = 98
 4. 소결론 = 103
Ⅲ 실학자의 신분제 인식과 음악활동의 변화 = 115
 1. 실학자들의 신분제에 대한 인식 = 116
  1) 조선시대의 신분제도 = 116
  2) 조선후기 실학자의 신분제에 대한 인식 = 120
 2. 풍류방의 자오적(自娛的) 음악활동 = 129
  1) 풍류방의 계층적 참여 배경 = 129
  2) 실학의 음악적 실천 = 138
 3. 소결론 = 143
Ⅳ 자주적 음악관의 형성 = 151
 1. 화이적(華夷的) 음악관의 비판 = 152
  1) 조선전기의 화이적 음악관 = 152
  2) 실학자들의 주체적 음악관 = 164
 2. 중국 중심 율학의 극복 = 182
  1) 홍대용(洪大容)의 과학적인 율관수치의 제시 = 183
  2) 이규경(李圭景)의 악율후기(樂律候氣)의 인식 = 190
 3. 자주적 음악관의 구현 = 198
  1) 아음(我音)과 피음(彼音)의 구분 = 198
  2) 조선의 새로운 음악으로서 정악(正樂)의 생성과 발전 = 219
 4. 소결론 = 228
Ⅴ 결론 = 255
참고문헌 = 263
Abstract = 283
찾아보기 = 286
부록 = 293

관련분야 신착자료